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 1 : 동양 문학편 (Loan 3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태권, 저 정재서, 편 한형조, 편 이재민, 편
Title Statement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 1 , 동양 문학편 / 강태권 외 35인 지음; 정재서, 한형조, 이재민 엮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휴머니스트,   2005  
Physical Medium
743 p. : 삽화 ; 23 cm
ISBN
8958620757
General Note
오늘의 눈으로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  
000 00754namcc2200253 c 4500
001 000045216424
005 20101123172902
007 ta
008 051220s2005 ulka 000c kor
020 ▼a 8958620757 ▼g 038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28.1 ▼2 22
085 ▼a 028.1 ▼2 DDCK
090 ▼a 028.1 ▼b 2005f ▼c 1
245 0 0 ▼a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 ▼n 1 , ▼p 동양 문학편 / ▼d 강태권 외 35인 지음; ▼e 정재서, ▼e 한형조, ▼e 이재민 엮음
260 ▼a 서울 : ▼b 휴머니스트, ▼c 2005
300 ▼a 743 p. : ▼b 삽화 ; ▼c 23 cm
500 ▼a 오늘의 눈으로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
700 1 ▼a 강태권, ▼e
700 1 ▼a 정재서, ▼e
700 1 ▼a 한형조, ▼e
700 1 ▼a 이재민, ▼e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28.1 2005f 1 Accession No. 1113453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28.1 2005f 1 Accession No. 111345346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1-16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028.1 2005f 1 Accession No. 1511917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028.1 2005f 1 Accession No. 15119176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28.1 2005f 1 Accession No. 1113453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28.1 2005f 1 Accession No. 111345346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1-16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028.1 2005f 1 Accession No. 1511917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028.1 2005f 1 Accession No. 15119176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는 휴머니스트가 창립 5주년을 기념하여 '오늘의 눈으로 세계의 고전을 읽자'를 모토로 하여 기획한 프로젝트이다. 이 시리즈는 동양의 문학편과 교양편, 서양의 문학편과 교양편, 그리고 한국의 고전문학편, 근대문학편, 교양편 등 일곱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리즈의 특징은 첫째, 서양과 동양, 그리고 한국에 걸친 균형 잡힌 고전의 선정이다. 중국과 일본 중심의 동양의 고전을 서구의 고전과 거의 같은 수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한국의 고전에 역점을 두어 세 권으로 구성한 것도 남다른 시도이다.

둘째, 각 분야에서 돋보이는 역량과 필력을 자랑하는 250여 명의 당대 지식인과 작가들이 저자로 참여했다. 독자들은 그 전문가들이 고전에 대해 어떤 실마리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문제의식에 접근해 가는지 살펴볼 수 있다.

셋째, 고전읽기의 현재성과 미래성을 밝히고자 했다. 기획과 집필에서 가장 주안점으로 고전 읽기를 통해 사유하고 사색하는 과정을 '독자 스스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두었다.

이 책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문학 고전을 소개하고 있다. 1부에는 <산해경>, <시경>, <초사>가 포함된다. 2부에서는 도연명, 이백, 왕유, 두보, 백거이, 소동파 등 대시인들의 작품 세계가 다루어진다. 3부에서는 이른바 '육대기서'라고 하는 <삼국연의>, <수호전>, <서유기>, <금병매>, <홍루몽>, <유림외사> 등 6권의 대표적 고전 소설들을 소개한다.

4부에서는 <수신기>, <세설신어>, <태평광기>, <요재지이> 등을 선보인다. 5부에서는 <열려전>, <시품>, <문심조룡>, <창려선생집> 등의 작품을 해설한다. 6부에서는 <아Q정전>, <자야>, <낙타 시앙쯔> 등 중국 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고전들을 만난다. 7부에서는 <만엽집>, <겐지 이야기>, <도연초>, <바쇼 시집>, <설국>, <만엔 원년의 풋볼> 등의 일본 문학 고전 작품들을 접하게 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정재서(엮은이)

신화학자, 중문학자, 문학평론가. 현재 영산대학교 석좌교수 겸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장, 이화여대 명예교수로 재직중이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의 하버드-옌칭 연구소와 일본의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에서 연구생활을 했다. 계간 『상상』 『비평』 등의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신화학, 도교학 등을 바탕으로 주변 문화론, 제3의 동양학, 제3의 신화학 등을 제창하고 동아시아 담론, 동아시아 상상력 등과 관련된 논의를 활발히 전개해왔다. 계명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중국어문학회 회장, 비교문학회 회장, 도교문화학회 회장, 인문콘텐츠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산해경 역주』 『불사의 신화와 사상』 『동양적인 것의 슬픔』 『이야기 동양신화』 『사라진 신들과의 교신을 위하여』 『앙띠 오이디푸스의 신화학』 『동아시아 상상력과 민족서사』 『산해경과 한국문화』 등 다수의 저서와 역서가 있다.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 비교문학상, 우호학술상, 이화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한형조(엮은이)

동해안의 바닷가에서 태어나 자랐다. 부산의 경남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불교로 동양학에 입문하여, 일상에서 구원을 모색하는 유학을 공부했다. 다산 정약용의 고전해석학(經學)을 다룬 "주희에서 정약용으로의 철학적 전환"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띠풀로 덮인 동아시아 고전의 옛길을 헤쳐왔다. 고전을 통해 삶의 길을 배우고, 문명의 비평적 전망을 탐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lt;왜 동양철학인가&gt;(2000), &lt;왜 조선유학인가&gt;(2008)&gt;, &lt;조선유학의 거장들&gt;(2008), &lt;붓다의 치명적 농담&gt;(2011)&gt;, &lt;허접한 꽃들의 축제&gt;(2011) 등이 있다.

이재민(엮은이)

휴머니스트 편집주간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volume. vol.]----------
목차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를 펴내며 = 5

《동양-문학편》을 펴내며 = 8

Ⅰ. 최고의 문학 고전들

 01 상상력의 보물창고 - 『산해경(山海經)』 / 정재서 = 21

 02 시와 정치의 교과서 - 『시경(詩經)』 / 심경호 = 39

 03 지극한 슬픔의 환상적 승화 - 굴원(屈原)의 『초사(楚辭)』 / 송정화 = 65

Ⅱ. 불멸의 시인들

 01 시로써 이룩한 고아한 인생철학 - 도연명(陶淵明)의 시 / 김창환 = 83

 02 천진, 낭만 그리고 해방의 시 정신 - 이백(李白)의 시 / 신하윤 = 101

 03 자연의 품속에서 심신의 안녕과 해탈을 꿈꾸며 - 왕유(王維)의 시 / 박삼수 = 117

 04 역경 속의 고귀한 삶의 자세 - 두보(杜甫)의 시 / 이지운 = 133

 05 세속의 운명과 그 달관의 노래 - 『백거이집(白居易集)』 / 유병례 = 153

 06 호방한 작풍, 거침없는 필치 - 『소동파전집(蘇東坡全集)』 / 류종목 = 175

Ⅲ. 세상을 놀라게 한 여섯 권의 책

 01 동아시아 최고의 베스트 셀러 -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三國志))』 / 유중하 = 201

 02 협객과 호걸들의 정의로운 삶 - 시내암(施耐庵)의 『수호전(水滸傳)』 / 송진영 = 219219

 03 '참나'를 찾아 떠나는 끝없는 여정 - 오승은(吳承恩)의 『서유기(西遊記)』 / 정재서 = 237

 04 야하지 않은 사랑이야기 - 소소생(笑笑生)의 『금병매(金甁梅)』 / 강태권 = 255

 05 웃음 뒤에 숨겨진 지식인의 아픈 역사 - 오경재(吳敬梓)의 『유림외사(儒林外史)』 / 김효민 = 273

 06 가없는 사랑의 세계 - 조설근(曺雪芹)의 『홍루몽(紅樓夢)』 / 최용철 = 287

Ⅳ. 역대의 명작 소설들

 01 내 마음 속의 전설처럼 - 간보(干寶)의 『수신기(搜神記)』 / 장정해 = 319

 02 촌철살인의 붓끝에서 핀 꽃송이 - 유의경(劉義慶)의 『세설신어(世說新語)』 / 김장환 = 333

 03 고대 소설의 집대성 - 『태평광기(太平廣記)』 / 김장환 = 351

 04 운명의 수레바퀴 속에서 - 구우(瞿佑)의 『전등신화(剪燈新話)』 / 상기숙 = 365

 05 꿈과 진실의 파노라마 - 포송령(蒲松齡)의 『요재지이(聊齊志異)』 / 김혜경 = 389

 06 거울 속의 꽃, 물 속의 달 - 이여진(孝汝珍)의 『경화연(鏡花緣)』 / 정영호 = 405

 07 세기말 관료의 천태만상 - 이보가(李寶嘉)의 『관장현형기(官場現形記)』 / 위행복 = 417

Ⅴ. 시대를 넘어 다시 보아야 할 책들

 01 우리 여성의 기원 -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 / 이숙인 = 439

 02 세상의 시인을 논하다 - 종영(鍾嶸)의 『시품(詩品)』 / 오태석 = 461

 03 마음과 언어의 예술적 만남 - 유협(劉협)의 『문심조룡(文心雕龍)』 / 김민나 = 479

 04 바르고 참된 산문 정신 - 한유(韓愈)의 『창려선생집(昌黎先生集)』 / 이세동 = 499

 05 살아 한 이불, 죽어 한 무덤 - 왕실보(王實甫)의 『서상기(西廂記)』 / 양회석 = 517

Ⅵ. 현대의 문학 고전들

 01 중국인의 일그러진 자화상 - 루쉰(魯迅)의 『아Q정전』 / 서광덕 = 541

 02 1930년 상하이(上每)의 밤과 낮, 돈과 사람 - 마오둔(芽盾)의 『자야(子夜)』 / 김하림 = 559

 03 인간에서 짐승으로 - 라오서(老舍)의 『낙타 시앙쯔』 / 이욱연 = 577

 04 혁명을 꿈꾸는 휴머니스트 - 바진(巴金)의 『가(家)』 / 박난영 = 595

 05 삶의 진정성에 대한 성찰 - 왕멍(王蒙)의 『변신인형(活動人形)』 / 전형준 = 615

Ⅶ. 일본의 문학 고전들

 01 고대인의 삶과 서정 - 오토모노 야카모치(大伴家持)의 『만엽집(萬葉集)』 / 박상현 = 631

 02 사랑과 운명, 그리고 구원의 서사시 - 무라사키시키부(紫式部)의 『겐지이야기(源氏物語)』 / 김유천 = 649

 03 무상한 세태를 사는 삶의 지혜 - 요시다 겐코(吉田兼好)의 『도연초(徒然草)』 / 정장식 = 669

 04 나의 시는 여름의 난로, 겨울의 부채와 같아라 - 마츠오 바쇼(松尾芭蕉)의 삶과 문학 / 김정례 = 687

 05 덧없이 타오르는 생명의 불꽃 -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의 『설국(雪國)』 / 유숙자 = 707

 00 백년을 뛰어넘는 역사와의 교감 -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郞)의 『만엔 원년의 풋볼』 / 서은혜 = 72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長田弘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