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225479 | |
005 | 20200526172534 | |
007 | ta | |
008 | 060124s2006 ulk b 000c kor | |
020 | ▼a 8979402244 (v.1) ▼g 94910 | |
020 | ▼a 8979402252 (v.2) ▼g 94910 | |
020 | ▼a 8979402260 (v.3) ▼g 94910 | |
020 | 1 | ▼a 8979402988 (전3권)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1 ▼2 23 |
085 | ▼a 953.02 ▼2 DDCK | |
090 | ▼a 953.02 ▼b 2006 | |
245 | 0 0 | ▼a 한국고대사입문 / ▼d 김정배 편저 |
246 | 0 | ▼i 한자표제: ▼a 韓國古代史入門 |
260 | ▼a 서울 : ▼b 신서원, ▼c 2006 | |
300 | ▼a 3책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05 | 0 0 | ▼n 1. ▼t 한국 문화의 기원과 국가형성 ▼g (400 p.) -- ▼n 2. ▼t 삼국시대와 동아시아 ▼g (384 p.) -- ▼n 3. ▼t 신라와 발해 ▼g (398 p.) |
700 | 1 | ▼a 김정배, ▼d 1940-, ▼e 편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1 | 등록번호 1113515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1 | 등록번호 1116153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113515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11615375 | 도서상태 파오손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117956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113515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116153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8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117960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9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953.02 2006 1 | 등록번호 192038396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0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92038397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1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92038398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2 |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 청구기호 953.02 2006 1 | 등록번호 912012052 | 도서상태 열람불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3 |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912012053 | 도서상태 열람불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4 |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912012054 | 도서상태 열람불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512050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6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512050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5120506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8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512050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1 | 등록번호 1113515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1 | 등록번호 1116153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113515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11615375 | 도서상태 파오손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117956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113515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116153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8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117960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9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953.02 2006 1 | 등록번호 192038396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0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92038397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1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92038398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2 |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 청구기호 953.02 2006 1 | 등록번호 912012052 | 도서상태 열람불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3 |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912012053 | 도서상태 열람불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14 |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912012054 | 도서상태 열람불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512050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2 2006 2 | 등록번호 1512050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5120506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2 2006 3 | 등록번호 1512050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서양 고대사에서 스파르타는 대개 아테네와 비교되어 설명되는데, 두 도시국가간의 차이는 도표로 그려도 될 만큼 뚜렷하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들은 늘 '왜 아테네가 발전할 수 밖에 없었는지'를 보여주는데 그치고 만다. 그렇다면 정복욕과 군국주의, 엄격한 신분제도, 비민주적인 정치체제로 잘 알려진 스파르타의 구체적인 모습은 과연 어떤 것일까?
저자는 스파르타인들이 그리스적인 것과는 전혀 다른, '나름대로의 위대한 면'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한다. 즉 그들은 결점이 많긴 했지만 적어도 위험에 직면했을 때의 절조와 조직된 훈련, 스스로의 생활방식에 대한 헌신이라는 면에서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는 것. 저자는 이 같은 맥락에서 정치, 교육, 토지, 군대, 풍습, 인구구성 등 스파르타의 다양한 면모에 대해 자세히 살피고 있다.
책은 스파르타의 여러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뿐 아니라, 여러 학자들의 연구결과와 그에 대한 분석까지도 함께 싣고 있어 스파르타에 대한 자세한 지식을 얻고자 하는 이라면 한번쯤 읽어볼만 하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험프리 미첼(지은이)
1883년생으로 캐나다의 맥매스터 대학 정경학부 명예교수로 재직했다. 원래 그리스사를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고대사에 조예가 깊었다. 경제사가로서 많은 책과 논문을 집필하는 등 캐나다의 정치, 경제학 부문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윤진(옮긴이)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부터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리스와 로마에 대한 논문 20여 편을 썼고, 플루타르코스의 《모랄리아》 및 아리아노스의 《알렉산드로스 대왕 원정기》 등 4권의 책을 번역했으며, 《스파르타인, 스파르타 역사》를 비롯한 3권의 책을 썼다.

목차
1권 한국 문화의 기원과 국가형성 간행사 책머리에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 1. 머리말 2. 시기별 연구동향 3. 단일기원설과 복합기원설 4. 고아시아족과 예맥족 5. 맺음말 구석기시대 1. 머리말 2. 유적의 발견과 발굴 3. 연구성과를 통해 본 구석기 시대 4. 맺음말 신석기시대 1. 신석기시대의 이해 2. 주요 연구성과 3. 농경과 주민구성의 문제 4. 맺음말 청동기시대 1. 머리말 2. 청동기문화의 사적 고찰 3. 청동기문화의 형성과 발전 4. 맺음말 선사시대의 예술과 신앙 1. 선사미술을 보는 눈 2. 구석기시대의 예술품 3. 신석기시대의 예술품 4. 청동기 및 철기시대의 청동제 예술품 5. 한국 암각화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6. 맺음말 한국 고고학의 시대구분 문제 1. 머리말 2. 시대구분의 개념 및 적용 3.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론 4. 시대구분의 몇 가지 문제 5. 맺음말 단군과 고조선 1. 머리말 2. 역대 인식과 연구의 흐름 3. 단군과 고조선의 제 문제 4. 맺음말 부여 1. 머리말 2. 부여사 전개의 인식체계 3. 부여의 고고문화와 국가형성 4. 부여의 중심지와 세력권 5. 부여의 지배질서와 국가성격 6. 부여사 인식의 새로운 지평을 기약하며 삼한의 기원과 국가형성 1. 삼한인식의 과거와 현재 2. 삼한의 기원문제 3. 삼한의 성립과정 4. 삼한의 발전과 국가형성 5. 삼한과 삼국시대의 관계 한국의 고대국가형성론 1. 머리말 2. 국가형성론의 연구경향 3. 국가형성론의 쟁점 4. 최근의 연구경향 5. 북한의 고대국가형성론 6. 맺음말 일본의 고대국가형성론 1. 머리말 2. 고대국가 형성론의 전개 3. 4~5세기의 고대국가형성론 4. 맺음말 중국의 한국고대사 인식 1. 머리말 2. 중국의 한국고대사 인식체계 3. 한국고대사에 관한 몇 가지 문제 4. 맺음말 『삼국지』동이전과 한국고대사 1.『삼국지』동이전의 세계 2.『삼국지』동이전의 수용방식 3.『삼국지』와『삼국사기』 4. 통합적 시각의 공유를 위하여 2권 삼국시대와 동아시아 간행사 책머리에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1. 고구려사의 이해 2. 고구려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3. 고구려사의 쟁점 및 검토 4. 고구려사 연구의 과제와 전망 고구려 고고학 연구성과와 과제 1. 머리말 2. 고구려 고고학 연구의 흐름 3. 고고자료를 통해 본 고구려인들의 삶과 자취 4. 맺음말-고구려 고고학 연구과제 백제의 성립과 발전 1. 백제사에 대한 이해 2. 백제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3. 백제사의 여러 쟁점 4. 백제사 연구의 과제 백제 고고학 연구의 현 단계-고분과 성곽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한성시대 3. 웅진시대 4. 사비시대 5. 영산강 유역 6. 맺음말 신라의 성립과 발전 1. 신라사의 이해 2. 신라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3. 신라사의 쟁점 및 검토 4. 신라사 연구의 과제 및 전망 신라 고고학의 연구사적 검토 1. 머리말 2. 일제강점기와 그 영향 3. 경주고도개발사업과 고분편년 중심의 연구 4. 황룡사지의 발굴과 신라 고고학 영역의 확대 5. 신라 고고학의 새로운 방향 가야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1. 머리말 2. 가야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3. 가야사 연구의 쟁점과 전망 한국 고대국가와 왜와의 관계 1. 머리말 2. 가야의 성립과정에 보이는 왜와의 관계 3. 왜와의 교역창구로서의 가야의 지리적 위치 4. 5세기경 일본열도에서 보급. 확산되는 한반도계 문화와 그 의미 5. 맺음말 7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전쟁 1. 고구려의 대 수. 당 전쟁에서 동아시아 국제전쟁으로 2. 본 전쟁 인식의 흐름 3. 본 전쟁의 배경. 원인론 4. 본 전쟁 경과론 5. 나. 당 전쟁론 6. 본 저쟁의 성격론 7. 맺음말 삼국의 정치체계와 사회신분구조 1. 한국 고대사회 인식의 개요 2. 한국 고대사회 체제 논의의 흐름 3. 주요쟁점 및 검토 4. 맺음말 고대의 토착신앙과 불교 1. 고대사회의 지배이념 2. 토착신앙 3. 불교의 전래와 수용 4.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관계 삼국시대의 도성제 1. 도성의 시기구분 2. 도성의 발굴조사 3. 도성의 제문제 4. 맺음말 삼국시대의 문자자료 1. 문자자료 연구의 의의 2. 자료의 수집과 간행-기초연구와 공구서 3. 분야별 연구현황 4. 연구경향과 전망 3권 신라와 발해 간행사 책머리에 신라통일론과 남북국성립론 1. 머리말 2. 인식논리의 변주 3. 관련사실의 해석 4. 맺음말 신라 중대의 정치 1. 신라 중대 정치사 연구현황 2. 신라사 시대구분에서 ''중대''의 설정 문제 3. 신라 중대 왕권의 성격 4. 신라 중대 정치사의 이해 5. 신라 중대 정치사 연구의 과제 신라의 지방통치와 촌 1. 머리말 2. 주군현제의 이해 3. 촌 그리고「신라촌락문서」 4. 하대 지방제도의 변화 5. 맺음말 신라의 토지제도 1. 머리말 2. 신라 토지제도 연구사 3. 연수유전. 답과 정전 4. 녹읍과 관료전 5. 맺음말 신라불교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1. 연구유형 2. 신라불교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3. 왕권과 신앙, 그 상관관계 4. 다면적 접근과 총체적 인식을 위하여 신라의 대외관계와 무역 1. 머리말 2. 대외관계사 연구의 흐름 3. 대외관계 연구의 주요 논점 4. 새로운 대외관계사를 꿈꾸며 발해의 성립과 발전 1. 발해사의 전개 2. 연구동향 3. 발해의 주민구성 4. 발해의 영역과 위치 5. 발해의 고고학적 문화유산 6. 맺음말 발해의 대외관계와 무역 1. 머리말 2. 발해와 신라-남북극시대의 문제 3. 발해와 당-발해의 민족사적 귀속문제 4. 발해와 일본 5. 돌궐 및 서역과의 관계 6. 발해의 대외무역 7. 맺음말 신라 하대의 사회변동 1. 머리말 2. 신라 하대의 사회변동에 대한 이해 3. 신라 하대 사회변동의 내용 4. 맺음말 후백제와 태봉 1. 머리말 2. 후백제와 태봉에의 연구사적 접근 3. 후백제. 태봉의 쟁점검토 4. 맺음말 『삼국사기』와 한국고대사 1.『삼국사기』의 위상 2.『삼국사기』 비판의 맥락 3.『삼국사기』론의 유형과 쟁점 4.『삼국사기』의 복권 혹은 극복 『삼국유사』와 한국고대사 1. 머리말 2.『삼국유사』연구의 어제와 오늘 3. 논쟁점에 대한 시각 4. 맺음말 신라와 발해의 문자자료 1. 머리말 2. 문자자료의 범주 3. 금석문 연구현황 4. 맺음말 토속신앙과 밀교 1. 머리말 2. 용신앙 3. 산신신앙 4. 밀교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