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출생과 발달 = 13
1. 발달의 기초 = 14
가. 발달의 의미 = 14
나. 발달의 원리 = 15
다. 발달과업 = 17
라. 유전과 환경 = 19
2. 아동기 이전의 발단단계 = 20
가. 태아기 및 신생아기의 발달 = 20
나. 영아기의 발달 = 22
다. 유아기의 발달 = 28
라. 아동기의 발달 = 31
3. 아동기 이후의 발달 = 34
가. 청소년기의 발달 = 34
나. 성인 초기의 발달 = 41
다. 중년기의 발달 = 42
라. 성인 후기의 발달 = 46
4. 노년기 이후의 발달 = 48
가. 신체적 기능의 변화 = 48
나. 지적 기능의 변화 = 48
제2장 동기와 정서 = 51
1. 동기와 동기유발 = 52
가. 동기의 개념 = 52
나. 동기의 유형 = 53
2. 동기이론 = 60
가. 행동주의적 관점 = 60
나. 인본주의적 관점 = 61
다. 인지주의적 관점 = 63
3. 정서의 개념 = 69
가. 정서와 동기 = 69
나. 정서 유발의 생리적 기초 = 70
4. 정서이론 = 72
가. James-Lange 이론 = 72
나. Cannon-Bard 이론 = 72
다. 인지적 이론 = 73
5. 정서의 표현 = 75
가. 언어적 의사소통 = 75
나. 비언어적 의사소통 = 76
제3장 성격 = 79
1. 성격의 이해 = 80
가. 성격의 정의 = 80
나. 성격에 관한 기본 가정 = 81
다. 성격형성의 유전적 개체적 요인 = 82
2. 성격이론 = 85
가. 유형론적 접근 = 86
나. 성격특성론 = 91
다. 발달적 성격론 = 94
라. 행동주의적 성격론 = 105
마. 인본주의적 성격론 = 109
3. 성격검사 = 113
가. 성격척도의 사용 = 113
나. 질문지형 성격검사 = 114
다. 투사법 검사 = 116
제4장 감각과 지각 = 121
1. 감각과 지각의 개념 = 122
가. 감각과 지각과정 = 122
나. 현상 세계의 감각과 지각과정 = 124
다. 탐지와 변별 = 127
2. 지각의 기초과정 = 129
가. 윤곽 형성 = 129
나. 영역의 분리 = 129
다. 전경-배경의 구분 = 130
3. 지각의 원리 = 131
가. 환경 변화의 원리 = 132
나. 자극 선택의 원리 = 132
다. 조직화의 원리 = 133
4. 지각의 항등현상과 착시 = 136
가. 항등현상 = 136
나. 지각적 착시와 응용 = 138
5. 지각의 발달 = 142
제5장 기억과 망각 = 145
1. 기억이론 = 146
가. 정보처리이론 = 146
나. 처리수준이론 = 149
다. 병렬분산처리이론 : 연결주의 모델 = 150
2. 기억의 과정 = 152
가. 부호화 = 152
나. 저장 = 153
다. 인출 = 155
3. 망각 = 158
가. 에빙하우스의 연구 = 158
나. 망각이론 = 160
4. 기억에 있어서의 개인차 = 165
가. 개인차의 작업기억 = 167
나. 개인차와 장기기억 = 169
5. 학습과 기억의 촉진을 위한 방법들 = 169
가. 주의 = 169
나. 학습전략과 전술 = 170
제6장 성공적인 대인관계 = 173
1. 타인에 대한 지각 = 174
가. 인상형성 = 175
나. 후광효과 = 179
다. 귀인이론 = 180
2. 대인관계에서의 매력과 사회적 행동 = 183
가. 대인관계에서의 매력 = 183
나. 대인관계에서의 사회적 행동 = 187
3. 현대인의 고독 = 194
4. 효과적인 의사소통 = 196
가. 의사소통의 정의 = 197
나. 의사소통의 원칙과 기술 = 199
다. 교류분석 = 203
제7장 적응과 스트레스 = 209
1. 적응의 의미 = 210
2. 일생을 통한 적응 = 211
가. Allport의 프로프리움의 발달 단계 = 211
나. Jung의 인생 연령별 발달 단계 = 216
다. Erikson의 정체감 발달 단계 = 219
라. Loevinger의 자아 발달 단계 = 221
마. Lewinson의 인생주기 = 221
3. 욕구좌절과 갈등 = 225
가. 욕구좌절 = 225
나. 갈등 = 226
4. 스트레스의 개념 = 232
가. 스트레스의 정의 = 232
나. 스트레스의 본질 = 234
다. 스트레스의 양면성 = 237
라. 스트레스의 근원 = 238
5.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 241
가. 신체 반응 = 241
나. 신체적 질병 = 245
다.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반응 = 247
6. 스트레스 수준 = 250
가. 스트레스 수준 = 250
나. 스트레스 수준의 개인차 = 252
7. 스트레스 대처 = 254
가. 일반적인 대처방법 = 254
나. 방어적 대처방법 = 256
다. 문제중심의 전설적 대처 = 257
라. 적극적인 대처방법 = 259
마. 그 밖의 대처방법 = 260
제8장 진로선택과 직업 = 263
1. 진로선택 = 264
가. Ginzberg의 절충이론 = 264
나. Super의 자아개념이론 = 266
다. Holland의 성격유형이론 = 269
라. 직업선택시의 갈등요소 = 271
2. 취업준비 = 272
가. 직업의 의미 = 272
나. 변화하는 직업심리 = 276
다. 직업선택 = 278
라. 취업준비 = 284
마. 직장생활을 위한 준비 = 287
3. 좌절과 위기 = 288
가. 직업 스트레스 위기 = 288
나 직업 전환 = 294
다. 실직 = 298
라. 은퇴 = 301
제9장 사랑과 결혼 = 303
1. 사랑의 의미 = 304
가. Erich Fromm의 사랑론 = 307
나. 사랑의 삼각형 이론 = 310
다. 사랑의 애착이론 = 315
라. Lasswell과 Hatkott의 사랑의 유형 = 318
2. 실연 = 325
3. 결혼과 성 = 328
가. 결혼 준비 = 329
나. 성과 성행동 = 335
다. 성 이상행동 = 345
제10장 죽음과 적응 = 349
1. 죽음의 의미 = 350
가. 죽음에 대한 태도 = 350
나. 죽음이 두려운 이유 = 353
2. 죽음 개념의 발달과 수용과정 = 354
가. 죽음 개념의 발달 = 354
나. 죽음의 수용과정 = 358
3. 상실 경험 = 360
가. 사별 = 361
나. 비탄 과정과 요인 = 364
4. 임종환자와 안락사 = 367
가. 임종환자 보살피기 = 367
나. 호스피스 입원 = 369
다. 안락사 = 372
참고 문헌 =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