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방법 및 공학

교육방법 및 공학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구종 劉久鍾. 강병재.
서명 / 저자사항
교육방법 및 공학 = Educational methodology and technology / 유구종, 강병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창지사 ,   2005.  
형태사항
399 p. : 삽도 ; 26 cm + CD-ROM 1매.
ISBN
894260367X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89-399
000 00669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21262
005 20100806113011
007 ta
008 050906s2005 ulka b 000c kor
020 ▼a 894260367X ▼g 93370: ▼c \18,000
035 ▼a (KERIS)BIB000010065386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46 ▼d 244002
082 0 4 ▼a 371.3 ▼2 22
090 ▼a 371.3 ▼b 2005o
100 1 ▼a 유구종 ▼g 劉久鍾.
245 1 0 ▼a 교육방법 및 공학 = ▼x Educational methodology and technology / ▼d 유구종, ▼e 강병재 지음.
260 ▼a 서울 : ▼b 창지사 , ▼c 2005.
300 ▼a 399 p. : ▼b 삽도 ; ▼c 26 cm + ▼e CD-ROM 1매.
504 ▼a 참고문헌: p. 389-399
700 1 ▼a 강병재.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1.3 2005o 등록번호 1511919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 방법과 교육공학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문제에서 출발하며 그런 의미에서 하나의 답을 구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바람직한 방법을 모색해 나갈 뿐입니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교육 방법은 교육공학 방법과 기법들에 의해 개선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이 교육공학 기법들을 교육 방법에 도입하고 통합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이 책에서는 교육 방법과 교육공학이라는 아주 중요한 교육 문제를 고민해 보고 유아교육 현장을 주 대상으로 하여 해결책을 제시해 보고자 합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유구종(지은이)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문학석사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문학박사 전) 교육부 교육과정심의위원회 위원 현)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교육부 중앙유아교육위원회 위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Chapter 1 교육공학의 개념 및 영역 = 11
 1. 교육공학의 정의 = 12
  1) 교육공학의 출현 배경 = 12
  2) 교육공학과 교수공학 = 14
  3) 교육공학의 세 가지 의미 = 17
 2. 교육공학의 발달 과정 = 21
  1) 초창기 = 22
  2) 시각 교육 = 23
  3) 시청각 교육 = 24
  4) 시청각 통신 = 24
  5) 교수공학 = 26
  6) 교육공학 = 27
 3. 교육공학의 영역 = 27
  1) 설계 영역 = 28
  2) 개발 영역 = 30
  3) 활용 영역 = 31
  4) 관리 영역 = 32
  5) 평가 영역 = 33
 4. 교수-학습에 대한 교육공학적 접근 = 35
  1) 체제적 특성 = 35
  2) 처방적 특성 = 36
  3) 학습자 지향적 특성 = 37
Chapter 2 교수-학습 관련 변인의 탐색 = 39
 1. 학습자 = 41
  1) 인지적 영역 = 41
  2) 정의적 영역 = 54
 2. 교사 = 59
  1) 교사 효능감 = 60
  2) 학습자에 대한 교사의 기대 = 62
  3) 교사가 갖추어야 할 조건 = 63
 3. 교육 내용 = 64
  1) 교육 내용의 의미 = 65
  2) 교육 내용의 선정 원리 = 66
  3) 교육 내용 조직 원리 = 67
Chapter 3 교육공학의 심리학적 기초 = 71
 1.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교육공학 = 72
  1) 행동주의의 가정 = 72
  2) 고전적 조건화 이론 = 73
  3) 조작적 조건화 이론 = 75
  4) 교수 설계에 대한 시사점 = 78
 2.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교육공학 = 81
  1) 행동주의에서 인지주의로의 전환 = 81
  2) 형태주의 심리학 = 82
  3)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84
  4) 정보처리이론 = 88
  5) 교수 설계에 대한 시사점 = 93
 3.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교육공학 = 94
  1) 구성주의 개념과 기본 가정 = 95
  2) 구성주의 학습 활동 환경의 원리 = 97
  3) 구성주의 학습 모형 = 98
  4) 교수 설계에 대한 시사점 = 103
Chapter 4 교수-학습 방법 = 107
 1. 교수-학습 방법의 성격 = 108
 2. 교수-학습 방법의 분류 = 110
  1) 교육의 주체에 따른 분류 = 111
  2) 학습자의 크기에 따른 분류 = 111
  3) 의사소통 구조에 따른 분류 = 112
 3.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 = 114
  1) 강의법 = 114
  2) 문답법 = 116
  3) 토의법 = 120
  4) 문제 해결 학습 = 133
  5) 발견 학습 = 135
  6) 협동 학습 = 136
Chapter 5 교수 설계와 수업 = 147
 1. 교수 설계 = 149
  1) 교수 설계의 개념 = 149
  2) 교수 설계의 필요성 = 151
  3) 교수 설계의 변인 = 153
  4) 교수 설계에 대한 체제적 접근 = 156
  5) 체제적 교수 설계의 원리 = 159
  6) 체제적 교수 설계의 특징 = 160
 2. 교수 설계 모형 = 161
  1) Jones, Li와 Merrill의 제2세대 교수 설계 개발 모형 = 161
  2) Branch의 일반적 교수 설계 개발 과정 모형 = 163
  3) 교수체제 개발의 일반 모형(ADDIE) = 164
  4) Dick과 Carey의 교수체제 설계 모형 = 165
  5) Smith와 Ragan의 모형 = 167
  6) Gerlach와 Ely의 체제적 교수 설계 모형 = 169
Chapter 6 교수매체 = 171
 1. 교수매체의 개념과 역할 = 173
  1) 교수매체의 개념 = 173
  2) 교수매체의 특성 = 174
  3)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수매체의 기여도 = 176
 2. 교수매체 이론 = 177
  1) 교수매체 선정시 고려 사항 = 177
  2) 교수매체 이론 = 180
 3. 교수매체의 구분 = 186
  1) 시각 자료 = 187
  2) 청각 자료 = 189
  3) 시청각 자료 = 190
Chapter 7 교육공학과 유아교육 = 193
 1. 유아 발달과 교육공학 관련 교육 내용 = 194
  1) 유아 발달과 교육공학 기술 = 194
  2) 교육공학 기술 관련 교육 내용 = 195
 2. 바람직한 유아교육공학 활동의 요소 = 196
  1) 유아교육에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 197
  2) 유아 주도 교육공학 활동과 교사 역할 = 201
 3. 유아교육공학에서의 통합적 접근 = 205
  1) 발달에 적합한 유아 ICT 교육 = 208
  2) 발생적 ICT 교육 = 209
 4.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ICT 유아교육 = 210
  1) ICT가 유아들에게 유익한가? = 210
  2) 가정과 학교에서 유아들의 ICT 사용 = 214
  3) 놀이와 ICT 기초 소양 교육 = 215
 5. 프로그램 놀잇감과 제어 기술 = 216
  1) 계획하기 = 217
  2) ICT 제어 활동의 소개 = 218
  3) 전자 놀잇감 = 219
  4) 프로그램 놀잇감 = 226
  5) 화면상 제어 프로그램 = 232
  6) 결론 = 237
 6. 상호작용 이야기, 가상환경, 모험 게임 = 238
  1) 상호작용 이야기책, 가상환경 게임, 모험 게임의 필수적인 특징들 = 239
  2) 모험 게임의 유아교육적 효과 = 244
 7. 창의성, 표상, 의사 전달과 ICT 활동 = 255
  1) 디지털 이미지 활동 = 261
  2) 인터넷과 www = 266
 8. 바람직한 미래의 ICT 유아교육 = 272
  1) 통합교육 활동 형태 = 272
  2) 협동 학습 형태 = 273
  3) 사회극놀이 형태 = 274
Chapter 8 ICT 교수매체와 교육 방법 = 277
 1. 유아교육에서의 교육 방법과 교육공학 = 278
  1) 지식 정보화 사회의 교육 방법 = 278
  2) 유아교육 방법 및 공학 = 279
 2. ICT 교수매체의 활용과 효과 = 280
  1) TV 매체 = 280
  2) 컴퓨터 매체 = 284
  3) 인터넷 매체 = 297
  4) 온라인 전자교재와 온라인 학습 = 302
  5) 원거리 교육 = 308
  6) 입력매체 = 309
  7) 보조매체 = 317
  8) 영사, 시각매체 = 319
  9) 그림 정보 입력매체 = 325
  10) 영상, 음성 입력매체 = 332
  11) 저장매체 및 연결기기 = 335
  12) 네트워크 관련 장비 = 337
  13) 전자 놀잇감 = 339
  14) 기타 최신 장비 = 343
Chapter 9 전자책과 포토앨범 = 345
 1. 전자책, 포토앨범 제작 = 346
 2. 플립앨범을 활용한 전자책 제작 = 349
 3. 포토잼을 활용한 포토앨범 제작 = 379
참고문헌 = 38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