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14camccc200301 k 4500 | |
001 | 000045222389 | |
005 | 20100806114152 | |
007 | ta | |
008 | 051213s2005 ulk b 001c kor | |
020 | ▼a 8987671437 | |
035 | ▼a (KERIS)BIB000010228053 | |
040 | ▼c 21105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23.09 ▼2 22 |
090 | ▼a 323.09 ▼b 2005 | |
100 | 1 | ▼a Ishay, Micheline ▼0 AUTH(211009)129229 |
245 | 1 0 | ▼a 세계인권사상사 / ▼d 미셸린 이샤이 지음 ; ▼e 조효제 옮김. |
246 | 1 9 | ▼a (The)history of human rights : from ancient times to the globalization era |
260 | ▼a 서울 : ▼b 길 , ▼c 2005. | |
300 | ▼a 816 p. ; ▼c 24 cm. | |
440 | 0 0 | ▼a 프런티어 21 ; ▼v 2 |
500 | ▼a 부록수록 | |
500 | ▼a 2004년의 원저 초판에 한국어판 보론인 제7장을 추가한 정식 개정판의 번역본임 | |
504 | ▼a 참고문헌(p. 745-782), 색인수록 | |
700 | 1 | ▼a 조효제 , ▼e 역 ▼0 AUTH(211009)26165 |
945 | ▼a KINS | |
949 | ▼a 프런티어 이십일 ; ▼v 2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113476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113476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114969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211233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211233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5119488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7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5119488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113476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113476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114969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211233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211233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5119488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3.09 2005 | Accession No. 15119488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현대의 신생학문이라고 할 만한 '인권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 미셸린 이샤이 교수의 역저로 '인권' 개념의 기원, 전개과정, 그리고 현대에 들어와 그 의미가 더욱 중요하게 된 역사적 과정을 치밀한 자료조사와 정치(精致)한 논리로 밝혀내고 있다.
2004년 여름, 미국에서 출간되자마자 순수 학술도서로는 이례적으로 그해의 전미 논픽션 10대 도서의 하나로 선정될 만큼 대중적인 인기도 누린 이 책은 우리에게 '인권'에 대한 생각을 전면적으로 새롭게 사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저자는 인권이 단순히 선각자의 연설이나 저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또한 특정 시대를 형성하는 문서와 사건에 의해서가 아니라, 역사의 과정이 축적되어 스스로 생명력을 갖고 발전해온 것이라고 본다. 즉 인권이 특정한 역사-사회적 과정 속에서 형성된 개념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전체를 근대 이전, 계몽주의, 산업혁명, 양차대전, 지구화 등의 시대별로 크게 구분한 다음, 각 시대별로 특징적인 인권이 형성된 정치-경제-사회적 배경을 먼저 설명하고, 인권 행위주체들 간의 동학, 인권의 제도화 노력, 각종 인권문헌과 인권법의 등장 맥락과 역사적 중요성을 요령있게 정리한 후, 그 시대마다 '보편인권'에서 소외되었던 피차별 집단의 억압과 투쟁을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책은 크게 보아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부분에서는 세계인권의 통사를 기술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고 여러 가지 통념과 오류를 바로잡고 있다. 둘째 부분에 해당하는 6장에서는 인권의 역사를 관통하는 역사이론을 제시한다. 마지막 부분인 7장에서는 오늘날 세계 인권 공동체가 직면한 초미의 도전에 맞설 수 있는 저자 나름의 규범적 세계관을 펼치고 있다.
번역자 조효제 교수(성공회대, NGO학)는 이 책의 번역을 맡은 후, 저자와의 대화를 통해 원서의 틀린 부분에 대한 수정을 상의했으며, 특히 9.11사태 이후 인권에 대한 별도의 보론 집필을 의뢰하여 7장을 새롭게 추가하도록 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미셸린 이샤이(지은이)
미국 덴버대학교 국제대학원 인권학 프로그램의 주임교수이다. 미국 러트거스대학교에서 정치이론과 정치사상 전공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인권 독본>, <국제주의와 그 배신>, <민족주의 독본> 등이 있다.
조효제(옮긴이)
성공회대 사회학 교수. 옥스퍼드대에서 비교사회학 석사학위를, 런던정치경제대LSE에서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인권학회장, 하버드대 로스쿨 인권 펠로, 국가인권위원회 설립준비기획단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베를린자유대와 코스타리카대 초빙교수를 지냈다. 세계인권선언 70주년 기념 유엔본부학술대회 기조강연자로 나선 바 있다. 저서로 『탄소 사회의 종말』 『인권의 최전선』 『인권 오디세이』 『인권의 지평』 『인권의 문법』 등이 있고, 역서로 『거대한 역설』 『잔인한 국가 외면하는 대중』 『세계인권사상사』 『인권사회학의 도전』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긴이 서문 = 5 한국어 개정판 서문 = 19 초판 서문 = 21 일러두기 = 23 번역에 참고한 사전류 = 26 서론 = 33 1. 인권의 정의, 논증, 그리고 6대 역사적 쟁점 = 36 1) 인권의 기원 2) 인권의 계몽주의적 유산 3) 인권에 대한 사회주의적 공헌 4) 문화 상대주의 대 보편주의 5) 안보와 인권 사이의 긴장 6) 지구화가 인권을 촉진하는가 2. 이 책의 구성 = 51 제1장 초기의 윤리적 토대 1. 종교적ㆍ세속적 보편주의 관념 = 57 1) 유대교와 바빌로니아 2) 힌두교 3) 불교 4) 유교 5) 그리스와 로마 6) 그리스도교 7) 이슬람교 2. 자유: 관용의 기원 = 72 1) 유대교와 바빌로니아 2) 힌두교 3) 불교 4) 유교 5) 그리스와 로마 6) 그리스도교 7) 이슬람교 3. 평등: 초기의 경제ㆍ사회적 정의개념 = 85 1) 유대교와 바빌로니아 2) 힌두교 3) 불교 4) 유교 5) 그리스 6) 그리스도교 7) 이슬람교 4. 정의를 어떻게 장려할 것인가 = 93 1) 유대교 2) 힌두교 3) 불교 4) 유교 5) 그리스와 로마 6) 그리스도교 7) 이슬람교 5. 박애, 또는 누구를 위한 인권인가 = 103 1) 유대교와 바빌로니아 2) 힌두교 3) 불교 4) 유교 5) 그리스 6) 그리스도교 7) 이슬람교 8) 고대 윤리 전통의 평가 9) 서구 윤리 전통의 승리? 제2장 계몽주의 시대와 인권 1. 고대 문명에서 서구의 흥기로 = 131 1) 인도 문명, 중국 문명, 이슬람 문명 2) 서구의 흥기와 계몽주의의 유산 2. 종교의 자유와 의사표현의 자유 = 143 1) 종교와 불관용 2) 종교개혁과 종교의 자유 3) 의사표현의 자유: 영국의 경우 4) 자유를 향한 투쟁: 아메리카의 경험 5) 프랑스 혁명과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 3. 생명권 = 157 1) 홉스의 생명권과 「영국권리장전」 2) 고문과 신체보전의 권리 3) 사형과 생명권 논쟁 4. 사유재산권 = 168 1) 재산권의 해석: 수평파, 디거스, 로크 2) 아메리카 독립혁명과 재산권의 확립 3) 프랑스 혁명의 재산권 논쟁 5. 국가와 정당한 전쟁 이론 = 182 1) 자연법과 '정당한 전쟁' 논쟁 2) 자본주의와 공화주의를 통한 평화? 3) 세계주의 구상 4) 혁명과 폭력: 목적과 수단의 문제 = 191 6. 누구를 위한 인권인가 = 195 1) '보편적' 인권과 불평등 2) 배신당한 여성해방 3) 노예폐지를 위한 투쟁 4) 유대인과 소수민족: 프랑스 혁명의 공헌 5) 혁명의 반전과 민족주의의 대두 제3장 산업혁명 시대와 인권 1. 산업혁명 시대 = 215 1) 빈 회의로부터 1830년대의 혁명 그리고 1848년의 혁명으로 2) 1848년 혁명에서 파리 코뮌까지 3) 미국 남북전쟁과 노예해방운동 2. 자유주의 인권관에 대한 도전 = 225 1) 종교와 새로운 민족주의 2) 낭만적 사회주의 3) 사회주의적 인권관의 발전 4) 사회주의적 인권과 보편적 인권 3. 보통선거권 및 경제적ㆍ사회적 권리 = 236 1) 노동계급의 참정권 투쟁 2) 재산권과 보통선거권: 프랑스의 경우 3) 영국의 선거법 개정 4) 미국의 참정권운동과 그 한계 5) 교육과 사회적 권리 4. 자본주의와 국가에 대한 도전 = 251 1) 국가냐 국제기구냐? 정치개혁이냐 혁명이냐? 2)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식민주의, 국제 전쟁, 또는 비폭력 평화주의? 3) 영국의 선거법 개정 4) 미국의 참정권운동과 그 한계 5) 교육과 사회적 권리 5. 누구를 위한 인권인가 = 267 1) 노예해방투쟁 2) 여성참정권운동 3) 어린이ㆍ청소년의 권리운동 4) 유대인과 소수민족: 프랑스 혁명의 공헌 5) 유대인 문제와 시온주의 6) 자유주의적 민족주의와 전쟁의 길 제4장 세계대전과 인권 1. 제국의 종말 = 299 1) 민족주의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인권보장의 제도화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권의 제도화 2. 민족자결권 = 309 1) 제1차 세계대전 이전 시기 2) 제1차 세계대전의 후유증 3)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반식민투쟁 3. 인권의 제도화 = 334 1) 사회주의적 권리의 신장: 볼셰비키 혁명 시기의 수단과 목표 2) 국제연맹, 국제노동기구, 복지국가의 출현 3) 제2차 세계대전의 종료: 세계인권 선언 4) 냉전: 사회적ㆍ경제적 권리 대 시민적 권리 4. 누구를 위한 인권인가 = 380 1) 노동자의 권리요구와 민족자결권 2) 여성권리의 제도화 3) 어린이ㆍ청소년 권리의 제도화 4) 동성애자 권리의 가시화 5) 유대인의 운명과 민족자결권 6) 국제주의와 민족주의 제5장 지구화와 인권 1. 지구화와 저항운동 = 409 1) 1968년부터 1989년까지: 신사회운동과 냉전의 퇴조 2) 1989년의 여파와 그 영향력 2. 지구화 시대의 인권개념 = 427 1) 경제 지구화 그리고 노동권ㆍ발전권의 문제 2) 전지구적 환경과 환경권 3) 전지구적 이주와 시민의 권리 문제 4) 문화 지구화와 문화적 권리 3. 9ㆍ11사태 이후: 안보 대 인권 = 467 1) 전시의 시민적 권리와 여타 인권문제 2) 인권과 안보의 유산 4. 누구를 위한 인권인가 = 484 1) 변화하는 경제환경과 노동자의 권리 2) 근절되지 않은 노예제도 3) 여성차별에 대한 저항의 움직임 4) 전쟁과 여성 5) 지구화, 분쟁, 어린이ㆍ청소년의 권리 6) 신보수주의의 공세와 동성애 권리 7) 장애인 권리를 위한 전세계적 투쟁 8) 소수민족 문제의 악화와 원주민 권리의 인식 제6장 21세기의 인권과 투쟁 공간의 변화 1. 중세성 그리고 시민사회의 부재 = 527 2. 계몽주의 시대 시민사회의 출현 = 536 3. 산업혁명 시대와 시민사회의 확장 542 4. 반식민주의 투쟁 = 550 5. 시민사회의 지구화? 또는 사적 공간에 대한 공세? = 557 1) 지구화와 국가 2) 지구화와 시민사회 3) 지구화와 사적 영역 제7장 인권 세계관의 통합 1. 지구화의 쟁점 = 584 2. 인도적 개입의 쟁점 = 585 3. 국민(국가)형성의 쟁점 = 591 4. 글을 맺으면서 = 594 부록 1. 세계인권 연대기 = 601 부록 2. 한국인권 연대기 = 613 부록 3. 국제인권 용어모음 = 666 부록 4. 의미로 옳긴 「세계인권선언」 = 684 원주 = 695 참고문헌 = 745 찾아보기 =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