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97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220529 | |
005 | 20120914111457 | |
007 | ta | |
008 | 050902s2005 ulka b 001c kor | |
020 | ▼a 8957800344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0062259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658.46 ▼2 22 |
085 | ▼a 658.46 ▼2 DDCK | |
090 | ▼a 658.46 ▼b 2005 | |
100 | 1 | ▼a 조영대 |
245 | 1 0 | ▼a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 / ▼d 조영대 저 |
246 | 0 1 | ▼a Business consulting service |
260 | ▼a 서울 : ▼b 남두도서, ▼c 2005 | |
300 | ▼a 364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부록: 1. 기본 부문 및 각 부문 컨설팅 계수. 2. 국내 컨설팅 회사. 3. 컨설팅 제안서의 예 A. 4.컨설팅 제안서의 예 B | |
504 | ▼a 참고문헌(p. [357]-360)과 색인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58.46 2005 | 등록번호 1211148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58.46 2005 | 등록번호 12111489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조영대(지은이)
미국 Marshall Univ.에서 객원교수로 연구했으며, 대구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와 위틱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KOLON 그룹 산하의 (주)KOLON F&T에서 근무하였으며, 1984년 KOLON 그룹 최우수 사원상을 수상했다. (주)두리비즈니스컨설팅에서 컨설턴트로, (주)대한비즈니스컨설팅에서는 자문위원과 호텔 · 외식산업 & 관광개발연구소장을 지냈다. 현재는 포항대학교 관광호텔 마린비즈 계열교수, 호텔 조리커피제빵과 교수로 강의와 연구 컨설팅을 수행 하고 있다. (사)대한관광경영학회 회장, 한국커피학회 초대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카페레스토랑마스터 협회 총재를 맡고 있다. 주요저서 및 논문 • 직무적합성이 갈등관리방법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조영대 외, 한국경영학회, 1994) • 호텔종사원의 직장몰입에 관한 연구(대한관광경영학회, 1996) • 호텔종사원의 노조몰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대한관광경영학회, 1999) 외 다수 • 적정수준의 갈등관리(조영대 외, 1978. 05, 한국능률협회) • 경영정보 시스템과 조직행동(조영대, 1996. 01, 홍익출판사) • 최신 경영 관광관련 용어사전(조영대 외, 1997. 04, 백산출판사) • 관광과 서비스(조영대 외, 2004. 02, 현학사) • 관광학개론의 이해(조영대 외, 2005. 03, 남두도서) • 비지니스 컨설팅 서비스(조영대, 2005. 08., 남두도서) • 서비스학개론(조영대, 2003. 03, 현학사) • 서비스학개론(조영대, 2007. 02, 세림출판사) • 양주와 칵테일 실무(조영대 외, 2007. 03, 도서출판 갈채) • 호텔식음료 경영실무(조영대 외, 2007. 03, 도서출판 갈채) • 글로벌에티켓과 매너(조영대, 2010. 06, 백산출판사) • 고품위 서비스 실무(조영대 외, 2011. 04, 남두도서) • 명상치료(조영대, 2012. 02, 세림출판사) • 커피바리스타 마스터 2015(조영대, 2015. 02, 한올출판사) 커피바리스타 마스터 2016(조영대, 2016. 03, 한올출판사) 커피바리스타 마스터 2018(조영대, 2018. 01, 한올출판사) 커피바리스타 마스터 2019(조영대, 2019. 03, 한올출판사) • 111가지 카페메뉴 레시피(조영대, 2019. 06, 한올출판사)

목차
목차 제1장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의 이해 1.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의 정의 = 13 2. 컨설팅의 필요성 = 19 제2장 우리나라의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 1. 우리나라의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의 발전과정 = 31 2. 우리나라 경영ㆍ기술지도사 제도 = 41 3. 우리나라 컨설팅업계의 현황 = 43 4. 우리나라 대표적 컨설팅업체 = 46 (1) 한국생산성본부(KPC) = 47 (2) 한국표준협회(KSA) = 48 (3) 한국능률협회(KMA) = 49 (4) 한국능률협회 컨설팅(KMAC) = 49 5. 우리나라 컨설팅의 문제점과 전망 = 50 제3장 세계의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 1. 일본의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 = 63 (1) 일본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의 발전방향 = 63 (2) 일본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의 문제점 = 71 2. 선진국의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 = 72 (1) 미국의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 = 73 (2) 영국의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 = 76 (3) 호주의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 = 77 3. 국내 진출 외국 컨설팅업체의 현황 = 77 제4장 컨설팅의 역할과 영역 1. 컨설팅의 역할 = 89 (1) 컨설팅의 역할 = 89 (2) 컨설팅 기법의 특징 = 90 (3) 향후 컨설팅의 과제 = 90 2. 컨설팅의 대상 = 91 (1) 컨설팅의 범위 = 91 (2) 컨설팅의 대상 = 92 3. 컨설팅의 영역 = 94 (1) 기본 컨설팅의 영역 = 94 (2) 부문 활동과의 관련 컨설팅 영역 = 94 (3) 서비스 범위에 따른 컨설팅 영역 = 95 제5장 컨설턴트의 자세와 직업윤리 1. 컨설턴트 = 103 (1) 컨설턴트의 자격 = 103 (2) 컨설턴트의 진로 = 104 2. 컨설팅의 자세 = 107 (1) 컨설팅의 객관성 = 107 (2) 컨설팅의 태도 = 107 (3) 기초적인 준비사항 = 109 (4) 컨설턴트의 조건 = 109 3. 컨설턴트의 직업윤리 = 112 제6장 컨설팅 준비 1. 기업과 환경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 121 2. 환경변화에 기업은 어떠한 메커니즘으로서 적응하는가? = 124 3. 경영체질의 파악 = 125 4. 경영자원은 어떠한 구실을 하는가? = 128 제7장 컨설팅의 관점 1. 컨설팅의 '단면'을 어디서 찾을 것인가? 137 2. 기업의 '생리'를 진단하는 것인가, '병리'를 진단하는 것인가 = 137 3. 판단을 어렵게 하는 3가지 사정 = 139 4. '경영을 하는' 것과 '경영을 컨설팅하는' 것과의 차이 = 141 5. 기업의 '전체 상황'을 어떻게 파악하는가? = 143 6. 기능 진단의 방법 = 145 7. 프로세스 진단의 방법 = 146 제8장 컨설팅의 진행방법 1. 컨설팅 실시 과정모델 = 155 (1) 르윈과 샤인의 모델 = 155 (2) 콜브와 프록만의 모델 = 155 (3) 매거리슨의 모델 = 156 (4) 밀란의 모델 = 159 (5)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의 모델 = 160 2. 컨설팅 실시의 과정 = 161 (1) 제1단계 : 조사 = 162 (2) 제2단계 : 진단 = 164 (3) 제3단계 : 편성ㆍ조정 = 164 (4) 제4단계 : 권고 = 164 제9장 조사의 진행방법 1. 조사의 실제적 방법 = 173 (1) 예비 조사 = 173 (2) 조사와 분석 = 176 2. 조사의 진행방법 = 177 (1) 조사의 과정 = 177 (2) 경영 내부요인에 관한 자료의 정비 = 180 (3) 경영 외부요인에 관한 자료의 정비 = 186 3. 경영성과의 파악 = 193 (1) 경영성과를 파악하는 절차 = 194 (2) 종합성과의 분석 = 196 (3) 자본활동의 측정 = 198 제10장 컨설팅의 실제 1. 컨설팅의 전개와 중점 파악 = 209 (1) 중점항목의 선정 = 209 (2) 기업경영의 공통과제 = 212 2. 문제점의 검토방법 = 218 (1) 컨설팅 계수의 판단 = 219 (2) 컨설팅의 체크방법 = 231 제11장 기본 컨설팅 1. 기본 부문의 컨설팅 사항 = 241 (1) 경영철학과 경영이념의 컨설팅 = 241 (2) 경영전략의 컨설팅 = 243 (3) 최고경영자의 전략컨설팅 = 246 (4) 조직의 병증 진단 = 249 제12장 부문별 컨설팅 1. 조직 부문의 컨설팅 = 261 (1) 경영조직 = 261 (2) 환경변화와 미래의 조직방향 = 264 2. 재무 부문의 컨설팅 = 266 (1) 기업재무와 재무관리 = 266 (2) 재무관리의 목표 = 268 3. 마케팅 부문의 컨설팅 = 272 (1) 제품믹스계획 = 277 (2) 판매촉진 = 277 4. 물류 부문의 컨설팅 = 279 5. 구매ㆍ자재 부문의 컨설팅 = 281 (1) 구매관리 기능 = 281 (2) 구매관리 과정 = 282 (3) 자재관리의 목표 = 282 6. 생산ㆍ운영 부문의 컨설팅 = 284 (1) 생산ㆍ운영 관리 = 284 (2) 재고관리 = 285 (3) 품질관리 = 285 7. 노사관계 부문의 컨설팅 = 286 (1) 고충처리 = 286 (2) 임금의 개념 = 286 8. IT 부문의 컨설팅 = 292 (1) 정보관리 = 292 (2) 정보시스템의 유형 = 293 (3) IT 컨설팅의 중요성 = 295 (4) IT = 297 제13장 최종보고서의 작성 1. 문제점의 확인과 종합조정 = 305 2. 개선ㆍ권고와 순위 매김 = 307 3. 개선권고안 양식 = 308 4. 개선권고안 작성방법 = 309 5. 개선권고안의 활용방법 = 312 6. 종료단계 = 313 부록 1. 기본 부문 및 부문 컨설팅 계수 = 321 2. 국내 컨설팅 회사 = 327 3. 컨설팅 제안서의 예 A = 331 4. 컨설팅 제안서의 예 B = 342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