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창조성의 탐구 = 13
Ⅰ. 창조성의 본질 = 15
1. 창조의 어의 = 15
2. 창조성의 의미 = 16
3. 창조성의 본질 = 19
Ⅱ. 창조성의 성질 = 24
1. 창조성의 신체ㆍ생리적 성질 = 25
2. 창조성의 사회적 성질 = 35
3. 창조성의 이지적 성질 = 44
4. 창조성의 도덕적 성질 = 51
5. 창조성의 예술적 성질 = 56
6. 창조성의 종교적 성질 = 60
Ⅲ. 창조성의 기능 = 63
1. 욕구와 창조성 = 64
2. 사고와 창조성 = 65
3. 활동과 창조성 = 67
Ⅳ. 창조성의 발동과정 = 70
제2장 교육과 창조 = 73
Ⅰ. 창조성의 교육적 기반 = 75
Ⅱ. 창조주의 = 80
1. 인문주의 = 80
2. 진보주의 = 81
3. 학문주의 = 82
4. 문화주의 = 83
5. 창조주의 = 83
Ⅲ. 창조주의 교육 = 85
1. 창조성 개발교육 = 85
2. 인간성 본질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 = 91
3. 창조주의 교육 = 101
Ⅳ. 창조주의 교육관 = 108
1. 교육의 본질관 = 108
2. 교육과 문화보존 = 108
3. 교육과 문화창조 = 109
4. 창조주의 교육관 = 111
제3장 창조성의 개발을 위한 방법 = 113
Ⅰ. 창조성 개발의 의의 = 115
Ⅱ. 창조성 개발방법 = 115
1. 창조성의 신체ㆍ생리적 성질의 개발 = 115
2. 창조성의 사회적 성질의 개발 = 117
3. 창조성의 이지적 성질의 개발 = 118
4. 창조성의 도덕적 성질의 개발 = 120
5. 창조성의 예술적 성질의 개발 = 121
6. 창조성의 종교적 성질의 개발 = 122
Ⅲ. 창조적 인간 특성 = 123
1. 창조적 인간 특성 = 123
2. 창조성에 대한 견해 = 125
3. 창조성 요인에 대한 분석과 연구 = 125
4. 창조력 평가의 예 = 129
Ⅳ. 창조성개발을 위한 교수 모형 = 132
1. 비유적 모형 = 132
2. 탐구훈련모형 = 141
3. 체크리스트법(idea checklist) = 145
4. 집단탐구 모형 = 146
5. 귀납적 모형 = 156
6. 창조성 개발교육의 교수-학습 모형(이종록, 2000) = 159
제4장 인간과 건강 = 165
Ⅰ. 건강의 의의 = 167
Ⅱ. 정신적 건강 = 167
Ⅲ. 정서적 건강 = 168
1. 건설적으로 현실을 대처해 가는 능력 = 169
2.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 = 169
3. 미래지향적 선택능력 = 170
4. 합리적인 독립심 = 170
5. 긴장, 불안의 억압에서의 자유 = 170
6. 타인에 대한 관심 = 171
7. 만족심을 갖는 대인관계 = 171
8. 사랑하는 능력 = 172
9. 생산적인 능력 = 172
Ⅳ. 체육과 건강 = 173
1. 체육의 목적 = 173
2. 체육은 창조활동 = 174
3. 정서를 위한 레크리에이션 교육 = 175
4. 체력의 요소 = 176
Ⅴ. 생리적 건강 = 180
1. 생리적 건강 = 180
2. 생리학의 분과 = 182
3. 생물체의 특징 = 182
제5장 인간과 사회 = 187
Ⅰ. 사회의 의의 = 189
Ⅱ. 사회의 본질 = 190
Ⅲ. 사회와 개인 = 193
1. 상호의존의 관계 = 193
2. 사회의 개인에 대한 의존 = 193
3. 개인의 사회에 대한 의존 = 194
Ⅳ. 사회의 종류 = 195
1. 사회의 분류 = 195
2. 자연사회와 인위사회 = 195
3.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 196
Ⅴ. 현대사회의 특질 = 198
Ⅵ. 사회의 인간화와 최선아(最善我)의 실현 = 199
1. 사회의 인간화 = 199
2. 최선아의 실현 = 201
Ⅶ. 사회교육의 제창 = 204
Ⅷ. 교육의 사회적 기능 = 205
Ⅸ. 사회변화의 적응 = 208
Ⅹ. 사회발전과 교육 = 210
XI. 사회화의 효율 = 212
제6장 인간과 지성 = 215
Ⅰ. 지성의 의의 = 217
Ⅱ. 경험과 사고 = 218
1. 경험과 사고의 위치 = 218
2. 사고와 결과 = 220
3. 사고와 미완결된 사태 = 221
4. 사고와 모험 = 221
5. 사고로서 경험 = 223
Ⅲ. 지성의 판별에 대한 기준 = 225
1. 지성의 위치 = 225
2. 지적과정과 사고 = 228
3. 대화 방식과 기준 = 229
4. 지적 능력 = 230
Ⅳ. 이론적 구성과 활용 = 232
1. 이론 구성 = 232
2. 이론 구성의 작업 = 235
Ⅴ. 지성의 우선권 = 238
1. 지성의 구별 = 238
2. 지적 활동 = 240
Ⅵ. 인식론 = 241
1. 인식론 = 241
2. 지식 이론 = 242
제7장 인간과 도덕 = 245
Ⅰ. 도덕의 의의 = 247
Ⅱ. 도덕의 근거 = 249
1. 교육의 근본으로서의 도덕교육 = 249
2. 가치창조로서의 도덕교육 = 250
3. 인간의 도덕적인 갈망 = 250
Ⅲ. 도덕교육의 방법 = 250
1. 도덕적 교육의 이론 = 250
2. 도덕적 교육의 방법 = 251
Ⅳ. 도덕교육의 과제 = 252
Ⅴ. 인격의 통합 = 253
제8장 인간과 예술 = 259
Ⅰ. 예술이란? = 261
Ⅱ. 예술적 본질 = 262
1. 미의 창조 = 262
2. 예술작품과 본질 = 267
3. 예술의 독특한 형성 작용 = 268
4. 예술의 분류 = 269
5. 예술의 기원 = 272
Ⅲ. 예술의 본질에 관한 학설 = 274
1. 모방설 = 275
2. 유희설 = 275
3. 감정이입설 = 276
4. 자기표현설 = 277
Ⅳ. 미의 종류 = 277
제9장 인간과 종교 = 279
Ⅰ. 종교 = 281
1. 종교의 의의 = 281
2. 종교특성 = 281
3. 종교의 근본적 요소 = 282
4. 종교적 사랑 = 284
Ⅱ. 종교와 창조성 = 286
1. 창조성과 종교 = 286
2. 각 종교의 내용과 특징 = 288
Ⅲ. 창조성과 종교 = 294
제10장 인간과 창조 = 295
Ⅰ. 자아 개념 = 297
1. 의미 = 297
2. 심리적 이해 = 297
3. 실존적 이해 = 298
Ⅱ. 자아 발견 = 299
1. 종교적 자아 = 299
2. 이성적 자아 = 299
3. 제작적 자아 = 300
4. 사회적 자아 = 300
5. 도덕적 자아 = 301
6. 창조적 자아 = 302
Ⅲ. 창조적 자아와 교육 = 304
1. 창조적 자아 = 304
2. 자아와 교육 = 308
Ⅳ. 창조적 지식과 교육 = 310
1. 기본적 욕구 = 310
2. 창조적 지식과 기술 = 311
Ⅴ. 역사의 창조 = 313
Ⅵ. 창조적 자아와 가치창조 = 315
참고문헌 = 319
찾아보기 =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