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생태유아교육개론

생태유아교육개론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임재택
서명 / 저자사항
생태유아교육개론 / 임재택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양서원 ,   2005.  
형태사항
461 p. : 삽도 ; 26 cm.
ISBN
8959640123
일반주기
부록(p. 453-456): 아이들의 건강과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2005인 선언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수록
000 00659namccc200217 c 4500
001 000045218784
005 20100806105744
007 ta
008 051018s2005 ggka b 001c kor
020 ▼a 8959640123 ▼g 93370: ▼c \18,000
035 ▼a (KERIS)BIB000010077081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6 ▼d 211052 ▼d 244002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5k
100 1 ▼a 임재택
245 1 0 ▼a 생태유아교육개론 / ▼d 임재택 지음.
260 ▼a 파주 : ▼b 양서원 , ▼c 2005.
300 ▼a 461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p. 453-456): 아이들의 건강과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2005인 선언
504 ▼a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72.21 2005k 등록번호 1511910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생태유아교육의 성격 = 13
 1. 생태유아교육의 개념 = 15
  1) 생태유아교육의 의미 = 15
  2) 생태유아교육과 유아생태교육의 구분 = 17
  3) 관련 용어의 이해 = 18
 2. 생태유아교육의 본질 = 22
  1) 아이, 생명의 본질 = 22
  2) 아이, 삶 그리고 살림의 원리 = 24
  3) 아이ㆍ생명의 살림살이 = 25
 3. 생태유아교육의 기본 체계 = 26
  1) 기본 체계도의 구상 = 26
  2) 기본 체계도로서의 생명나무(生命樹) = 27
 4. 생태유아교육의 이념 및 방향 = 29
  1) 생태유아교육의 이념 = 30
  2) 생태유아교육의 방향 = 33
 5. 생태유아교육의 특성 = 36
  1) 자생적 한국 유아교육 = 37
  2) 보편적 세계 유아교육 = 38
  3) 생명위기 극복을 위한 유아교육 = 39
  4) 삶으로 실천하는 유아교육 = 40
  5) 연구와 실천이 함께 가는 유아교육 = 41
 [참고문헌] = 43
제2장 생태유아교육의 배경 = 45
 1. 시대ㆍ사회적 배경 = 47
  1) 산업문명의 폐해와 전지구적 생명위기 = 47
  2) 한국의 생태위기와 인간성 상실 = 49
  3) 산업문명의 피해자인 병든 아이들 = 52
  4) 아이살림을 외면한 유아교육 현실 = 57
 2. 사상적ㆍ철학적 배경 = 60
  1) 한국과 동양의 생태사상 및 철학 = 60
  2) 서양의 생태사상 및 철학 = 76
 3. 심리학적ㆍ신과학적 배경 = 85
  1) 심리학적 배경 = 86
  2) 신과학적 배경 = 100
 4. 국내ㆍ외 생태담론과 생태유아교육의 흐름 = 106
  1) 국내 생태담론의 흐름 = 106
  2) 국외 생태담론의 흐름 = 110
  3) 생태유아교육의 흐름 = 113
 5. 학문의 생태론적 접근동향 = 116
  1) 학문의 패러다임 전환 추세 = 116
  2) 생태론적 접근 학문의 동향 = 118
 [참고문헌] = 134
제3장 생태유아교육의 기본관점 = 147
 1. 세계관 = 149
  1) 산업문명의 위기와 세계관의 전환 = 149
  2) 아동중심 유아교육의 세계관 = 153
  3) 생태유아교육의 세계관 = 154
 2. 아동관 = 157
  1) 아동의 세기와 아동관의 변천 = 157
  2) 아동중심 유아교육의 아동관 = 159
  3) 생태유아교육의 아동관 = 162
 3. 발달관 = 169
  1) 외형에서 내실로의 발달관의 전환 = 169
  2) 아동중심 유아교육의 발달관 = 175
  3) 생태유아교육의 발달관 = 178
 4. 교육관 = 183
  1) 생명의 살림과 교육관의 전환 = 183
  2) 아동중심 유아교육의 교육관 = 187
  3) 생태유아교육의 교육관 = 189
 [참고문헌] = 195
제4장 생태유아교육과 생명의 의식농 = 197
 1. 생명살림의 길 = 199
  1) '양계닭'의 실상 = 199
  2) 아이살림의 원리 = 200
  3) 의식농(醫食農)의 개혁 = 204
 2. 아이들의 건강과 영양의 실상 = 206
  1) 아픈 아이들의 실상 = 206
  2) 소아비만과 아이들의 식생활 = 207
  3) 아토피 피부염과 부모의 식생활 = 210
  4) 성인병과 문제아를 만드는 잘못된 식생활 = 212
 3. 아이들의 건강과 생명의 의식농(醫食農) = 216
  1) 건강과 질병의 개념 = 216
  2) 아이들의 건강과 생명의학 = 218
  3) 아이들의 영양과 생태영양학 = 223
  4) 온생명의 살림과 생태농업 = 229
 4. 생태유아공동체 운동 = 238
  1) 개요 = 238
  2) 조직 및 현황 = 242
  3) 과제와 전망 = 244
 [참고문헌] = 246
제5장 생태유아교육과정 = 251
 1.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성격 = 253
  1) 일반교육과정의 흐름 = 253
  2) 생태유아교육과정의 개념 = 257
  3) 생태유아교육과정의 구성체계 = 260
 2.교육이념 및 교육목적 = 262
  1) 교육이념 및 방향 = 262
  2) 교육목적 및 목표 = 262
 3. 교육내용 및 활동 = 267
  1) 교육내용의 의미 = 267
  2) 교육내용의 성격 = 268
  3) 교육내용의 개관 = 272
  4)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 279
 4. 교육방법 = 279
  1) 관계성의 방법 = 280
  2) 순환성의 방법 = 282
  3) 다양성의 방법 = 284
  4) 영성의 방법 = 286
 5. 교육평가 = 287
 [참고문헌] = 289
제6장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운영 = 291
 1.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요 = 293
  1) 바깥놀이 프로그램 = 293
  2) 산책 프로그램 = 295
  3) 텃밭가꾸기 프로그램 = 296
  4) 노인ㆍ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 297
  5) 세시풍속 프로그램 = 298
  6) 명상 프로그램 = 299
  7) 절제ㆍ절약 프로그램 = 300
  8) 먹을거리 프로그램 = 301
  9) 도시ㆍ농촌 교류 프로그램 = 303
  10) 손끝놀이 프로그램 = 304
  11) 몸짓놀이 프로그램 = 305
  12) 생태미술 프로그램 = 306
 2.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계획 = 308
  1) 교육계획 = 308
  2) 교직원 업무계획 = 319
  3) 행사계획 = 320
  4) 학부모ㆍ지역사회 자원 활용계획 = 321
 3.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 322
  1) 학급 편성 및 운영 = 322
  2) 일과운영 = 323
  3) 공간구성 = 331
 [참고문헌] = 332
제7장 생태유아교육과 생활공간 = 335
 1. 생태유아교육과 생활공간의 개념 = 337
  1) 아이, 생활 및 공간의 의미 = 337
  2) 살림집으로서의 유아교육기관 = 339
 2. 유아교육기관의 생태건축 방안 = 340
  1) 유아교육기관의 현대건축 문제 = 340
  2) 유아교육기관의 생태건축 탐색 = 343
  3) 유아교육기관의 생태건축 사례 = 347
  4) 유아교육기관의 생테건축: 신축과 리모델링 = 354
 3. 생태적 실내ㆍ외 공간의 구성 및 활용 = 360
  1) 기존 유아교육기관의 실내ㆍ외 공간의 구성 및 활용 = 361
  2) 생태적 실내공간의 구성 및 활용 = 363
  3) 생태적 실외공간의 구성 및 활용 = 365
 4. 생태적 비품 및 교재ㆍ교구의 성격 = 370
  1) 기존 유아교육기관의 비품 및 교재ㆍ교구 = 370
  2) 생태적 비품 및 교재ㆍ교구의 성격 = 374
 [참고문헌] = 376
제8장 생태유아교육과 교사 = 379
 1. 생태유아교사의 자질과 참모습 = 381
  1) 교사의 일반적 의미 = 381
  2) 생태유아교사의 자질 = 382
  3) 생태유아교사의 참모습 = 383
 2. 생태유아교사의 역할과 태도 = 387
  1) 생태유아교사의 역할 = 387
  2) 생태유아교사의 태도 = 393
 3. 생태유아교사의 성장과 교육 = 395
  1) 생태유아교사의 성장과정 = 395
  2) 생태유아교사교육의 흐름 = 398
 [참고문헌] = 402
제9장 생태유아교육과 부모 = 405
 1. 현대 부모와 가정교육의 위기 = 407
  1) 부모의 위기 = 407
  2) 가정교육의 위기 = 410
 2. 생태적 부모의 자질과 역할 = 414
  1) 생태적 부모의 자질 = 414
  2) 생태적 부모의 참모습 = 415
  3) 생태적 부모의 역할 = 419
 3. 생태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 425
  1) 부모교육의 성격 = 425
  2) 부모참여방안 = 427
 [참고문헌] = 430
제10장 생태유아교육의 과제와 전망 = 431
 1. 생태유아교육의 현황과 문제 = 433
  1) 생태유아교육의 현황 = 433
  2) 생태유아교육의 장애요인 = 435
  3) 생태유아교육을 통한 변화 = 437
 2. 생태유아교육의 과제와 전망 = 440
  1) 생태유아교육의 과제 = 440
  2) 생태유아교육의 전망 = 448
 [참고문헌] = 452
찾아보기 = 457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