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34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220425 | |
005 | 20100806111801 | |
007 | ta | |
008 | 051116s2005 ggkaj b 001c kor | |
020 | ▼a 8935657980 | |
035 | ▼a (KERIS)BIB000010209141 | |
040 | ▼d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780.92 ▼2 22 |
090 | ▼a 780.92 ▼b 2005f | |
100 | 1 | ▼a 윤신향 ▼g 尹信香 , ▼d 1964- |
245 | 1 0 | ▼a 윤이상, 경계선상의 음악 / ▼d 윤신향 지음. |
260 | ▼a 파주 : ▼b 한길사 , ▼c 2005. | |
300 | ▼a 326 p. : ▼b 삽도, 연보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273-282), 색인수록 | |
600 | 1 4 | ▼a 윤이상 ▼g 尹伊桑 ▼d 1917-1995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780.92 2005f | Accession No. 1211203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780.92 2005f | Accession No. 1211203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05년 작곡가 윤이상 선생의 서거 10주기를 맞이하여 출간된 평전이다. '동백림간첩단사건'에 연루되어 1969년 독일로 추방된 후, 39년이라는 세월을 유럽에서 활동한 현대 작곡가 윤이상의 삶과 음악을 재조명했다. 책의 첫 머리에 흑백사진, 악보 등의 화보를 수록하고, 말미에는 상세한 작품 연보와 음반 연보를 실었다.
'예악', '가곡', '영상', '무악' 등 대표적인 작품분석을 통해, 동서문화의 정신적 상관관계와 여기에서 파생하는 문화적 소통관계를 탐구하고자 했다. 이 의도는 윤이상이 스스로 지녔던 문제의식과도 부합하는 것이다. 동아시아 전통음악과 서양 현대음악의 중재자로서, 두 세계 사이를 치열하게 살다 간 윤이상의 작품세계와 정체성을 심도있게 다룬 책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왜 윤이상인가ㆍ서문 = 21 제1부 창작의 갈래 길 1 통영에서 베를린까지 음악언어와 문화세계 = 33 음악에서의 만남 = 33 통영과 베를린 사이에 난 길 = 35 윤이상 연구의 논점 = 38 2 서양 현대의 음향공간 새로운 시공간관 = 45 침묵과 영상의 음향언어 = 48 다문화 간의 음악적 만남 = 51 3 동아시아 전통의 사유공간 침묵의 시공간 = 55 변화와 무명의 예술 = 57 예악사상 = 60 4 한국 전통음악의 소묘 전통음악의 주요갈래 = 65 악기, 이론, 연주기법 = 72 풍류와 한, 그리고 놀이 = 74 제2부 동아시아 전통에서 서양 현대로 1 작곡적 정체를 찾아서 다름슈타트의 도전 = 79 자아관과 음악관 = 82 작곡기법 = 89 작품세계 = 96 2 대관현악곡「예악」: '제3의 공간'의 음향언어 음향구조와 악기군의 정렬구도 = 104 음향재료와 흐름의 특성 = 111 한국 전통음악의 양식적 응용과 재료화 = 118 음향면의 특징적 제스처 = 124 음향조형의 지각 = 130 '제3의 공간'의 음향언어 = 133 3 목소리ㆍ기타ㆍ타악기를 위한「가곡」: 소리예술에서 음색작곡으로 음향구조와 음향음절 = 140 인성(人聲)의 조직 = 147 기악의 음향조직 = 153 두 성부의 관계 = 161 모국어의 소리 제스처 = 163 소리예술에서 음색작곡으로 = 165 제3부 문화의 경계선상에서 1 간(間) 장르적 작곡구상의 토대 주요음(향)모델 = 175 소리와 이미지의 공존 = 177 2 네 개의 악기를 위한「영상」: 미술표상의 실내악적 묘사 음향구조와 연주기법 = 182 음향흐름의 형태적 특성 = 186 흐름의 접속 = 189 그림 이미지와 음향지각의 문제 = 192 3 대관현악을 위한 무용환상「무악」: 무용표상의 관현악적 연출 음향구조와 관현악기법 = 198 오보에군의 음향율동 = 203 장면의 접속 = 206 춤 이미지와 음향지각의 문제 = 210 4 통합예술적 음향서사 음향 제스처의 간(間) 장르성 = 215 통합적 음향서사의 간(間) 문화성 = 220 제4부 두 세계 사이 1 음향의 빛과 그림자 경계선상의 창작 = 231 제스처적 주요음(향) = 233 개인적인 것의 객체화 = 238 작품의 이중성 = 243 빛-그림자의 음향언어, 융화냐, 혼합이냐 = 246 2 윤이상과 다른 작곡가들 윤이상과 바레즈 = 253 윤이상과 리게티 = 258 3 윤이상 해석과 연구의 조망 연주에 관한 문제 = 263 '이중 조망'과 연구의 과제 = 265 정치적 그늘로부터 자유로운 음악을 위하여ㆍ후기 = 269 참고문헌 = 273 연보 = 283 작품 연보 = 287 음반 연보 = 303 찾아보기ㆍ인명 = 323 찾아보기ㆍ작품 =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