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방법과 학습지도의 원리 = 13
1. 교육방법의 개념 = 14
2. 교육방법의 변천과정 = 19
1) 소크라테스의 산파법 = 20
2) 코메니우스의 감각적 직관교수 = 21
3) 로크의 능력도야법 = 23
4) 루소의 내적 자연의 중시 = 24
5) 페스탈로치의 기초도야법 = 26
6) 프뢰벨의 인간교육 = 27
7) 헤르바르트의 5단계법 = 28
8) 듀이의 반성적 탐구법 = 30
9) 마카렌코의 집단교육법 = 31
3. 학습지도의 원리 = 32
1) 자기활동의 원리 = 33
2) 개별화의 원리 = 35
3) 직접경험의 원리 = 36
4) 사회화의 원리 = 37
5) 통합화의 원리 = 38
6) 목적의 원리 = 39
참고 문헌 = 41
별첨 1 : 교육의 방법이 바뀌어야 나라가 산다 = 43
제2장 교육방법의 유헝 = 45
1. 강의법 = 47
1) 강의법의 성격과 역사 = 48
2) 강의법의 특징과 장ㆍ단점 = 49
2. 토론법 = 51
1) 토론의 목적과 성격 = 51
2)효과적인 토론법과 수업의 특성 = 53
3) 토론식 수업의 장ㆍ단점 = 54
4) 토론의 유형 = 56
3. 문제법 : 문제해결 학습 = 60
1) 1단계 : 문제의 인식 = 61
2) 2단계 : 해결방법의 연구계획 = 62
3) 3단계 : 자료의 수집 = 62
4) 4단계 : 해결방법의 실시 = 62
5) 5단계 : 결과의 검토와 정리 = 62
4. 구안법 = 63
1) 목적의 단계 = 64
2) 계획의 단계 = 64
3) 실행의 단계 = 65
4) 비판의 단계 = 65
5. 발견학습 = 67
6. 탐구학습 = 69
1) 탐구학습의 교실 분위기 = 69
2) 탐구학습의 단계 = 71
3)탐구학습에 임하는 교사의 역할 = 72
7. 역할놀이의 수업모형 = 73
1) 역할놀이의 상황 결정 = 74
2) 역할놀이의 준비 = 75
3) 역할놀이의 실연자 설정 = 76
4) 청중의 준비 = 76
5) 역할놀이의 실연 = 77
6) 역할놀이의 실연에 대한 토론과 평가 및 재연 = 77
참고 문헌 = 79
제3장 학습동기유발을 통한 교육방법 = 81
1. 학습과정과 동기유발의 기능 = 81
1) 초발적 기능 = 82
2) 지향적 기능 = 82
3) 조정적 기능 = 82
4) 강화적 기능 = 83
2. 동기의 종류 = 83
3. 동기유발의 방법 = 86
1) 내적 동기유발의 방법 = 86
2) 외적 동기유발의 방법 = 89
4. 성취동기 = 91
1) 과업지향적 행동 = 92
2) 적절한 모험성 = 92
3) 자신감 = 92
4) 정력적ㆍ혁신적 활동성 = 93
5) 자기책임감 = 93
6) 결과에 대한 지식 추구 = 93
7) 미래지향성 = 94
5. 매슬로우의 동기 위계설 = 95
1) 생리적 욕구 = 95
2) 안전의 욕구 = 96
3) 소속감과 사랑에 대한 욕구 = 96
4) 자존심의 욕구 = 96
5) 인지적 욕구 = 97
6) 심미적 욕구 = 97
7) 자아실현의 욕구 = 97
6. 벌의 문제점과 유의할 점 = 101
1) 사랑의 매 = 101
2) '벌'이라는 말의 의미 = 104
3) 처벌의 과정과 단계 = 105
4) 처벌의 교육철학적 분석ㆍ평가 = 109
참고 문헌 = 114
제4장 지적 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 = 115
1. 지적 능력의 개념 = 115
2. 지능에 대한 접근방법 = 115
1) 심리측정론 접근 = 118
2) 인지발달론 접근 = 119
3. 다중지능이론 = 120
1) 언어학적 지능 = 121
2) 음악적 지능 = 121
3) 논리ㆍ수학적 지능 = 121
4) 공간적 지능 = 121
5) 신체운동 지능 = 122
6) 개인 내 지능 = 122
7) 대인관계 지능 = 122
8) 자연주의적 지능 = 122
9) 실존 지능 = 123
4. 지능의 발달과 환경과의 관계 = 128
1) 유전과 환경 = 128
2) 유전이 지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28
3) 환경이 지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29
5. 지적인 능력의 향상을 위한 지도방법 = 131
1) 지적 발달에 관한 지식 = 131
2) 풍부하고 다양한 자극과 경험 = 132
3) 논리적 사고와 문제해결 행동의 자극 = 132
4) 성취동기의 발달을 위한 압력 = 136
5) 정서적 안정 = 138
참고 문헌 = 141
별첨 2 : 지능검사의 문제점 = 143
별첨 3 : 말의 지능 = 145
별첨 4 : Q란 무엇인가 = 146
제5장 정서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 = 147
1. 정서와 이성 = 147
2. 정서지능의 개념 = 149
3. 정서지능의 중요성 = 150
4. 정서지능의 구성요인 = 154
1) 자신의 정서를 스스로가 인식하는 것 = 154
2)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고 조절하는 것 = 156
3) 자신의 감정을 생산적으로 이용하는 것 = 158
4)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을 줄 아는 것 = 159
5) 다른 사람과의 인간관계를 맺는 것 = 160
5. 정서지능의 교육과 훈련 = 161
6. 정서지능의 측정방법 및 문제점 = 166
참고 문헌 = 171
제6장 창의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 = 173
1. 창의력의 의미와 중요성 = 174
2. 창의성의 구성요소 = 179
1) 유창성 = 180
2) 유통성 = 181
3) 독창성 = 182
4) 정교성 = 183
3. 지능과 창의성과의 관계 = 183
4. 창의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방법 = 185
1) 자유롭고 허용적인 분위기 = 189
2) 창의력을 길러 줄 수 있는 활동 = 190
3) 창의력을 길러 줄 수 있는 대화 = 192
참고 문헌 = 194
별첨 5 : 간디의 창의성 = 196
제7장 사례연구 교육방법 = 199
1. 개념 = 199
2. 이론적 배경 = 202
3. 사례연구의 유형 = 204
1) Yin의 분류 = 204
2) Borg & Gall의 분류 = 205
3) Stenhouse의 분류 = 205
4. 수업 절차 = 207
1) 준비단계 = 209
2) 전개단계 = 210
3) 정리단계 = 213
5. 사례작성의 실제 = 214
1) 사례작성의 방법 = 214
2) 사례의 예시 = 216
6. 사례연구법의 학습효과 및 장ㆍ단점 = 218
1) 사례연구법의 장점 = 219
2) 사례연구법의 단점 = 219
참고 문헌 = 221
제8장 진로교육과 직업환경 = 223
1. 진로의 개념 = 223
2. 진로교육의 필요성 = 225
3. 진로교육의 일반적 목표 = 227
1) 자신에 관한 보다 정확한 이해 증진 = 227
2)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증진 = 228
3)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의 증진 = 228
4) 정보탐색 및 활용능력의 함양 = 229
5)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및 태도 형성 = 230
4. 직업세계의 변화와 전망 = 230
1) 산업구조의 변화와 직업전망 = 233
2) 지식ㆍ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직업전망 = 233
3) 기술환경의 변화와 직업전망 = 235
5. Holland의 인성이론 = 239
1) 실재적 영역 = 239
2) 탐구적 영역 = 240
3) 예술적 영역 = 240
4) 사회적 영역 = 240
5) 설득적 영역 = 240
6) 관습적 영역 = 241
6. 진로지도의 방향 = 241
1) 컨텐츠 지향 = 244
2) 데이터 베이스 지향 = 245
3) 인터넷 지향 = 245
4) 마케팅 지향 = 245
5) 창의성 지향 = 246
6) 문화 지향 = 246
7) 엔터테인먼트 지향 = 247
8) 건강 지향 = 247
9) 환경 또는 자연 지향 = 247
10) 개인 지향 = 248
11) 안전 지향 = 248
12) 아름다움 지향 = 249
13) 세계시장 지향 = 249
참고 문헌 = 250
제9장 학습자의 이해를 위한 심리검사 = 255
1. 심리검사의 이해 = 255
1) 지능검사 = 257
2) 발달수준 검사 = 259
3) 학습준비도 검사 = 261
4) 정의적 특성을 측정하는 심리검사 = 262
2. 심리검사의 교육적 활용과 문제점 = 263
1) 심리검사의 교육적 활용 = 264
2) 심리검사의 활용상의 문제점 = 265
3) 심리검사의 해석 및 활용상의 유의점 = 268
3. 인터넷을 통한 심리검사 = 271
1) 인터넷 심리검사의 특징 및 장ㆍ단점 = 273
2) 인터넷 심리검사의 검토 및 평가 = 278
참고 문헌 = 281
제10장 정신건강과 심리치료 = 283
1. 정신건강과 건강심리학 = 283
2. 정상과 이상 = 288
3. 정신이상 = 290
4. 심리치료란 무엇인가? = 293
1) 정신분석 치료 = 295
2) 인간중심 심리치료 = 299
3) 인지행동 심리치료 = 303
참고 문헌 = 309
부록 1 : 21세기 유망직업과 유망직종 = 313
부록 2 : 교수-학습과정의 이론모형 = 350
부록 3 : 수업설계와 학습지도안 = 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