000 | 00821namccc200301 k 4500 | |
001 | 000045225582 | |
005 | 20100807123138 | |
007 | ta | |
008 | 060112s2005 ulka b 001c kor | |
020 | ▼a 8978788106 ▼g 93700: ▼c \20,000 | |
035 | ▼a (KERIS)BIB000010095333 | |
040 | ▼a 211004 ▼d 244002 | |
082 | 0 4 | ▼a 495.75 ▼2 22 |
090 | ▼a 497.5 ▼b 2005o | |
245 | 0 0 | ▼a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 ▼d 임지룡 [외] 지음. |
260 | ▼a 서울 : ▼b 박이정 , ▼c 2005. | |
300 | ▼a 691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각 단원마다 '탐구문제' 수록 | |
500 | ▼a 서지적 각주 수록 | |
504 | ▼a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수록 | |
700 | 1 | ▼a 임지룡 , ▼e 저 ▼0 AUTH(211009)80895 |
700 | 1 | ▼a 이은규 , ▼e 저 |
700 | 1 | ▼a 김종록 , ▼e 저 |
700 | 1 | ▼a 송창선 , ▼e 저 |
700 | 1 | ▼a 황미향 , ▼e 저 |
700 | 1 | ▼a 이문규 , ▼e 저 |
700 | 1 | ▼a 최웅환 ,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2005o | 등록번호 11135594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26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2005o | 등록번호 11135594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29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2005o | 등록번호 1410489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97.5 2005o | 등록번호 1511932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97.5 2005o | 등록번호 1511933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2005o | 등록번호 11135594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26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2005o | 등록번호 11135594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29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2005o | 등록번호 1410489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97.5 2005o | 등록번호 1511932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97.5 2005o | 등록번호 1511933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은 국어교사 및 예비 국어교사들이 현행 학교 문법의 내용을 쉽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집필되었다. 이를 위해 언어와 국어의 본질, 국어의 구조와 역사, 국어 생활과 문화 등을 학교 문법의 관점과 기술 태도에 따라 가능한 한 일관된 태도로 쉽게 풀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대립되는 관점을 가진 학설을 제시하거나 더 많은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독자가 언어 탐구의 방법을 스스로 모색하고 그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나아가 이 책은 문법 교육에 대한 안목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현행 교육 과정과 교과서, 국어교육학계의 최근 논의 등을 바탕으로 문법의 교육적 가치, 문법 교육의 목표와 내용, 교수·학습의 방법과 평가, 교과서의 단원 등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이 책은 현재 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국어교사나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의 예비 국어교사, 국어교사 임용 시험을 대비하고 있는 수험생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임지룡(지은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명예교수, 맨체스터대학 언어학과 객원교수 역임, 담화인지언어학회·한국어 의미학회·한국어문학회·문학과 언어학회·국어교육학회·우리말 교육현장학회 회장 역임, (현)한글학회 부회장 저서 『국어 대립어의 의미 상관체계』(1989), 『국어 의미론』(1992), 『인지의미론』(1997/2017), 『국어지식탐구』(공저, 1999), 『학교문법과 문법교육』(공저, 2005), 『말하는 몸』(2006),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09),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공저, 2014), 『한국어 의미 특성의 인지언어학적 연구』(2017), 『한국어 의미론』(2018), 『한국어 의미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2019), 『인지언어학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2019),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공저, 2021) 외 다수 (공)역서 『어휘의미론』(1989), 『심리언어학』(1993), 『언어의 의미』(2002), 『언어학개론』(2003), 『인지언어학 기초』(2008), 『의미 관계와 어휘사전』(2008), 『인지문법론』(2009), 『의미론의 이해』(2010), 『인지언어학 개론』(2010), 『언어·마음·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1), 『어휘의미론의 연구 방법』(2013), 『의미론의 길잡이』(2013), 『비유 언어』(2015), 『의미론』(2017), 『인지언어학 핸드북』(2018), 『은유 백과사전』(2020) 외 다수

목차
목차 01장 총론 1. 언어관과 언어 탐구의 보람 = 13 1.1. 언어관 1.2. 언어 탐구의 보람 2. 학교 문법의 뜻과 용어 = 19 3. 학교 문법의 성격 = 23 4. 학교 문법의 흐름 = 29 02장 언어와 국어 1. 언어의 본질 = 39 1.1. 언어의 기호적 특성 1.2. 언어의 구조적 특성 1.3.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 1.4. 언어의 기능 2. 언어와 인간 = 50 2.1. 언어와 사고 2.2. 언어와 사회 2.3. 언어와 문화 3. 국어의 특질 = 63 3.1. 특질의 정의 3.2. 음운의 특질 3.3. 어휘의 특질 3.4. 문법의 특질 4. 한글 = 69 4.1. 문자의 유형 4.2. 한글의 제자 원리 4.3. 한글의 우수성 03장 음운 1. 음운과 음운 체계 = 83 1.1. 말소리와 발음 기관 1.2. 국어의 음운 체계 1.3. 음절 2. 음운의 변동 = 99 2.1. 음절의 끝소리 규칙 2.2. 음운의 동화 2.3. 음운의 축약과 탈락 2.4. 사잇소리 현상 04장 형태론 1. 형태소와 단어 = 137 1.1. 형태소 1.2. 단어 2. 단어의 형성 = 142 2.1. 단어의 구성과 유형 2.2. 파생어 2.3. 합성어 3. 품사 = 151 3.1.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3.2. 관계언 : 조사 3.3. 용언 : 동사, 형용사 3.4. 수식언 : 관형사, 부사 3.5. 독립언 : 감탄사 05장 어휘 1. 어휘의 개념과 분류 = 201 1.1. 어휘의 개념 1.2. 어휘의 분류 2. 어휘의 양상 = 212 2.1. 방언 2.2. 은어 2 3. 속어 2.4. 금기어와 완곡어 2.5. 관용어와 속담 2.6. 전문어 2.7. 새말 06장 문장 1. 문장의 성분 = 237 1.1. 문장과 문법 단위 1.2. 문장 성분의 종류 2. 문장의 짜임 = 250 2.1. 문장의 짜임새 2.2. 안은 문장과 안긴 문장 2 3. 이어진 문장 3. 문법 요소 = 263 3.1. 문장의 종결 표현 3.2. 높임 표현 3.3. 시간 표현 3.4. 피동 표현 3.5. 사동 표현 3.6. 부정 표현 07장 의미 1. 언어의 의미 = 299 1.1. 의미의 정의 1.2. 의미의 종류 1.3. 단어 의미의 올바른 용법 2. 단어의 의미 관계 = 309 2.1. 유의 관계 2.2. 반의 관계 2.3. 상하 관계 3. 의미의 확장 = 319 3.1 다의적 확장 3.2. 비유적 확장 4. 문장의 의미 = 332 4.1. 문장 의미의 성격 4.2. 문장의 동의성 4.3. 문장의 중의성 4.4. 전제와 함의 08장 이야기 1. 이야기의 개념 = 345 1.1. 문장과 발화, 이야기 1.2. 발화의 기능 2. 이야기의 요소 = 357 2.1. 이야기의 구성 요소 2.2. 지시 표현 2.3. 높임 표현 2.4. 심리적 태도 2.5. 생략 표현 3. 이야기의 구조 = 372 3.1 이야기의 구조 3.2. 이야기의 내용 구조 3.3. 이야기의 형식 구조 09장 중세국어문법 1. 문자와 말소리 = 395 1.1. 문자 1.2. 표기법 1.3. 음운 2. 단어 = 411 2.1. 단어의 갈래 2.2. 체언 2.3. 조사 2.4. 용언 2.5. 단어의 형성 3. 문장 = 448 3.1. 문장의 짜임새 3.2. 겹문장의 짜임새 3.3. 문법 요소 4. 이야기 = 457 10장 국어의 변화 1. 국어사의 자료 = 467 1.1. 한글 자료 1.2. 차자 표기 자료 2. 국어사의 시대 구분 = 476 3. 음운의 변화 = 481 3.1. 자음 체계의 변화 3.2. 모음 체계의 변화 3.3. 음절 구조 제약의 변화 3.4. 통시적 음운 현상 4. 문법의 변화 = 492 4.1. 격조사 4.2. 관형사형 어미 4.3. 선어말 어미 '-오-' 4.4. 종결법 4.5. 부정법 4.6. 사동법 4.7. 높임법 4.8. 시상법 4.9. 구문 구조의 변화 5. 어휘의 변화 = 509 5.1. 어휘 체계의 변화 5.2. 개별 어휘의 변화 6. 의미의 변화 = 517 11장 국어의 규범 1. 표준어와 표준 발음 = 527 1.1. 표준어와 방언 1.2. 표준어 규정 1.3. 표준 발음 2. 한글 맞춤법 = 538 3. 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549 3.1. 외래어 표기법 3.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2장 국어생활과 문화 1. 국어와 우리의 삶 = 163 1.1. 국어와 전통문화 1.2. 국어와 현대문화 2. 국어생활의 실천 = 579 2.1. 국어 규범 2.2. 국어 순화 2.3. 언어 예절 13장 문법 교육의 목표와 내용 1.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 = 601 1.1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1.2. 언어 지식의 교육적 가치 1.3. 문법 교육의 목표에 대한 몇 가지 관점 1.4. 교육 과정에 제시된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 2. 문법 교육의 내용 = 614 2.1. 교육 과정에 제시된 문법 교육의 내용 2.2. 교과서의 문법 교육 내용 14장 문법 교수ㆍ학습 방법 및 평가 1. 국어과 교수ㆍ학습 방법 = 639 1.1. 국어과 교수ㆍ학습 방법의 변천 1.2. 문법의 교수ㆍ학습 방법과 탐구 학습 2. 문법의 평가 = 6f6 2.1. 국어과 평가관의 변화 2.2. 문법 평가 방법 2.3. 문법 평가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