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방법론

교육방법론 (3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윤길근 尹吉根 , 저 이병헌 李丙憲 , 저 정황순 鄭晃旬 , 저 정경은 , 저
서명 / 저자사항
교육방법론 / 윤길근 [외저].
발행사항
서울 :   태영출판사 ,   2005.  
형태사항
397 p. : 도표 ; 25 cm.
ISBN
899177704X
일반주기
공저자: 이병헌, 정황순, 정경은  
부록: 1. 21세기 유망직업과 유망직종. 2. 교수-학습과정의 이론모형. 3. 수업설계와 학습지도안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000 00837camccc200265 k 4500
001 000045217762
005 20100806104819
007 ta
008 050914s2005 ulkd 000c kor
020 ▼a 899177704X ▼g 93370: ▼c \16,000
035 ▼a (KERIS)BIB000010099646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46 ▼d 244002
082 0 4 ▼a 371.3 ▼2 22
090 ▼a 371.3 ▼b 2005m
245 0 0 ▼a 교육방법론 / ▼d 윤길근 [외저].
260 ▼a 서울 : ▼b 태영출판사 , ▼c 2005.
300 ▼a 397 p. : ▼b 도표 ; ▼c 25 cm.
500 ▼a 공저자: 이병헌, 정황순, 정경은
500 ▼a 부록: 1. 21세기 유망직업과 유망직종. 2. 교수-학습과정의 이론모형. 3. 수업설계와 학습지도안
504 ▼a 참고문헌수록
700 1 ▼a 윤길근 ▼g 尹吉根 , ▼e▼0 AUTH(211009)39510
700 1 ▼a 이병헌 ▼g 李丙憲 , ▼e
700 1 ▼a 정황순 ▼g 鄭晃旬 , ▼e
700 1 ▼a 정경은 ,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05m 등록번호 1113924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05m 등록번호 1113924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1.3 2005m 등록번호 1511907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05m 등록번호 1113924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05m 등록번호 1113924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1.3 2005m 등록번호 1511907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윤길근(지은이)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 박사) 서울교육대, 서울여대, 한양대 강사 역임 육군3사관학교, 국군정신전력학교, 부천대학교 교수 역임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교육방법과 학습지도의 원리 = 13

 1. 교육방법의 개념 = 14

 2. 교육방법의 변천과정 = 19

  1) 소크라테스의 산파법 = 20

  2) 코메니우스의 감각적 직관교수 = 21

  3) 로크의 능력도야법 = 23

  4) 루소의 내적 자연의 중시 = 24

  5) 페스탈로치의 기초도야법 = 26

  6) 프뢰벨의 인간교육 = 27

  7) 헤르바르트의 5단계법 = 28

  8) 듀이의 반성적 탐구법 = 30

  9) 마카렌코의 집단교육법 = 31

 3. 학습지도의 원리 = 32

  1) 자기활동의 원리 = 33

  2) 개별화의 원리 = 35

  3) 직접경험의 원리 = 36

  4) 사회화의 원리 = 37

  5) 통합화의 원리 = 38

  6) 목적의 원리 = 39

 참고 문헌 = 41

 별첨 1 : 교육의 방법이 바뀌어야 나라가 산다 = 43

제2장 교육방법의 유헝 = 45

 1. 강의법 = 47

  1) 강의법의 성격과 역사 = 48

  2) 강의법의 특징과 장ㆍ단점 = 49

 2. 토론법 = 51

  1) 토론의 목적과 성격 = 51

  2)효과적인 토론법과 수업의 특성 = 53

  3) 토론식 수업의 장ㆍ단점 = 54

  4) 토론의 유형 = 56

 3. 문제법 : 문제해결 학습 = 60

  1) 1단계 : 문제의 인식 = 61

  2) 2단계 : 해결방법의 연구계획 = 62

  3) 3단계 : 자료의 수집 = 62

  4) 4단계 : 해결방법의 실시 = 62

  5) 5단계 : 결과의 검토와 정리 = 62

 4. 구안법 = 63

  1) 목적의 단계 = 64

  2) 계획의 단계 = 64

  3) 실행의 단계 = 65

  4) 비판의 단계 = 65

 5. 발견학습 = 67

 6. 탐구학습 = 69

  1) 탐구학습의 교실 분위기 = 69

  2) 탐구학습의 단계 = 71

  3)탐구학습에 임하는 교사의 역할 = 72

 7. 역할놀이의 수업모형 = 73

  1) 역할놀이의 상황 결정 = 74

  2) 역할놀이의 준비 = 75

  3) 역할놀이의 실연자 설정 = 76

  4) 청중의 준비 = 76

  5) 역할놀이의 실연 = 77

  6) 역할놀이의 실연에 대한 토론과 평가 및 재연 = 77

 참고 문헌 = 79

제3장 학습동기유발을 통한 교육방법 = 81

 1. 학습과정과 동기유발의 기능 = 81

  1) 초발적 기능 = 82

  2) 지향적 기능 = 82

  3) 조정적 기능 = 82

  4) 강화적 기능 = 83

 2. 동기의 종류 = 83

 3. 동기유발의 방법 = 86

  1) 내적 동기유발의 방법 = 86

  2) 외적 동기유발의 방법 = 89

 4. 성취동기 = 91

  1) 과업지향적 행동 = 92

  2) 적절한 모험성 = 92

  3) 자신감 = 92

  4) 정력적ㆍ혁신적 활동성 = 93

  5) 자기책임감 = 93

  6) 결과에 대한 지식 추구 = 93

  7) 미래지향성 = 94

 5. 매슬로우의 동기 위계설 = 95

  1) 생리적 욕구 = 95

  2) 안전의 욕구 = 96

  3) 소속감과 사랑에 대한 욕구 = 96

  4) 자존심의 욕구 = 96

  5) 인지적 욕구 = 97

  6) 심미적 욕구 = 97

  7) 자아실현의 욕구 = 97

 6. 벌의 문제점과 유의할 점 = 101

  1) 사랑의 매 = 101

  2) '벌'이라는 말의 의미 = 104

  3) 처벌의 과정과 단계 = 105

  4) 처벌의 교육철학적 분석ㆍ평가 = 109

 참고 문헌 = 114

제4장 지적 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 = 115

 1. 지적 능력의 개념 = 115

 2. 지능에 대한 접근방법 = 115

  1) 심리측정론 접근 = 118

  2) 인지발달론 접근 = 119

 3. 다중지능이론 = 120

  1) 언어학적 지능 = 121

  2) 음악적 지능 = 121

  3) 논리ㆍ수학적 지능 = 121

  4) 공간적 지능 = 121

  5) 신체운동 지능 = 122

  6) 개인 내 지능 = 122

  7) 대인관계 지능 = 122

  8) 자연주의적 지능 = 122

  9) 실존 지능 = 123

 4. 지능의 발달과 환경과의 관계 = 128

  1) 유전과 환경 = 128

  2) 유전이 지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28

  3) 환경이 지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29

 5. 지적인 능력의 향상을 위한 지도방법 = 131

  1) 지적 발달에 관한 지식 = 131

  2) 풍부하고 다양한 자극과 경험 = 132

  3) 논리적 사고와 문제해결 행동의 자극 = 132

  4) 성취동기의 발달을 위한 압력 = 136

  5) 정서적 안정 = 138

 참고 문헌 = 141

 별첨 2 : 지능검사의 문제점 = 143

 별첨 3 : 말의 지능 = 145

 별첨 4 : Q란 무엇인가 = 146

제5장 정서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 = 147

 1. 정서와 이성 = 147

 2. 정서지능의 개념 = 149

 3. 정서지능의 중요성 = 150

 4. 정서지능의 구성요인 = 154

  1) 자신의 정서를 스스로가 인식하는 것 = 154

  2)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고 조절하는 것 = 156

  3) 자신의 감정을 생산적으로 이용하는 것 = 158

  4)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을 줄 아는 것 = 159

  5) 다른 사람과의 인간관계를 맺는 것 = 160

 5. 정서지능의 교육과 훈련 = 161

 6. 정서지능의 측정방법 및 문제점 = 166

 참고 문헌 = 171

제6장 창의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 = 173

 1. 창의력의 의미와 중요성 = 174

 2. 창의성의 구성요소 = 179

  1) 유창성 = 180

  2) 유통성 = 181

  3) 독창성 = 182

  4) 정교성 = 183

 3. 지능과 창의성과의 관계 = 183

 4. 창의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방법 = 185

  1) 자유롭고 허용적인 분위기 = 189

  2) 창의력을 길러 줄 수 있는 활동 = 190

  3) 창의력을 길러 줄 수 있는 대화 = 192

 참고 문헌 = 194

 별첨 5 : 간디의 창의성 = 196

제7장 사례연구 교육방법 = 199

 1. 개념 = 199

 2. 이론적 배경 = 202

 3. 사례연구의 유형 = 204

  1) Yin의 분류 = 204

  2) Borg & Gall의 분류 = 205

  3) Stenhouse의 분류 = 205

 4. 수업 절차 = 207

  1) 준비단계 = 209

  2) 전개단계 = 210

  3) 정리단계 = 213

 5. 사례작성의 실제 = 214

  1) 사례작성의 방법 = 214

  2) 사례의 예시 = 216

 6. 사례연구법의 학습효과 및 장ㆍ단점 = 218

  1) 사례연구법의 장점 = 219

  2) 사례연구법의 단점 = 219

 참고 문헌 = 221

제8장 진로교육과 직업환경 = 223

 1. 진로의 개념 = 223

 2. 진로교육의 필요성 = 225

 3. 진로교육의 일반적 목표 = 227

  1) 자신에 관한 보다 정확한 이해 증진 = 227

  2)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증진 = 228

  3)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의 증진 = 228

  4) 정보탐색 및 활용능력의 함양 = 229

  5)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및 태도 형성 = 230

 4. 직업세계의 변화와 전망 = 230

  1) 산업구조의 변화와 직업전망 = 233

  2) 지식ㆍ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직업전망 = 233

  3) 기술환경의 변화와 직업전망 = 235

 5. Holland의 인성이론 = 239

  1) 실재적 영역 = 239

  2) 탐구적 영역 = 240

  3) 예술적 영역 = 240

  4) 사회적 영역 = 240

  5) 설득적 영역 = 240

  6) 관습적 영역 = 241

 6. 진로지도의 방향 = 241

  1) 컨텐츠 지향 = 244

  2) 데이터 베이스 지향 = 245

  3) 인터넷 지향 = 245

  4) 마케팅 지향 = 245

  5) 창의성 지향 = 246

  6) 문화 지향 = 246

  7) 엔터테인먼트 지향 = 247

  8) 건강 지향 = 247

  9) 환경 또는 자연 지향 = 247

  10) 개인 지향 = 248

  11) 안전 지향 = 248

  12) 아름다움 지향 = 249

  13) 세계시장 지향 = 249

 참고 문헌 = 250

제9장 학습자의 이해를 위한 심리검사 = 255

 1. 심리검사의 이해 = 255

  1) 지능검사 = 257

  2) 발달수준 검사 = 259

  3) 학습준비도 검사 = 261

  4) 정의적 특성을 측정하는 심리검사 = 262

 2. 심리검사의 교육적 활용과 문제점 = 263

  1) 심리검사의 교육적 활용 = 264

  2) 심리검사의 활용상의 문제점 = 265

  3) 심리검사의 해석 및 활용상의 유의점 = 268

 3. 인터넷을 통한 심리검사 = 271

  1) 인터넷 심리검사의 특징 및 장ㆍ단점 = 273

  2) 인터넷 심리검사의 검토 및 평가 = 278

 참고 문헌 = 281

제10장 정신건강과 심리치료 = 283

 1. 정신건강과 건강심리학 = 283

 2. 정상과 이상 = 288

 3. 정신이상 = 290

 4. 심리치료란 무엇인가? = 293

  1) 정신분석 치료 = 295

  2) 인간중심 심리치료 = 299

  3) 인지행동 심리치료 = 303

  참고 문헌 = 309

부록 1 : 21세기 유망직업과 유망직종 = 313

부록 2 : 교수-학습과정의 이론모형 = 350

부록 3 : 수업설계와 학습지도안 = 374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강진령 (2023)
Cohen, David K.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