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52n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216423 | |
005 | 20101123172757 | |
007 | ta | |
008 | 051220s2005 ulk 000c kor | |
020 | ▼a 8958620765 ▼g 038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28.1 ▼2 22 |
085 | ▼a 028.1 ▼2 DDCK | |
090 | ▼a 028.1 ▼b 2005f ▼c 2 | |
245 | 0 0 | ▼a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 ▼n 2 , ▼p 동양 교양편 / ▼d 권중달 외 26인 지음; ▼e 정재서, ▼e 한형조, ▼e 이재민 엮음 |
260 | ▼a 서울 : ▼b 휴머니스트, ▼c 2005 | |
300 | ▼a 647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오늘의 눈으로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 | |
700 | 1 | ▼a 권중달, ▼e 저 |
700 | 1 | ▼a 정재서, ▼e 편 |
700 | 1 | ▼a 한형조, ▼e 편 |
700 | 1 | ▼a 이재민, ▼e 편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05f 2 | 등록번호 1113453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05f 2 | 등록번호 1113453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28.1 2005f 2 | 등록번호 1511991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028.1 2005f 2 | 등록번호 1511991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05f 2 | 등록번호 1113453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05f 2 | 등록번호 1113453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28.1 2005f 2 | 등록번호 1511991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028.1 2005f 2 | 등록번호 1511991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는 휴머니스트가 창립 5주년을 기념하여 '오늘의 눈으로 세계의 고전을 읽자'를 모토로 하여 기획한 프로젝트이다. 이 시리즈는 동양의 문학편과 교양편, 서양의 문학편과 교양편, 그리고 한국의 고전문학편, 근대문학편, 교양편 등 일곱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리즈의 특징은 첫째, 서양과 동양, 그리고 한국에 걸친 균형 잡힌 고전의 선정이다. 중국과 일본 중심의 동양의 고전을 서구의 고전과 거의 같은 수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한국의 고전에 역점을 두어 세 권으로 구성한 것도 남다른 시도이다.
둘째, 각 분야에서 돋보이는 역량과 필력을 자랑하는 250여 명의 당대 지식인과 작가들이 저자로 참여했다. 독자들은 그 전문가들이 고전에 대해 어떤 실마리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문제의식에 접근해 가는지 살펴볼 수 있다.
셋째, 고전읽기의 현재성과 미래성을 밝히고자 했다. 기획과 집필에서 가장 주안점으로 고전 읽기를 통해 사유하고 사색하는 과정을 '독자 스스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두었다.
이 책은 동양의 사상편에 해당하며 정치, 사회, 과학, 종교, 역사와 예술 분야를 두루 망라하고 있다. 동양이라고는 하나 실제로는 '중국'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1부는 성찰과 교훈으로서의 '역사'이고, 2부는 '정치'의 기술에 대한 조언들이다. 3부는 그 반대편에서 울리는 '평화'의 목소리들이다. 4부는 정치와 평화 사이, 중도로서의 유학 사상을 다룬다. 5부는 질서보다는 자유를 노래한, '비판'적 지성들을 한 자리에 모셨다.
6부는 그 극단에서 불교의 가르침을 듣는다. '영혼'을 일깨우기 위한 고된 수련과 순례의 여정들이다. 7부는 유학 전통의 '변모'와 근대 세계를 다룬 책들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재서(엮은이)
신화학자, 중문학자, 문학평론가. 현재 영산대학교 석좌교수 겸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장, 이화여대 명예교수로 재직중이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의 하버드-옌칭 연구소와 일본의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에서 연구생활을 했다. 계간 『상상』 『비평』 등의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신화학, 도교학 등을 바탕으로 주변 문화론, 제3의 동양학, 제3의 신화학 등을 제창하고 동아시아 담론, 동아시아 상상력 등과 관련된 논의를 활발히 전개해왔다. 계명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중국어문학회 회장, 비교문학회 회장, 도교문화학회 회장, 인문콘텐츠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산해경 역주』 『불사의 신화와 사상』 『동양적인 것의 슬픔』 『이야기 동양신화』 『사라진 신들과의 교신을 위하여』 『앙띠 오이디푸스의 신화학』 『동아시아 상상력과 민족서사』 『산해경과 한국문화』 등 다수의 저서와 역서가 있다.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 비교문학상, 우호학술상, 이화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한형조(엮은이)
동해안의 바닷가에서 태어나 자랐다. 부산의 경남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불교로 동양학에 입문하여, 일상에서 구원을 모색하는 유학을 공부했다. 다산 정약용의 고전해석학(經學)을 다룬 "주희에서 정약용으로의 철학적 전환"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띠풀로 덮인 동아시아 고전의 옛길을 헤쳐왔다. 고전을 통해 삶의 길을 배우고, 문명의 비평적 전망을 탐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왜 동양철학인가>(2000), <왜 조선유학인가>(2008)>, <조선유학의 거장들>(2008), <붓다의 치명적 농담>(2011)>, <허접한 꽃들의 축제>(2011) 등이 있다.
이재민(엮은이)
휴머니스트 편집주간이다.

목차
[volume. vol.2]---------- 목차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를 펴내며 = 5 《동양-교양편》을 펴내며 = 8 Ⅰ. 역사, 그 성찰의 기록 01 한자(漢字)의 모든 것 -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 / 손예철 = 21 02 동양 정치사상의 원류 - 『서경(書經)』 / 심경호 = 39 03 역사의 혼, 불멸의 역사서로 부활하다 -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 이인호 = 61 04 제왕을 위한 책 -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 / 권중달 = 83 05 문명 성쇠의 비밀을 밝혀낸 이슬람의 고전 - 이븐 할둔의 『역사서설(歷史序說)』 / 김호동 = 111 06 '왜(倭)'의 역사가 아닌 '일본국(日本國)'의 역사를 쓰다 - 『일본서기(日本書記)』 / 이근우 = 125 Ⅱ. 정치의 기술에 대한 충고 01 난세의 부국강병론 - 상앙(商앙)의 『상군서(商君書)』 / 장현근 = 145 02 성왕이 다스리는 나라 - 순황(筍況)의 『순자(筍子)』 / 장현근 = 163 03 염철 논쟁을 통해서 보는 고대 중국 사회 - 환관(桓寬)의 『염철론(鹽鐵論)』 / 김한규 = 179 04 지도자와 국민이 함께 읽는 '토론 정치'의 경전 - 오긍(吳兢)의 『정관정요(貞觀政要)』 / 김원중 = 205 Ⅲ. 평화를 위한 목소리들 01 이 세상에 자연의 질서를 적용하자 -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 최진석 = 225 02 사랑의 정치 철학과 논리의 발견 - 묵적(墨翟)의 『묵자(墨子)』 / 강신주 = 241 03 주역의 도와 음양대대(陰陽待對)의 원리 - 『주역(周易)』 / 최영진 = 257 04 삶의 한 탁월한 기술 - 『황제내경(黃帝內經)』 / 이창일 = 275 05 대립과 통일의 변주곡 - 유안(劉安)의 『회남자(淮南子)』 / 윤찬원 = 301 Ⅳ. 인격과 사회적 책임 01 큰 사람이 되기 위한 배움의 길 - 『대학(大學)』 / 김교빈 = 321 02 동양 고전의 어머니 - 공자(孔子)의 『논어(論語)』 / 황희경 = 337 03 성선설(性善說)과 인정론(仁政論) - 맹가(孟軻)의 『맹자(孟子)』 / 이승환 = 355 04 낡고 통속적인 일상 속에서, 보상도 기대도 없이 올리는, 자신을 향한 예배 - 『중용(中庸)』 / 한형조 = 373 05 살아서는 도리, 그리고 죽어서는 평화 - 주희(朱熹)의 『근사록(近思錄)」』 / 한형조 = 385 Ⅴ. 자유와 비판의 지성 01 마음은 천하(天下)에 있으되 몸은 강호(江湖)에 살다! - 장주(莊周)의 『장자(莊子)』 / 김시천 = 401 02 이성의 왕국에서 시시비비를 가려 참과 거짓의 표준을 세우다 - 왕충(王充)의 『논형(論衡)』 / 김종미 = 419 03 실천적 삶을 위한 지침서 - 왕수인(王守仁)의 『전습록(傳習錄)』 / 한정길 = 435 04 역설과 독설의 미학 - 이지(李贄)의 『분서(焚書)』 / 김혜경 = 449 05 화가는 첫 붓에 예술혼을 적신다 - 석도(石濤)의 『고과화상화어록(苦瓜和尙畵語錄)』 / 이태호 = 469 Ⅵ. 영혼의 각성과 순례 01 그리고, 불교는 없다 - 『반야심경(般若心經)』 / 한형조 = 491 02 마음의 평화 얻기 - 용수(龍樹)의 『중론(中論)』 / 박인성 = 505 03 "어디서 찾고 있느냐, 네가 곧 부처이다" - 혜능((慧能)의 『육조단경(育祖壇經)』 / 한형조 = 529 04 중세 중앙아시아ㆍ인도의 생생한 기록 - 현장(玄奬)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 김호동 = 543 Ⅶ. 유학과 근대 세계 01 만민(萬民)을 위하여 전제군주제를 비판하다 - 황종희(黃宗羲)의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 / 조병한 = 561 02 근대의 여명기에 타오른 유학의 마지막 불꽃 - 강유위(康有爲)의 『대동서(大同書)』 / 황희경 = 581 03 주자학의 해체와 근대적 사유의 탐구 -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의 『일본정치사상사 연구』 / 김석근 = 595 04 마르크스 이론의 중국적 변용 - 마오쩌뚱(毛澤東)의 『실천론』과 『모순론』 / 김승일 = 613 05 유학의 제3기 발전론 - 뚜웨이밍(杜維明)의 『유학 제3기 발전의 전망 문제』 / 이승환 = 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