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1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218814 | |
005 | 20100806105813 | |
007 | ta | |
008 | 050914s2005 ulk 000c kor | |
020 | ▼a 8991811043 ▼g 03810: ▼c \35,000 | |
035 | ▼a (KERIS)BIB000010102037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46 ▼d 244002 | |
082 | 0 4 | ▼a 808.1 ▼2 22 |
090 | ▼a 808.1 ▼b 2005f | |
100 | 1 | ▼a 박진환 ▼g 朴鎭煥. |
245 | 1 0 | ▼a 시 창작론 / ▼d 박진환 지음. |
260 | ▼a 서울 : ▼b 조선문학사 , ▼c 2005. | |
300 | ▼a 304, 290, 231 p. ; ▼c 23 cm. | |
440 | 0 0 | ▼a 박진환문학전집 ; ▼v 1 |
505 | 0 0 | ▼t 당신도 시인이 될 수 있다. - ▼t 현대시 창작이론과 실제. - ▼t 21C 시창작법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8.1 2005f | Accession No. 1511911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진환(지은이)
동국대 국문학과를 거쳐 중앙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동아일보 신춘시와 자유문학 문학평론으로 문단에 데뷔했으며, 현재 한서대 예술대학원장 및 월간 「조선문학」 주간으로 있다. 지은 책에 <한국시와 전통>, <한국시의 공간구조연구>, <한국현대시인론>, <원형탐구와 동일성시학>, <가설의 미학>, <당신도 시인이 될 수 있다> 등과, 시집으로 <귀로>, <어둠고>, <사랑법>, <돌아보고 살기>, <에덴의 빛깔로>, <다른 것이 되고 싶다>, <춘, 하, 추, 동>, <제5계절>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시인이 되고자 하는 분에게 1. 몇 가지 전제 2. 시에 미쳐라 3. 시를 많이 읽어라 4. 시 이론을 이해하다 제2장 정서의 시적 처리, 어떻게 할 것인가? 1. 정서란 무엇인가? 2. 실감유리 3. 정서로부터의 도피 4. 정서의 감각화 제3장 체험과 현대시 1. 체험의 개념정립 2. 감각적 체험과 현대시 3. 체험과 이미지와의 상관성 제4장 상상력과 창조의 원리 1.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2. 재생적 상상 3. 연상 상상 4. 창조적 상상 제5장 현대시와 이미지 1. 이미지의 개념 설정 2. 시각적 이미지 3. 감각적 이미지 4. 절대 심상 제6장 현대시와 아이러니 1. 아이러니란 무엇인가? 2. 극적인 아이러니 3. 풍 자 4. 역 설 5. 패러디 6. 펀 (PUN) 제7장 현대시와 비유 1. 비유란 무엇인가? 2. 직유의 방법 3. 은유의 방법 4. 치환 은유와 병치은유 5. 의인법 제8장 현대시와 상징 1. 상징이란 무엇인가? 2. 상징과 비유의 차이 3. 상징주의 이론과 상징적 우의 4. 전통적 상징과 개인적 상징 5. 원형 상징 제9장 현대시와 형이상 시 1. 형이상시의 개념 2. 형이상시의 특징 3. 텐션과 포괄 제10장 현대시의 다양한 기법 1. 발상차원의 단계 2. 중층묘사 3. 객관적 상관물 4. 자동기술법 제11장 시 창작 실습 1. 현대시법의 이모 저모 2. 봄을 대상으로 실습하기 3. 여름을 대상으로 실습하기 4. 가을을 대상으로 실습하기 5. 겨울을 대상으로 실습하기 6. 관념의 형상화로 실습하기 7. 정서의 형상화로 실습하기 8. 기타 사문을 대상으로 실습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