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98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220924 | |
005 | 20100806112415 | |
007 | ta | |
008 | 060106s2005 a 001a kor | |
020 | ▼a 8991432042 ▼g 93740: ▼c \30,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82 | 0 4 | ▼a 410.1 ▼2 22 |
090 | ▼a 410.1 ▼b 2005a | |
100 | 1 | ▼a 윤만근 |
245 | 1 0 | ▼a 최소이론의 변천 / ▼d 윤만근.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한빛문화 , ▼c 2005. | |
300 | ▼a vi, 444 p. : ▼b 삽도 ; ▼c 26 cm. | |
500 | ▼a 부록: X-Bar theory | |
504 | ▼a 참고문헌(p.426-430)과 색인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2/ | 청구기호 410.1 2005a | 등록번호 1114878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2/ | 청구기호 410.1 2005a | 등록번호 1114878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10.1 2005a | 등록번호 1511920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10.1 2005a | 등록번호 1511920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2/ | 청구기호 410.1 2005a | 등록번호 1114878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2/ | 청구기호 410.1 2005a | 등록번호 1114878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10.1 2005a | 등록번호 1511920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10.1 2005a | 등록번호 1511920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윤만근(지은이)
[학력]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Victoria University TESL. Diploma East-West Center TESL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Ball State University 대학원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경력] 청주대학교 교무처장 역임 청주대학교 국제협력실장 역임 Fulbright 교환교수로 Central Connecticut State University에서 1년 간 한국학 (문화, 역사, 한국어) 강의 청주대학교에서 정년퇴임 [저서] ≪정확한 영문법, 완벽한 5형식≫, 글로벌콘텐츠, 2015년 ≪(개정판) 새로운 5형식 새로운 영문법≫, 글로벌콘텐츠, 2014년 ≪새로운 5형식 새로운 영문법≫, 글로벌콘텐츠, 2013년 ≪새로운 문의 5형식≫, 글로벌콘텐츠, 2012년 ≪최소이론의 변천≫, 경진문화사, 2006년 ≪(개정판) 최소이론의 변천≫, 한빛문화사, 2005년 ≪알기 쉽게 요약된 최소이론의 변천≫, 한빛문화사, 2003년 ≪Chomsky 생성문법의 변천≫, 경진문화사, 2001년 ≪최소이론의 변천≫, 경진문화사, 2001년 ≪지배결속이론≫, 경진문화사, 2001년 ≪영어통사론≫, 경진문화사, 2000년 ≪최소이론의 변천≫, 경진문화사, 1999년 ≪생성문법론≫, 한국문화사, 1997년 ≪생성통사론 입문≫, 한국문화사, 1996년 ≪생성통사론≫, 한국문화사, 1996년 ≪영어통사론≫, 형설출판사, 1991년 Richards and Rogers, Approaches and Methods. 2nd Edition: 윤만근 외 3인, ≪영어교수법≫(번역서), 캠브리지, 2001년.

목차
목차 제1장 Chomsky(1992)의 A Minimalist Program for Linguistic Theory 1.1. Some General Considerations = 1 1.2. 문법체계의 최소화 = 8 1.3. 문법원리의 최소화 = 9 1.4. 접합점이란 무엇인가? = 10 1.5. 경제성 원리 = 11 1.6. Fundamental Relations: X-bar Theory = 12 1.7. 기저구조의 생성 = 13 1.8. Move-α 와 GT = 17 1.9. Chomsky(1992)에서 영어의 기본 구조와 격점검 = 21 1.10. 최소이론에서의 조동사 구조 = 25 1.11. Economy Theory = 33 1.12.1. Principle of Shortest Chain: Elimination of Superiority and Wh-Island Condition = 36 1.12.2. Principle of Shortest Link: Elimination of Relativised Minimalily = 38 1.12.3. Principle of Fewest Steps = 42 1.12.4. Principle of Procrastinate: Explanation of Word Order Variations = 46 1.12.5. Principle of Greed = 47 1.12.6. Delete-α and Insert-α as Last Resort Conditions = 49 1.13. LF에서 형태론적 자질점검 = 53 1.14. 음운화(SPELL-OUT) = 56 1.15. Parameters for Morphological Features [+strong] vs [-strong] = 60 1.16. 기능범주의 흔적과 HMC = 63 1.17. 자질점검 과정 = 64 1.18. 확대조건(Extension condition) = 72 1.19. AGRsP의 주어와 TP의 주어 = 74 1.20. LF에서 목적어의 비-가시적 이동 = 76 1.21. Copy Theory of Movement = 78 1.22. 왜 동사구를 2층으로 설정하는가? = 79 1.23. 동사유형의 성격 = 85 1.24. VP-Internal Subject Hypothesis = 95 1.25. 논항은 오직 하나의 의미역만 받는 것일까? = 97 1.26. 요약 = 100 제2장 Chomsky (1994)의 Bare Phrase Structure 2.1. Overview = 106 2.2. 최초어휘 선택과 회수표시 (Initial Numeration) = 106 2.3. Bare Phrase Structure in a Minimalist Framework = 119 2.4. 비-대칭병합(Asymmetrical Merge) = 11 2.5. 타동사 구조에서 부사의 위치 = 117 2.6. Icelandic의 TEC(transitive expletive constructions) = 120 2.7. 영어의 TEC = 125 2.8. 언어는 완벽하다 (language is perfect) = 129 2.9. 요약 = 132 제3장 Chomsky (1995)의 The Minimalist Program 3.1. Chomsky(1995)의 일반적인 가정 = 135 3.2. The Cognitive System of Language Faculty: Computational Concept = 138 3.3. 음운화 (SPELL-OUT) = 142 3.4. 무엇이 이동을 유발시키는가? Last Resort: Some Problems = 142 3.5. Move-F = 145 3.6. Move-F as a Sublabel = 150 3.7. Interpretability of Features.점검이론의 문제점 = 152 3.8. Closeness(근접성)의 개념과 주어/목적어의 점검 = 157 3.9. Attract-F from Move-F Equidistance의 개념과 Closeness의 개념 = 161 3.10. 일반 허사-there 구조에서 허사-there와 제휴어의 점검 = 163 3.11. TEC에서 허사-there의 자질점검 = 169 3.12. ECM 구조에 나타난 허사-there = 173 3.13. Vb의 V-Raising과 수동문 구조, 인상동사 구조 및 비-대격동사 구조 = 175 3.16. 요약 = 178 제4장 Chomsky (1998)의 Minimalist Inquiries: The Framework 4.1. Background and Summary of Chapter 4 = 180 4.2. Architecture = 186 4.3. 문장의 기본구조 = 188 4.4. Phase란 무엇인가? = 190 4.5. Phase Impenetrability Condition and Peripheral Feature = 194 4.6. The Strong Thesis의 관점에서 본 비-해석자질 = 199 4.7. 탐색자(Probe)의 영역과 목표요소(Goal) = 203 4.8. 왜 자질유인을 포기했는가? = 205 4.9. 비-해석자질의 삭제가 이동을 유발시킨다 = 207 4.10. 허사-there의 분석 = 212 4.11. Outer Specs와 Inner Specs = 215 4.12. 새로운 연쇄(Chain)의 정의: 내포성 조건과 연쇄 = 218 4.13. 음운화(SPELL-OUT) = 222 제5장 Chomsky (1999)의 Derivation by Phase 5.1. Generation Assumptions = 227 5.2. Summary of Chapter 5 = 229 5.3. 비-해석자질의 삭제와 이동 = 232 5.4. Defective and Non-Defective Clauses = 237 5.5. 동사유형의 성격(강-명제구와 약-명제구의 구별) = 242 5.6. Derivation by Phase = 249 5.7. Thematization and Extraction = 254 5.8. Chain and Passive = 257 제6장 Chomsky (2001)의 Beyond Explanatory Adequacy 6.1. Chomsky's New Assumptions on Language Acquisition = 264 6.2. Summary of Chapter 6 = 265 6.3. Nature is Perfect and so is Language = 266 6.4. Disaggregation of "So(LAD)" into Principled Explanations = 268 6.5. Derivation of Narrow Syntax = 274 6.6. Operation of TRANSFER = 276 6.7. Elimination of Spec-Head Relation and Introduction of OCC = 278 6.8. A New Definition for Overt and Covert Movement, and Multiplicity (Duality) of Semantic Properties in Derivation = 287 6.9. 부사의 위치와 부가구조 = 297 6.10. Fox and Nissenbaum's(1999) QR and Late merge = 300 6.11. Counter-Cyclicity should be Evaluated at the Highest Strong Phase = 305 6.12. 최소이론의 변천을 통해본 최소주의 문법론의 전망 = 310 제7장 Chomsky(1998, 1999, 2001)에 의한 언어자료 분석 7.1. Overview = 313 7.2. 비-해석자질이란 무엇인가? = 314 7.3. 주어명사와 목적어명사의 자질점검 = 317 7.4. 강-명제구(strong phase)의 자질점검 = 323 7.5. 약-명제구의 구조 = 335 7.5.1. Passive Predicates의 자질점검 = 340 7.5.2. Unaccusative Predicates의 자질점검 = 345 7.5.3. Raising Structures의 자질점검 = 349 7.6. EPP and Agreement in Control Infinitives = 352 7.7. EPP in Defective Clauses = 357 7.8. Yes/No Question과 Wh-Question의 자질점검 = 363 7.9. Split Projection of CP = 377 7.10. Split CP: Finiteness Projection = 384 제8장 부록: X-Bar Theory 8.1 전 언어적, 전 범주적 일반화 = 388 8.2. X-Bar 존재의 증거 = 390 8.3. X-Bar 이론에 의한 범주 분석 = 391 8.3.1. 명사구 = 391 8.3.2. 보어와 부가어 = 392 8.3.3. 명사 전 수식어 = 395 8.3.4. 형용사의 명사 전 수식어 = 397 8.3.5. 동사구 = 399 8.3.6. 형용사구 = 404 8.3.7. 전치사구 = 406 8.3.8. 부사구 = 407 8.4. X-Bar 이론에서의 조동사 구조 = 408 8.5. Fukui(1986)와 Abney(1987)의 DP(NP) 분석 = 408 8.6. X-Bar 이론에서의 문장 분석 = 417 참고문헌 = 426 중요용어 영한번역 대조표 = 431 찾아보기 (국문) = 435 찾아보기 (영문) = 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