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77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222245 | |
005 | 20100806113853 | |
007 | ta | |
008 | 050228s2005 ulka b 001c kor | |
020 | ▼a 8982879080 ▼g 93370: ▼c \15,000 | |
035 | ▼a (KERIS)BIB000010064601 | |
040 | ▼a 211044 ▼c 211044 ▼d 244002 | |
082 | 0 4 | ▼a 371.3 ▼2 22 |
090 | ▼a 371.3 ▼b 2005q | |
245 | 2 0 | ▼a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교수·학습 활동의 이론과 실제 / ▼d 김재춘[외]지음. |
260 |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5. | |
300 | ▼a 420p. : ▼b 삽도 ; ▼c 25cm. | |
500 | ▼a 공저자: 박소영, 김재현, 변효종, 최손환 | |
504 | ▼a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수록 | |
700 | 1 | ▼a 김재춘 , ▼e 저 ▼0 AUTH(211009)136248 |
700 | 1 | ▼a 박소영 , ▼e 저 |
700 | 1 | ▼a 김재현 , ▼e 저 |
700 | 1 | ▼a 변효종 , ▼e 저 |
700 | 1 | ▼a 최손환 ,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71.3 2005q | 등록번호 1410481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1.3 2005q | 등록번호 1511924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71.3 2005q | 등록번호 1410481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1.3 2005q | 등록번호 1511924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목차 제1부 삐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삐아제의 생애 = 17 이론 소개 및 내용 구성 = 19 제1장 지적 발달의 메카니즘과 감각운동기 = 21 1. 지적 발달의 메카니즘 = 22 2. 감각운동 발달의 6단계 = 31 3. 대상 개념의 발달 = 38 제2장 전조작기 = 45 1. 표상 능력의 발달 = 46 2. 전조작기 사고의 제한점 = 50 3. 언어와 사고 = 56 제3장 구체적 조작기 = 69 1. 구체적 조작기 사고의 주요 특징 = 70 2. 구체적 조작기에 발달되는 구조들 = 78 제4장 형식적 조작기와 삐아제 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 85 1. 형식적 조작기 사고의 주요 특징 = 86 2. 형식적 조작기에 발달되는 구조들 = 90 3. 형식적 사고의 내용 = 101 4. 삐아제 이론이 교수ㆍ학습에 주는 시사점 = 111 제2부 비고츠키의 교수ㆍ학습이론 비고츠키의 생애 = 119 내용 구성 = 120 제5장 고등정신기능의 사회적 기원 = 123 1. 초등정신기능과 고등정신기능 = 124 2. 내면화 = 126 3. 발달을 위한 매개 : 언어와 사고 = 130 제6장 발달과 교수ㆍ학습 = 151 1. 발달 = 151 2. 근접발달영역 = 159 3. 교수ㆍ학습과 발달 = 171 제7장 교수ㆍ학습의 조건 = 177 1. 교육적 만남 = 177 2. 교육적 상호작용 = 183 3. 비계설정 = 188 4. 역동적 평가 = 196 제8장 삐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의 비교 = 203 1. 지식발달의 기제 : 평형화와 내면화 = 203 2. 언어와 사고 = 206 3. 학습과 발달 = 209 4. 상호작용의 대상과 과정 = 211 제3부 장상호의 교육적 인식론 장상호의 생애 = 219 내용 구성 = 219 제9장 상구 활동으로서의 배움 = 223 1. 상구의 의미 = 224 2. 상구의 내재율 = 227 3. 진정한 상구 활동을 위한 물음 = 238 제10장 하화 활동으로서의 가르침 = 243 1. 하화의 의미 = 244 2. 하화의 내재율 = 247 3. 진정한 하화 활동을 위한 물음 = 258 제11장 상구 활동과 하화 활동의 만남 = 263 1.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교육의 관점 변화 = 264 2. 교육적 공조(共助)의 공간 마련을 위한 내재율 = 275 3. 교육적 인식론에서의 교수ㆍ학습 사례 = 289 제4부 실천적인 교수 전략의 이해 내용 구성 = 303 제12장 오수벨의 유의미학습 이론 = 305 1. 유의미학습의 이해 = 306 2. 유의미학습의 실천 전략 = 315 3. 유의미 교수ㆍ학습 모형 = 322 제13장 질문의 기술 = 327 1. 질문과 대답의 주체 = 328 2. 교사가 가져야 할 질문의 기술 = 329 3. 학생이 가져야 할 질문의 기술 = 346 제14장 인지 전략 = 353 1. 인지 양식 = 354 2. 인지 전략 = 358 3. 초인지를 활용한 학습 = 370 4. 인지 전략의 교수법 = 374 제15장 마인드 맵 = 381 1. 마인드 맵 이해 = 382 2. 마인드 맵 배우기 = 385 3. 마인드 맵을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안 =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