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문 = 9
Ⅱ.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1. "아니다. 사실은 없다. 단지 해석만이 있을 뿐이다."
1) 사실인가, 해석인가? = 11
2) 기호학의 핵심 개념들 = 14
3) 기호학적 판단과 사실적 판단 = 19
2. 기호학과 기호론
1) 기호학의 하위 한계 = 22
2) 기호학인가, 기호론인가? = 23
3) 기호학은 기호에 관한 학이다? = 25
Ⅲ. 기호학의 역사가 된 사람들과 이론들
1. 소쉬르(1857-1913) : 구조주의 기호학의 개척자
1) "언어는 실질이 아니라 형식이다" = 31
2) 개념과 청각영상, 랑그와 빠롤 : 기호를 구성하는 구조와 차원 = 33
3) 결합체와 계열체, 공시성과 통시성 : 기호에 담긴 2분법적 요소들 = 36
2. 피어스(1839-1914) : 실용론적 기호학의 개척자
1) 표현체, 대상, 해석작용 : '기호화 과정'의 3범주 = 39
2) (표현체, 대상, 해석작용) x 3 : 3가지 범주의 3가지 존재 양식 = 46
3) 10가지 부류의 기호들 : 세상 모든 것의 존재론적 분류를 위하여 = 52
3. 리차즈(1893-1979)와 오그든(1889-1957)의 『의미의 의미』 (1923)
1) '상징', '정신적 지시대상', '현실적 지시대상' : 기호학 삼각형의 요소들 = 62
2) 기호학 삼각형에서 '현실적 지시대상'의 문제점 = 67
4. 야콥슨(1896-1982) :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
1) 러시아 형식주의, 체코 구조주의, 프랑스 구조주의 = 73
2) 커뮤니케이션의 필수 요소 6가지 = 74
3)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6가지 = 77
5. 옐름슬레우(1899-1965) : '코펜하겐 학파'와 '언어형식학'
1) 표현과 내용, 형식과 실질 : 기호를 구성하는 구조적 요소들 = 85
2) '구체적 단순지시'와 '부가의미적 지시': 1차적 체계와 2차적 체계 = 95
6. 모리스(1901-1979) : 행동주의 기호학
1) 의미론, 통사론, 실용론 : 언어학의 3분야 = 104
2) '기호 매개물', '해석작용', '인식대상 ': 행동주의적 '기호화 과정'의 3요소 = 109
7. 그레마스(1917-1992) : '파리 학파'와 '의미작용'의 기호학
1) 의미작용, 형태동위체, 의미동위체 = 119
2) 기호학 사각형 : 인식과 세계의 구조적 틀 = 127
3) 공시적 구조 모델 : 역할소 모델 = 133
4) 통시적 구조 모델 : 계약 기능의 범주 = 144
5) '전환 모델'과 '구성 모델' : 시간적 역사와 초시간적 텍스트 모델 = 154
8. 롤랑 바르트(1915-1980) : 비언어적 기호학의 개척자
1) 문화이론가, '글 쓰는' 사람, 기호학자로서의 롤랑 바르트 = 161
2) 신화 : "자연스러움으로 위장된 이데올로기"라는 '2차 체계' = 167
3) 『유행복의 체계』 : "본격적 비언어학적 기호론"을 처음으로 적용한 예 = 176
맺음말 = 201
참고문헌 = 203
참고하면 좋을 책들 = 207
용어 대조표 = 215
〈문학의 기본 개념〉 총서를 펴내며 =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