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독 실용 번역이론 : 이론과 실습

한독 실용 번역이론 : 이론과 실습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진길 , 1941-
서명 / 저자사항
한독 실용 번역이론 = Praktische Ubersetzungstheorie Deutsch-Koreanisch : 이론과 실습 / Jin-Gil Park.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출판부 ,   2004.  
형태사항
271 p. ; 23 cm.
기타표제
논문 중심으로 해설하고 비평하는 언어 유형학적 번역문법
ISBN
897207750X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702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214023
005 20100806100455
007 ta
008 051213s2004 ulk AT 001a kor
020 ▼a 897207750X ▼g 9375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a ger
085 ▼a 497.80231 ▼2 DDCK
090 ▼a 497.80231 ▼b 2004
100 1 ▼a 박진길 , ▼d 1941- ▼0 AUTH(211009)106186
245 1 0 ▼a 한독 실용 번역이론 = ▼x Praktische Ubersetzungstheorie Deutsch-Koreanisch : ▼b 이론과 실습 / ▼d Jin-Gil Park.
246 0 3 ▼a 논문 중심으로 해설하고 비평하는 언어 유형학적 번역문법
260 ▼a 서울 : ▼b 중앙대학교 출판부 , ▼c 2004.
300 ▼a 271 p. ; ▼c 23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80231 2004 등록번호 1113431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80231 2004 등록번호 1113431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진길(지은이)

<대학 독일어 문법>

정보제공 : Aladin

목차

A. 머리말 = 13
B. 구성과 활용법 = 21
C. 실용 번역문법 및 이론 = 24
  Ⅰ. 실용적인 한독 번역문법 및 이론문제 : 논문 복합명사그룹 안에서의 어순 변화(Ver a ·· nderungen der Wortfolge innerhalb komplexer Nominalgruppen)을 중심으로 = 25
    1. DNG와 IP 간의 상호전환 = 27
    2.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 32
    3. 자연적인 번역 = 33
    4.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와 그의 지배력 = 34
    5. 두 가지 유형의 번역 = 35
    6. 문장분리 = 37
    7. DNG와 후위 수식구조 (A) = 40
    8. DNG와 후위 수식구조 (B) = 42
    9. 부문장과 전치사구 = 43
    10. 후위 부가어로서의 관계문 = 45
    11. 어순영역과 번역문제 (A) = 47
    12. 어순영역과 번역문제 (B) = 49
    13. 전치사 von의 기능 = 51
    14. 내용을 강화/강조하는 수단 = 51
    15. 독일어의 괄호 및 한국어의 비괄호 현상 = 54
    16. 수식구조 - 일면 수식구조와 양면 수식구조 = 55
    17. 수식구조와 관련어 = 58
      17.1. 문제로서의 수식구조 = 59
      17.2. 수식구조의 이동성 = 61
    18. 주어와 술어분리 = 62
    19. 동사의 명사화 = 63
      19.1. 동사 및 형용사의 명사화 = 63
      19.2. 자동사, 재귀동사 및 전치사 목적어를 갖는 문장의 명사화 = 64
      19.3. 4격 목적어를 갖는 문장의 명사화 = 65
      19.4. 3격 목적어를 갖는 문장의 명사화 = 65
      19.5. 술어적 형용사를 갖는 문장의 명사화 = 65
    20. 동사구와 명사구 및 상황어 = 66
    21. 동사의 명사화 및 전진위치 = 69
    22. DNG에서의 생략 가능성 = 71
    23. DNG와 기본성 = 72
    24. DNG와 지배결속 이론 = 75
    25. DNG와 논항상속 = 78
    26. 구조격 = 80
    27. 특정한 내용의 강조 = 82
    28. 특정한 문장성분의 위치문제 = 84
    29. DNG의 의미 = 86
    30. 2격의 의미 = 88
    31. 자리매김어/허사 = 92
    32. 대명사적/지시부사 = 95
    33. 장문과 단문 = 98
    34. 단문화를 위한 장문의 분리원칙 = 100
    35. 구절구조로서의 한정사구 = 104
    36. 분사구문 = 105
    37. 투영도를 통해 상징화된 구절구조 = 107
    38. 접속사 als의 기능 = 109
    39. 익스-바-이론에서 핵 X의 중간단계 = 111
    40. 장문을 단문으로 전환하기 = 113
    41. 한정사구와 한정사괄호 및 DNG = 117
    42. 주어의 위치 - 외항과 내항 = 118
    43. 두 유형의 번역문제 = 122
    44. 2격 배당을 위한 격매개 변수화 = 123
    45. 어순에 의한 문장성분 강조 = 125
    46. 접속법과 번역문제 = 126
    47. 한정사괄호 = 129
    48. 문맥과 논리성을 고려한 번역 = 132
    49. 어순에 따른 강조관계 = 137
    50. 관계문 = 143
    51. 동격관계 = 144
    52. 수동형 = 148
    53. 독일어의 특성으로서의 괄호현상 = 150
    54. 문장성분들의 다양한 결합 가능성 = 154
    55. 독일어의 후위 수식구조 = 157
    56. 언어의 기본성 - 전치성과 후치성 = 160
    57. 수식구조의 일면성과 양면성 = 161
    58. 수식구조의 역동성 = 163
    59. DNG의 문장화 = 166
    60. 유표성 = 169
    61. 구절구조의 격체계와 기능문제 = 172
    62. 문장성분의 문두화 = 173
    63. 세 가지 유형의 부가어문 = 176
    64. 상관사 = 180
    65. 계측단위인 한정사구의 번역문제 = 182
    66. 동사-/정형요소-/문장괄호 = 183
    67. 확대 한정사괄호 = 185
    68. 한정사괄호와 괄호이탈 = 186
    69. 관계대명사/부사를 통한 문장분리 = 188
    70. 대명사의 자질문제 = 189
    71. 독일어와 한국어의 언어유형학적 특성 = 191
    72. 장문과 단문관계 = 193
    73. 상황어/부사규정어의 어순 = 195
    74. 동사에서 파생된 추상명사 = 197
    75. 구절구조에서의 삽입문제 = 198
    76. 확대 동사구에서의 상황어의 어순문제 = 199
    77. 동격을 나타내는 접속사 als = 202
    78. 번역과 문체론 = 202
  AT에 속하는 주석(Anmerkungen) = 206
  참고문헌(Literaturverzeichnis) = 207
  Ⅱ. 언어유형학 관점에서 본 실용 번역문법(Eine praktische U ·· bersetzungsgrammatik aus dem Gesichtpunkt der Sprachtypologie : 수필 [파국으로부터 배우는 것](Aus Katastrophen lernen)을 번역하면서 = 211
    Ⅰ. Einleitung = 212
    Ⅱ. U ·· bersetzung und deren Ordnung/Prinzip = 213
    1. Prinzip Zusammenhang = 214
    2. Prinzip Sprachcharakter = 216
      2.1. Prinzip Antiwiederholung gegen 〉es〈 = 216
      2.2. Prinzip Antiwiederholung gegen 〉da(r)〈 = 217
    3. Prinzip Weglassung = 218
    4. Prinzip Kurzsatz durch Satzteilung = 218
    5. Prinzip Valenz/Wertigkeit = 219
    6. Prinzip Nominal-/Verbal u ·· bersetzung = 219
    7. Prinzip Betonung = 221
    8. Prinzip Pr a ·· -/Postspezifizierung = 222
    9. Prinzip Disambiguit a ·· t = 223
    10. Prinzip Negation - Pr a ·· dikats-/Teilnegation = 224
    11. Prinzip A ·· quivalenz = 226
    12. Prinzip Syntax vor Semantik = 227
    13. Prinzip Historisches Pr a ·· sens = 227
    14. Prinzip Klammer = 229
    15. Prinzip Gegenseitigkeit = 230
    16. Prinzip Wortstellung = 231
    17. Prinzip Universalgrammatik = 233
    18. Prinzip Modus/Modalit a ·· t = 234
    19. Prinzip Kon-/Kotext = 235
    Ⅲ. Schluss = 236
    Ⅳ. Literaturangaben = 237
  국문요약 = 239
D. 실용 번역이론을 마무리하며 = 241
E. 찾아보기(Stichwortverzeichnis/Sachregister) = 24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