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국민총소득의 순환 = 25
1.1 국민총소득의 개념 = 26
1999년 이전의 국민소득의 개념 = 26
새로운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소득의 개념 = 28
1.2 자연국민소득과 자연생산 = 29
실제국민소득 = 29
자연국민소득 = 30
1.3 국민총소득의 순환 = 31
총수요와 총공급 = 31
국민소득 삼면등가의 법칙 = 32
국민소득의 순환 = 32
1.4 국민총소득의 생산 = 34
생산국민소득 = 34
생산요소 = 34
총생산함수 = 34
총생산함수 논쟁 = 36
1.5 국민총소득의 분배 = 37
1.6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 37
총지출 = 37
소비지출 = 38
투자지출 = 39
정부지출 = 40
조세 = 40
1.7 총지출에 대한 화폐의 흐름 = 41
화폐공급 = 41
화폐수요 = 41
1.8 거시경제변수의 구분 = 42
1.9 거시경제의 정형화된 사실 = 43
제2장 최단기 거시경제 = 47
2.1 이자율 = 47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 48
실질이자율과 자연이자율 = 48
2.2 금융시장의 균형 = 49
2.3 생산물시장의 균형 = 50
2.4 왈라스 법칙 = 51
2.5 거시경제의 시장구분 = 53
거시경제의 5대 시장 = 53
거시경제의 3대 시장 = 54
일반균형 = 56
제3장 거시경제의 단기문제 = 57
3.1 국민소득과 물가 = 57
3.2 물가와 생산 = 60
가격신축성과 수량신축성 = 60
자연가격 신축성과 자연생산 경직성 = 61
3.3 실업 = 61
실제실업률 = 61
자연실업률 = 62
자연실업률의 결정 = 63
3.4 비자발적 실업과 자발적 실업 = 64
3.5 오쿤의 법칙 = 66
3.6 단기고용과 자본 = 66
3.7 경제의 자연 현상 = 67
자연물가와 자연이자율의 관계 = 67
자연이자율과 자연실업률 = 68
자연실업과 자연생산 = 68
자연가격의 신축성 = 68
자연가격의 안정성 = 68
자연 현상의 검정 = 69
자연 현상과 금융 = 70
자연상태와 경기변동 = 70
제4장 거시경제의 단기적 특징 = 71
4.1 총수요 = 72
총수요함수 = 72
총수요곡선의 이동 = 72
4.2 총공급 = 73
수직총공급곡선: 수량경직성 = 74
수평총공급곡선: 물가경직성 = 75
4.3 물가경직성의 의미 = 76
가격경직 현상 = 76
케인즈 학파의 가격경직성 의미 = 77
4.4 수량경직성의 의미 = 77
가격신축 현상 = 77
고전학파의 수량경직성 의미 = 77
4.5 자연가격의 결정과 수직공급곡선 = 78
4.6 가적경직성과 수량경직성의 차이 = 79
부록 4A : 자연가격의 결정 = 81
제5장 총수요 Ⅰ = 85
5.1 힉스의 IS-LM모형 = 86
IS곡선의 대수식 = 86
LM곡선의 대수식 = 87
IS-LM모형 = 88
5.2 생산물시장과 IS곡선 = 89
투자와 IS곡선 = 95
IS곡선의 이동 = 96
5.3 화폐시장과 LM곡선 = 97
화폐수요 = 97
화폐공급 = 100
이자율의 결정 = 100
화폐공급의 증가 = 102
화폐시장의 균형과 LM곡선 = 102
화폐정책과 LM곡선의 이동 = 104
5.4 IS-LM모형의 요약 = 105
실물부문과 화폐부문의 통합 = 105
실물부문과 화폐부문의 분리 = 106
화폐수요와 투자의 이자율탄력성 = 106
부록 5A : 소비함수와 투자함수의 미시경계학 = 107
5A.1 소비함수 = 107
5A.2 투자함수 = 112
5A.3 정부재정 = 115
부록 5B : 화폐의 미시경제학 = 119
5B.1 화폐의 수요 = 119
5B.2 화폐의 공급 = 120
제6장 총수요 Ⅱ = 123
6.1 단기경기변동의 설명 = 124
물가경직 하의 IS-LM모형 = 124
화폐정책 = 126
재정정책 = 127
화폐정책과 재정정책 = 130
거시계량경제모형 = 133
기타 외부변화 = 133
6.2 미국의 대공황 = 134
지출가설 = 134
화폐가설 = 137
최근의 해석 = 139
6.3 미국의 물가상승 = 139
6.4 이자율경직 하의 IS-LM모형 = 140
6.5 수량경직 하의 IS-LM모형 = 142
6.6 확실성 하의 IS-LM : 재조명 = 144
6.7 독일의 초물가상승 = 146
6.8 불확실성 하의 IS-LM모형 = 147
불확실성 하에서 IS함수 = 147
불확실성 하에서 LM함수 = 148
불확실성 하에서 IS-LM모형 = 149
6.9 요약 = 152
부록 6A : 회귀직선 = 152
부록 6B : 투영 = 156
제7장 단기개방경제 = 159
7.1 먼델-플레밍모형 = 160
기본모형 = 161
확장 IS-LM모형 1 = 162
확장 IS-LM모형 2 = 164
7.2 변동환율 하의 소규모 개방경제 = 165
재정정책 = 166
화폐정책 = 167
7.3 대규모 개방경제 하의 IS-LM모형 = 168
자본수지 = 168
국제수지 균형식 = 170
대규모 개방경제의 일반균형 = 171
대내균형과 대외균형 = 173
재정정책 = 175
화폐정책 = 175
7.4 한국의 금융 - 외환위기 = 176
베짓처방 = 177
베짓처방과 IS-LM-BB모형 = 178
금융시장의 위기와 베짓처방 = 180
제8장 총수요 Ⅲ = 183
8.1 IS-LM모형과 총수요함수 = 183
총수요함수 = 183
8.2 총수요곡선의 이동 = 186
8.3 총수요함수와 교환방정식 = 189
8.4 총수요함수와 승수 효과 = 189
8.5 총수요함수 논쟁 = 190
재정정책 대 화폐정책 = 190
화폐수요의 이자율탄력성 = 191
소비성향의 안정성 대 유통속도의 안정성 = 192
국민소득의 결정 요인 = 194
8.6 세 가지 총수요 모형 = 195
8.7 정부지출의 비효율성과 총수요함수 = 195
정부생산의 독점 = 196
총수요함수 = 202
제9장 총공급 Ⅰ = 207
9.1 총공급의 네 가지 모형 = 209
9.2 새 고전학파 모형 = 209
오인모형 = 210
불완전 정보모형 = 212
새 고전학파 모형과 고전학파 = 215
9.3 새 케인즈 학파 모형 = 215
임금경직성 모형 = 215
가격경직성 모형 = 218
9.4 총공급함수 = 220
9.5 모형의 검정 = 222
검정 1 = 222
검정 2 = 224
최근 추세 = 224
제10장 총공급 Ⅱ = 227
10.1 수량경직성과 가격경직성 = 227
10.2 새 고전학파 모형 = 227
합리적 기대가설 = 228
10.3 새 케인즈 학파 모형 = 234
임금경직성에 대한 미시경제이론 = 235
가격경직성에 대한 미시경제이론 = 243
10.4 요약 = 247
제11장 총공급 Ⅲ = 249
11.1 총공급곡선과 필립스곡선 = 249
필립스곡선의 발견과 자연실업률 가설 = 252
불확실성의 시대 = 256
11.2 필립스곡선과 정책적 함의 = 257
물가하락과 희생률 = 257
물가상승률의 비효용함수 = 258
합리적 기대와 희생 없는 물가하락 = 259
소득정책 = 260
11.3 근원물가상승률 = 261
화폐주의자 = 262
케인즈 학파 = 263
11.4 필립스곡선의 중요성 = 264
제12장 거시경제정책 = 265
12.1 거시정책의 효과 = 266
12.2 총수요-총공급 모형 = 266
기본 모형 = 266
12.3 화폐정책 = 268
화폐정책의 효과 = 268
합리적 기대균형 = 269
화폐정책 무력성 = 270
루카스 비판과 정책무력성 = 272
검정 1 = 273
검정 2 = 274
반 루카스 비판 = 275
12.4 이자율정책 = 276
검정 = 279
12.5 재정정책 = 279
재정정책의 무력성 = 281
12.6 계량경제학적 실증분석 = 282
상관관계 = 283
계량경제학적 해석 = 283
12.7 관찰의 동등성 = 287
12.8 정책의 문제 = 290
시차 = 290
예측의 어려움 = 292
과거의 기록 = 293
12.9 준칙과 재량 = 294
불신 = 294
시간불일치 문제와 물가상승의 실증이론 = 295
시간불일치와 중앙은행 독립 문제 = 297
화폐정책의 준칙 = 298
화폐정책의 재량 = 299
재정정책의 재량 = 300
12.10 이론과 정책적 함의 = 302
새 케인즈 학파 = 302
새 고전학파 = 303
12.11 거시증권, 임금신축성 그리고 화폐중립 = 304
거시증권과 임금신축성 = 309
12.12 가격신축성 = 312
제13장 실물경기변동 = 315
13.1 케인즈 학파의 실물경기변동이론 = 317
투자의 이중 효과 = 317
투자의 불안정성 = 318
힉스의 경기변동론 = 319
경기변동식의 풀이 = 321
경기변동의 모습 = 325
경기변동의 원인: 임금경직성의 재조명 = 326
13.2 새 고전학파의 실물경기변동 = 328
가격신축성 하의 IS-LM모형 재조명 = 328
실물총수요함수와 실물총공급함수 = 329
13.3 실물총공급의 특성 = 330
노동시장의 시제 대체성 = 332
검정 = 333
변형시간근무제의 의의 = 334
실물총공급함수 = 334
13.4 실물총수요와 실물총공급 = 335
단기경기변동 = 336
13.5 새 고전학파 실물경기변동 논쟁 = 337
실업에 대한 해석 = 338
화폐의 중립성 = 339
임금과 가격의 신축성 = 339
기술진보의 중요성 = 340
경기변동의 비용 = 342
제14장 경제성장 = 345
14.1 경계성장이론의 문제 = 345
경제성장의 원천 = 346
칼도어의 정형화된 사실 = 347
14.2 케인즈 학파 = 347
투자의 이중성: 재조명 = 348
해로드-도마의 모형 = 348
해로드-도마의 경기변동 = 351
14.3 신고전학파 = 358
총생산함수와 보수불변의 법칙 = 359
수확체감과 소득분배 = 360
중립적 기술진보와 소득분배 = 362
집약형 생산함수 = 363
솔로우-스완의 신고전학파 성장 방정식 = 366
기술진보와 칼도어의 정형화된 사실 = 373
국가간 성장비교 = 375
성장의 황금률: 최적 자본축적의 결정 = 380
자원배분과 자원이용 = 386
14.4 내생적 기술진보와 내생적 경제성장 = 387
로머의 내생적 기술진보 = 388
기술진보와 계속성장 = 389
수확체증과 계속성장 = 390
이자율 발생근거 = 391
우상향 노동수요 = 392
한국의 계속 성장 = 393
14.5 내생적 성장의 의의 = 394
14.6 인적자본의 중요성 = 395
14.7 기술진보의 의의 = 397
14.8 새 고전학파의 총공급정책 = 398
14.9 성장과 분배 = 400
14.10 우상향 노동수요의 의의 = 404
부록 14A : 성장에 있어서 수요측면과 공급측면의 상대적 중요성 = 404
맺는 말 : 자유주의 경제학의 역사 = 407
참고문헌 = 427
색인 =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