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서정후.
서명 / 저자사항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서정후[저].
발행사항
서울 :   한올,   2004   (2005)  
형태사항
246 p : 삽도 ; 26cm.
ISBN
8983256834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46
000 00647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17761
005 20100806104817
007 ta
008 041112s2004 ulka b 000c kor
020 ▼a 8983256834 ▼g 93370 : ▼c \11,000
035 ▼a (KERIS)BIB000009583488
040 ▼d 211048 ▼d 244002
082 0 4 ▼a 371.33 ▼2 22
090 ▼a 371.3 ▼b 2004L
100 1 ▼a 서정후.
245 2 0 ▼a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d 서정후[저].
260 ▼a 서울 : ▼b 한올, ▼c 2004 ▼g (2005)
300 ▼a 246 p : ▼b 삽도 ; ▼c 26cm.
504 ▼a 참고문헌: p. 246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1.3 2004L 등록번호 1511907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서정후(지은이)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교사·교육방법·교육공학·실기교육의 개념 = 11
 1. 교직의 개념과 교사의 역할 = 12
  1) 교직의 개념 = 12
  2) 교사의 역할 = 15
 2. 교사의 양성 = 21
  1) 교사양성교육의 필요성 = 21
  2) 교사양성제도 = 22
 3. 교사의 자질 = 25
  1) 교사의 특성 = 25
  2) 이상적인 교사상 = 28
  3) 실기교사의 기능과 역할 및 자질 = 29
  4) 실기교사 자격제도 = 32
 4. 교육방법의 개념 = 34
  1) 교육방법의 의미와 정의 = 34
  2) 교육방법의 성격 = 35
  3) 교육방법의 분류 = 36
  4) 교육적 제 요인의 종합적 설계 = 36
 5. 교육공학의 개념 = 37
  1) 교육공학의 출현 = 37
  2) 교육공학의 영역 = 39
  3) 교육공학의 변천과정과 이론적 배경 = 42
 6. 실기교육의 개념 = 46
  1) 사전적 의미에서의 정의 = 46
  2) 현실교육 측면에서의 정의 = 47
  3) 실기교육의 관련개념 = 48
 7. 실기교육의 성격 = 50
  1) 실기교육개념의 역사적 변천과정 = 51
  2) 실기교육과 이론교육 = 52
  3) 실기교육의 일반적 특성 = 53
  4) 실기교육의 대상과 교육체제 = 56
 8. 자격의 개념과 유형 = 57
  1) 자격의 개념과 요건 = 57
  2) 자격의 유형 = 62
 토의과제 = 65
제2장 교수·학습지도의 기초 = 67
 1. 교수-학습의 기초 = 68
  1) 교수의 정의 = 68
  2) 학습의 정의 = 69
  3) 교수와 학습의 관계 = 70
  4) 교수-학습의 이론적 배경 = 71
 2. 교수-학습지도 = 84
  1) 교수-학습지도의 개념 = 84
  2) 교수-학습지도의 조건과 원리 = 85
  3) 학습지도안 = 87
  4) 학습지도안의 실제 = 97
 3. 지도계획 = 98
 4. 자료 및 준비 = 98
 5. 본시의 지도계획 = 98
 6. 평가 = 99
 토의과제 = 105
제3장 교수·학습의 과정 = 107
 1. 교수-학습과정의 개념 = 108
  1) 교수와 학습의 개념 = 108
 2. 교육목표와 수업목표 = 110
  1) 교육목표의 구조 = 111
  2) 수업목표의 개념과 성격 = 113
  3) 수업목표의 진술 = 115
 3.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118
  1) 학습자의 출발점 행동진단 = 119
  2) 교육내용의 선정 = 119
  3) 교육내용의 조직 = 124
 토의과제 = 129
제4장 교수·학습 방법 = 131
 1. 교수-학습 방법의 선정 = 131
  1) 교수-학습 방법 선정 시 고려 사항 = 133
  2) 교수-학습 방법의 선정 기준 = 134
 2. 교수-학습 방법의 분류 = 135
  1) 교수-학습의 모형에 따른 분류 = 135
  2) 수업주체에 의한 분류 = 138
  3) 수업집단의 규모에 따른 분류 = 140
 3.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 = 142
  1) 강의법 = 142
  2) 문답법(질의응답법, 질문법, 대화법, 발전법) = 143
  3) 토의법 = 144
  4) 문제해결법(problem solving method) = 146
  5) 구안법(project method) = 148
  6) 버즈학습(buzz learning) = 149
  7) 팀 티칭(team teaching) = 151
  8) 모의학습법(simulation learning method) = 151
  9) 프로그램 학습법(programmed learning method) = 153
  10) 컴퓨터 보조수업(CAI :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 155
  11) 열린교육 = 156
 토의과제 = 159
제5장 교수매체 = 161
 1. 교수매체의 개념과 특성 = 162
  1) 교수매체의 개념 = 162
  2) 교수매체의 특성 = 162
 2. 교수매체의 선정과 이론적 근거 = 163
  1) 교수매체 선정의 이론적 근거 = 164
  2) 교수매체 선정의 과정 = 167
  3) 교수매체 활용시 유의사항 = 168
 3. 교수매체의 종류 = 170
  1) 투사형 매체 = 170
  2) 비투사형 매체 = 172
  3) 시청각 매체 = 180
 토의과제 = 185
제6장 교육방법과 뉴미디어(new media) = 187
 1. 교육환경의 변화 = 188
  1) 교육방법 = 188
  2) 교육공학의 발전 = 190
 2. 인터넷과 교육 = 191
  1) 인터넷의 개념 = 191
  2) 인터넷의 특성과 교육적 효용성 = 192
  3) 인터넷 활용 수업 = 201
 3. 뉴미디어(New Media)와 교육 = 208
  1) 상호작용 비디오 = 208
  2) 멀티미디어(multi media) = 210
  3)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 214
  4) 원격교육 = 220
 토의과제 = 225
제7장 산학협동과 현장실습교육 = 227
 1. 산학협동 = 228
  1) 산학협동(교육)의 개념 = 228
  2) 산학협동교육의 필요성 = 229
  3) 산학협동의 내용 = 229
 2. 현장실습교육 = 232
  1) 개념 = 233
  2) 현장실습교육의 필요성과 단계 = 235
  3) 현장실습교육의 계획과 운영 = 237
 3. 안전교육 = 241
  1) 안전교육의 개념 및 정의 = 242
  2) 안전교육의 목적과 시행방법 = 243
 토의과제 = 24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