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98namccc200193 k 4500 | |
001 | 000045219065 | |
005 | 20100806110133 | |
007 | ta | |
008 | 051229s2005 ulk 000a kor | |
020 | ▼a 8974148234 ▼g 03000: ▼c \13,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82 | 0 4 | ▼a 373.12 ▼2 22 |
090 | ▼a 373.12 ▼b 2005 | |
110 | ▼a 수도권학생생활연구회 . ▼b 학급운영분과 . ▼b 함성 | |
245 | 2 0 | ▼a (학교를 살리는)학급운영 / ▼d 수도권 학생생활연구회 학급운영분과 '함성. |
246 | 1 3 | ▼a 꿈꾸는 교사들의 살아 있는 학급운영 철학 |
260 | ▼a 서울 : ▼b 푸른나무 , ▼c 2005. | |
300 | ▼a 352 p. ; ▼c 24 cm.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3.12 2005 | 등록번호 1410509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3.12 2005 | 등록번호 1511914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3.12 2005 | 등록번호 1410509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3.12 2005 | 등록번호 1511914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책은 죽어가는 교육을 살리기 위한 그동안의 노력과 시도들을 되짚어보며, 보다 근본적인 영역에서 학교와 교육의 제자리 찾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 해답을 교사들의 교육철학을 재정립에서 찾는다. 책의 내용은 그간 학생생활연구회에서 발표되거나 제안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다시 정리하고 집필한 것이다.
책은 다음과 같은 학급운영 철학의 네 가지 관점을 제시한다. 1)관계론 - '교육 주체인 교사와 학생이 관계를 맺는다는 것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해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풀어간다. 2)학급론 - '학생과 교사가 만나는 공간인 학급이 어떤 곳인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학급을 삶과 배움이 통일되는 소통의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서 교육 주체들이 노력할 점이 무엇인가를 확인한다.
3)학생관 - '학생이기 이전에 사람이며, 자기 삶과 사회, 역사의 주체인 학생을 어떻게 볼 것인가?'를 살펴보고, 학생을 주체로 세우는 원리와 실천 방법들을 알아본다. 4)담임론 - '담임이란 학급 안에서 어떤 존재이며, 담임이 교육자로서의 전문성을 획득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밝혀 교사가 서야 할 바른 자리를 제시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이 책을 내면서 들어가는 마당. 학급운영 철학의 정립을 위하여 = 11 Ⅰ. 위기의 학교, 흔들리는 교육 = 13 1. 자본의 요구에 충실한 지식 중심의 경쟁 교육 2. 생활교육의 부재 - 교육에 '삶' 이 없다 3. 개개인의 요구와 개성이 고려되지 못하는 획일성 Ⅱ. 학교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 공동체교육을 얘기하자 = 17 1. 왜 공동체교육인가? 2. 공동체적 삶을 배우고 나누는 생활교육의 장으로 거듭나자 Ⅲ. 학급운영에 주목하는 이유 = 22 1. 자치공동체 교육론의 입장에서 2. 교사의 자기 실현이라는 입장에서 Ⅳ. 학급운영 운동을 지향하며 = 26 1. 학급운영에 나타나는 오류 2. 학급운영 운동의 필요성 Ⅴ. 이 책을 내는 이유와 책의 구성 = 30 1. 학급운영 철학의 정립 2. 학급운영 철학의 네 가지 영역 첫째 마당. 교육 주체의 관계를 새롭게 하는 관계론 = 33 Ⅰ. 관계의 중요성과 교육적 의미 = 35 1. 인간 존재의 사회적 속성과 관계의 중요성 2. 관계를 규정하는 요인 및 관계론의 교육적 의미 3. 보편적 인간관계 및 교육에 있어서 인간관계의 특수성 Ⅱ. 교육 주체들의 관계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교육에 대한 고찰 = 52 1. 교육 주체들 사이의 관계형성 과정 2. 관계의 혁명을 위한 새로운 시각 3. 교육 주체들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Ⅲ. 관계를 새롭게 하기 위해 교사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 = 75 1. 교사도 학급공동체의 한 구성원이 되어야 한다 2. 학생이 학급공동체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Ⅳ. 글을 마치며 = 94 둘째 마당. 교사ㆍ학생이 함께 만드는 자치공동체로서의 학급론 - 학급이란 무엇인가 = 97 Ⅰ. 학교교육에서 '학급'의 위치 = 99 1. 흔들리는 학급, 교사ㆍ학생 관계 2. 현실교육에서 푸대접받는 '학급' 의 위치 Ⅱ. 다시 '학급'의 의미를 생각하며 = 104 1. 학급에 주목하는 이유 2. 학생들에게 학급은 어떤 곳인가? 3. 교사에게 학급은 무엇인가? Ⅲ. 학급공동체의 운영원리는 자치 = 136 Ⅳ. 교사와 학생이 만들어가는 자치ㆍ생활의 공동체로서의 학급을 위해 = 138 셋째 마당. 참여와 자치의 주체로 바라보는 학생관 = 141 Ⅰ. 학생은 학급공동체의 주체이며 자기 삶의 주인 = 143 1. 학생관을 말하기에 앞서 2. 학생을 둘러싼 사회, 그 속에서의 학생의 모습 3. 학교에서 아이들은…… Ⅱ. 학생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51 1. 학생은 사람이다 2. 사람이란 무엇인가? 3. 사람의 보람과 행복을 위한 교육 4. 학생은 학급공동체의 주체이며 자기 삶의 주인이다 Ⅲ. 학생을 학급공동체의 주인으로 세우는 학생자치 = 157 1. 학생자치란 무엇인가 2. 학생자치가 주는 힘 3. 학생자치의 방향 Ⅳ. 학생자치로 만들어가는 학급문화 - 학급자치 = 164 1. 학급자치의 중요성 2. 학급자치 구조를 만들기 위한 노력 3. 학생 중심의 학급운영 Ⅴ. 학생자치로 만들어가는 학교문화 - 학교자치 = 178 1. 학교자치 2. 학교자치를 위한 살아 있는 학생회 만들기 3. 학교자치를 이루기 위한 학교자치조직 학교운영위원회 4. 학교자치를 위한 학생들의 모습 Ⅵ. 마치며…… = 186 넷째 마당. 교사의 자리 찾기 - 담임교사론 = 189 Ⅰ. 담임교사란 어떤 존재인가? = 191 1. 담임교사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2. 교사의 전문성은 어디에 있는가? 3. 담임교사의 전문성 Ⅱ. 담임교사는 무엇을 할 것인가? = 206 1. 열린 관계 맺기 2. 공동체 교육 3. 자치교육 4. '담임교사의 할 일' 을 고민할 때 주의할 점 Ⅲ. 무엇이 더 필요한가? = 240 1. 담임교사를 지원하는 구조와 프로그램 개발 2. 생활교육과정을 명시화 나오는 마당. 학급운영의 질적 발전을 위한 공동실천 = 243 Ⅰ. 학급운영의 질적 발전을 위한 제안 = 245 1. 사상적 정체성 확립 2. 대중적 공동실천 조직하기 3. 향후 실천 과제에 대하여 Ⅱ. 학생생활 소모임 만들기 = 249 1. 학생생활 소모임의 힘 2. 학생생활 소모임이 지향해야 할 문화 3. 학교 단위 소모임 꾸리기 4. 지역 단위 소모임 꾸리기 Ⅲ. 글을 마치며 = 258 참고자료 =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