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모더니즘의 이해
1. 모더니즘의 개념 규정 = 9
2.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 13
3. 포스트모더니즘과 예술 = 36
Ⅱ. 빈 모더니즘의 일반적 특징
1. 데카당스 = 29
2. 과학정신 = 32
3. 윤리주의 = 35
Ⅲ. 빈 모더니즘의 주도적 계층
1. 자유주의 시민계급과 동화유태인 = 41
2. "청년 빈" = 43
3. "제3세대" = 45
Ⅳ. 빈 모더니즘의 사회사적 배경
1. 오스트리아의 산업화 및 도시화 = 48
2. 유럽 모더니즘의 영향 = 53
(1) 유럽 모더니즘의 형성 = 54
(2) 독일 자연주의와 게오르게 서클 = 56
(3) 북유럽 모더니즘 = 58
(4) 프랑스 데카당스 = 62
3. 합스부르크 왕국의 문화 전통 = 65
(1) "요셉핀주의"와 "합스부르크 신화" = 65
(2) 보수주의 학문론 = 69
(3) 가톨릭 연극문화 = 70
(4) 문학살롱 및 카페 = 73
(5) 문예란 및 동인지 = 77
Ⅴ. 빈 모더니즘 문학
1. 바르의 "자연주의 극복"과 "신경증" 문학 = 81
2. 빈 모더니즘 문학의 형식 : 소장르와 장편소설 = 84
(1) 문예란 = 86
(2) 시극과 단막극 = 90
(3) 비평과 에세이 = 96
(4) 패러디적 장편소설 = 100
3. 빈 모더니즘 문학의 주제 : 주체와 사회의 해체 = 106
(1) 흔들리는 추상적 이상주의자 = 108
1) 전통적 군인귀족 : 『구스틀 소위』 = 109
2) 교양시민 : 『엘제 양』 = 112
(2) 떠도는 환멸의 낭만주의자 = 115
1) 카사노바: 『아나톨』 = 116
보론: 마하의 상대주의 철학 : "구조될 수 없는 자아" = 119
2) 생의 어두운 힘 : 『파라셀수스』 = 122
보론: 프로이트의 균열된 자아 : 본능, 자아, 초자아 = 124
(3) 사회의 해체와 "가면극" = 128
1) 정치의 연극화 : 『핑크와 플리더부시』 = 130
2) 역사의 우연성 : 『녹색의 앵무새』 = 134
(4) 주체의 "탈(脫)경계"를 통한 정체성 추구 = 137
1) 죽음을 통한 삶의 인식 : 『게오르크의 죽음』 = 138
2) 삶의 낭만화 : 『인식의 정원』 = 143
Ⅵ. 가부장적 시민사회의 위기와 남성주의적 성(性)담론
1. 바이닝어의 남성주의 철학 = 153
2. 자연으로서의 "여성성" : 『세 여인』 = 160
3. 남성성과 여성성을 통합하는 모성 : 『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 = 167
Ⅶ. 의사소통 매체로서 언어에 대한 성찰
1. 호프만스탈의 언어 회의(懷疑) : 편지 = 175
2. 마우트너의 유명론적 언어관 = 180
3. 비트겐슈타인 : 언어"그림"과 "언어놀이" = 184
4. 칼 크라우스의 저널리즘 언어 비판 : 파괴된 문학과 부르주아 신문 비판 = 188
Ⅷ. 맺는 말 - 자유와 질서의 영원한 대립 = 195
참고문헌 = 199
추천 도서/인터넷사이트/논문 = 207
〈문학의 기본 개념〉 총서를 펴내며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