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어 = 13
생화학 용어 = 17
1. 골격근과 운동의 생리학 및 생화학 = 21
1.1 운동의 생리학과 생화학 = 21
1.2 골격근 = 22
1.2.1 구조, 신경 분포와 혈액 공급 = 22
1.2.2 근섬유의 미세 구조 = 24
1.2.3 근섬유의 분자 조성 = 25
1.2.4 힘 발생의 메카니즘 = 27
1.2.5 힘 발생 조절 = 29
1.2.6 운동단위 = 29
1.2.7 섬유 유형 = 31
1.2.8 근육 작용의 유형들 = 35
1.2.9 골격근의 가소성 = 36
1.3 근수축을 위한 에너지원 = 37
1.3.1 ATP = 37
1.3.2 무산소 대사 = 39
1.3.3 인원질계 = 39
1.3.4 해당계 = 40
1.3.5 유산소 대사 :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의 산화 = 41
1.4 TCA회로 = 44
1.5 전자전달계 = 45
1.6 산화적 인산화 = 48
1.7 탄수화물과 지질 저장 = 48
1.8 기질 사용 예측법 = 50
1.9 운동 중 연료원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52
1.9.1 운동강도와 기간 = 52
1.9.2 근섬유 조성 = 52
1.9.3 운동 중 식이와 섭식 = 54
1.9.4 운동 트레이닝 = 54
1.9.5 사전 운동 = 54
1.9.6 약물 = 55
1.9.7 호르몬 = 55
1.9.8 환경 요인 = 55
1.10 운동 중 혈액에서 생성된 연료 및 산소의 근육으로의 운반 = 57
1.10.1 혈류 분포 = 57
1.10.2 심박출량과 정맥귀환 = 58
1.10.3 혈량 = 60
1.10.4 혈압 = 62
1.10.5 폐 환기 = 62
1.10.6 혈액의 산소 운반능력 = 63
1.11 운동 중 근육에 의한 산소섭취 = 65
1.11.1 운동 중 산소섭취의 제한 = 66
1.12 요점 = 69
2. 퓨린 뉴클레오티드와 인산크레아틴 = 72
2.1 자유에너지 = 72
2.2 아데노신 삼인산과 인산크레아틴 = 73
2.3 자유에너지 변화와 아데닐레이트 풀(Adenylate Pool) = 77
2.4 골격근에서의 Adenine Nucleotide 소실 = 80
2.5 purine nucleotide cycle = 83
2.5.1 purine nucleotide cycle에서 탈아미노화 = 83
2.5.2 purine nucleotide cycle에서 재아미노화 = 85
2.5.3 피로 = 86
2.6 요점 = 87
3. 탄수화물 대사 = 90
3.1 탄수화물의 역할 = 90
3.2 탄수화물 공급 = 90
3.3 Glycolysis와 Glycogenolysis = 93
3.4 NA \D+ 재생 = 97
3.5 해당과정의 조절 = 100
3.6 다양한 조직에서의 탄수화물 이용 = 104
3.7 당신생반응 : 비 - 탄수화물 원료를 이용한 glucose 생성 = 106
3.8 glycogen 합성 = 108
3.9 호르몬에 의한 탄수화물 대사 조절 = 110
3.10 탄수화물 대사 연구방법과 연구상의 진전 = 113
3.11 요점 = 115
4. 지질대사 = 118
4.1 지질의 역할 = 118
4.2 지질의 종류 = 118
4.2.1 단순지질 = 119
4.2.2 복합지질 = 121
4.2.3 유도지질 = 124
4.3 지질 합성 = 125
4.3.1 지방산 합성 = 125
4.3.2 Triacylglycerol 합성 = 129
4.4 지방분해 반응 = 131
4.5 지방산 산화 = 133
4.6 근육 내의 Triacylglycerol = 139
4.7 케톤체 생성과 산화 = 140
4.8 운동 중 지질대사의 조절 = 141
4.9 지구성 트레이닝이 운동 중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 144
4.10 요점 = 145
5. 단백질, 아미노산 및 관련된 분자의 대사 = 147
5.1 단백질의 역할 = 147
5.2 아미노산 = 148
5.3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 151
5.4 핵산과 단백질 합성의 조절 = 152
5.5 단백질 Turnover = 156
5.6 아미노산 대사 = 157
5.7 운동시 단백질 대사 = 159
5.8 당신생반응과 케톤생성반응 = 162
5.9 단백질 Turnover의 조절 = 164
5.10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아미노산과 관련 화합물 = 165
5.10.1 신경전달물질로서의 아미노산 = 166
5.11 조절성 펩티드와 단백질 = 169
5.11.1 대사 조절 물질 = 169
5.11.2 성장요인 = 170
5.11.3 장에 존재하는 펩티드 = 170
5.11.4 뇌에 존재하는 펩티드 = 171
5.12 요점 = 171
6. 고강도 운동과 대사반응 = 174
6.1 ATP 재합성 = 174
6.2 고강도 운동에 필요한 기질 = 175
6.2.1 Phosphocreatine = 175
6.2.2 Glycogenolysis와 Glycolysis = 176
6.3 단기간의 최대 운동 중 Phosphocreatine과 glycogen 사용의 통합 = 179
6.4 30초를 초과하는 고강도 운동 = 179
6.5 반복적인 운동 = 180
6.6 근섬유 유형의 반응 = 181
6.7 피로 = 183
6.7.1 에너지 공급 붕괴에 의한 피로 = 184
6.7.2 생성물 억제에 의한 피로 = 186
6.7.3 Crossbridge 형성을 선행하는 요인들에 의한 피로 = 186
6.8 영양과 최대 운동수행 = 187
6.9 요점 = 190
7. 장시간 운동과 대사 반응 = 195
7.1 장시간 운동을 위한 연료 = 195
7.2 골격근에 의한 탄수화물과 지방 산화의 통합 = 196
7.3 근육의 탄수화물 활용, 식이, 그리고 운동 = 200
7.4 간의 탄수화물 활용, 식이, 그리고 운동 = 204
7.5 운동 직전의 탄수화물 섭취 = 206
7.6 운동 중의 탄수화물 섭취 = 207
7.7 운동전 지방 유용성 상승 효과 = 208
7.8 피로 기전 = 210
7.9 요점 = 211
8. 트레이닝과 대사적응 = 215
8.1 트레이닝의 원리 = 215
8.2 지구성 트레이닝에의 적응 = 216
8.2.1 섬유형태 조성 = 217
8.2.2 근모세혈관 밀도 = 219
8.2.3 근육 마이오글로빈 함유량 = 221
8.2.4 근육내 연료저장 = 222
8.2.5 해당능력 = 222
8.2.6 근육의 미토콘드리아 밀도와 산화효소 활동 = 223
8.3 지구성 트레이닝에 따른 운동대사 반응 변화 = 225
8.4 운동에 대한 대사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성 트레이닝에의 생리적 적응 = 230
8.5 지구성 트레이닝 적응과 탈트레이닝의 시간에 따른 변화 = 232
8.6 지구성 트레이닝에 대한 호르몬성 적응 = 233
8.7 스프린트와 근력 트레이닝 적응 = 236
8.8 트레이닝에 대한 근육 적응대사 = 239
8.9 트레이닝 적응 시 혈중 지질 농도 = 241
8.10 강한 트레이닝과 면역억제 = 242
8.11 과도한 트레이닝 = 245
8.12 요점 = 246
부록 1. 화학구조와 결합 = 249
A1.1 화학구조 = 249
A1.2 당분자의 구조 = 252
부록 2. 효소의 동력학과 반응조절 = 255
A2.1 효소의 작용 메카니즘 = 255
A2.2 효소 동력학 = 256
A2.2.1 영차, 일차, 이차 반응 = 259
A2.3 효소 활성 = 260
A2.3.1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260
A2.3.2 조효소, 보철그룹, 보조인자, 활성제 = 261
A2.3.3 경쟁적 길항제와 비경쟁적 길항제 = 261
A2.3.4 알로스테릭변이와 공유변이 = 262
A2.3.5 효소 이성질체 = 262
부록 3. 화학적 완충액과 산-염기 균형 조절 = 263
A3.1 정의 = 263
A3.2 배경 = 264
A3.3 완충용액 = 264
A3.4 산-염기 균형이 깨지는 것에 대한 반응 = 268
A3.4.1 완충(일차)반응 = 268
A3.4.2 생리학적(이차)반응 = 269
A3.5 '정상값'과 산-염기 교란 형태 = 271
색인 = 273
역자소개 =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