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08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215892 | |
005 | 20100806102209 | |
007 | ta | |
007 | ta | |
008 | 040628s2004 ulk AF 000c kor | |
020 | ▼a 8970923152 ▼g 93800 | |
035 | ▼a (KERIS)BIB000009428126 | |
040 | ▼a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801.95 ▼2 22 |
090 | ▼a 801.95 ▼b 2004b | |
100 | 1 | ▼a 오민석 ▼0 AUTH(211009)40143 |
245 | 1 0 | ▼a 정치적 비평의 미래를 위하여 / ▼d 오민석 지음. |
260 | ▼a 서울 : ▼b 단국대학교 출판부 , ▼c 2004. | |
300 | ▼a 284 p. ; ▼c 23 cm. | |
536 | ▼a 2003년도 단국대학교 대학연구비 지원으로 출판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 2004b | Accession No. 1113446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 2004b | Accession No. 1113446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저자는 이 책에서 문학도 인간의 다른 모든 문화적 산물들과 마찬가지로 사회적이고 정치적임을 말하고 있다. 문학은 세계의 축소판이고 재구성된 세계이다. 문학의 정치성은 곧 세계의 정치성인 것이다. 다만 문학은 세계를 있는 그대로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위장의 기제를 동원해서 세계를 분칠한다.
결국 ‘정치적 비평’이라고 부르는 작업은 궁극적인 의미에서 세계를 다양한 사회적 세력들간의 긴장된 관계와 그 관계의 발전으로 읽어 내고자 하는 것이다. 곧 세계를 더 나은 세계로 향하게 하는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오민석(지은이)
충남 공주 출생.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이며 현재 단국대학교 영미인문학과 교수로 문학 이론, 현대사상, 대중문화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1990년 월간 〈한길문학〉 창간기념 신인상에 시가 당선되어 시인으로 등단했으며, 199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며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산문집 『나는 터지기를 기다리는 꽃이다-먹실골 일기』, 『개기는 인생도 괜찮다』, 『경계에서의 글쓰기』, 시집 『굿모닝, 에브리원』, 『그리운 명륜여인숙』, 『기차는 오늘 밤 멈추어 있는 것이 아니다』, 문학평론집 『몸-주체와 상처받음의 윤리』, 문학이론 연구서 『현대문학이론의 길잡이』, 『정치적 비평의 미래를 위하여』, 문학 연구서 『저항의 방식: 캐나다 현대 원주민 문학의 지평』, 대중문화 연구서 송해 평전 『나는 딴따라다』, 『밥 딜런, 그의 나라에는 누가 사는가』, 시 해설서 『아침 시: 나를 깨우는 매일 오 분』, 번역서 바스코 포파 시집 『절름발이 늑대에게 경의를』 등을 냈다. 단국문학상, 부석 평론상, 시와경계 문학상, 시작문학상을 수상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서사·해석·역사 : 프레드릭 제임슨의 문학 이론 마르크스주의의 위기와 『정치적 무의식』의 현재적 의미 = 13 왜 마르크스주의인가? = 29 해석, 의미론적 열림 혹은 닫힘 = 53 역사, 이데올로기 그리고 유토피아 = 99 제임슨 이론의 한계와 정치적 비평의 미래 = 125 제2부 정치적 비평을 향하여 리얼리즘의 옹호 = 137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쟁점들 = 155 마슈레이의 문학 생산 이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 = 173 탈식민주의, 프란쯔 빠농, 그리고 「감자」 = 189 프레드릭 제임슨, 정치성, 그리고 매개의 문제 = 213 카니발의 민중성과 그 불안 = 233 쟝 보드리야르, 체념의 정치학 = 253 이론 교육의 정치성 =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