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 제2판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 제2판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장휘숙
Title Statement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 =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장휘숙 지음.
판사항
제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창지사 ,   2005.  
Physical Medium
284 p : 삽도 ; 24 cm.
ISBN
894263205X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244-277) 및 색인(p.278-284) 수록
000 00590namccc200205 k 4500
001 000045211739
005 20100806092156
007 ta
008 051206s2005 ulka b 001a kor
020 ▼a 894263205X ▼g 931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18.9289 ▼2 22
090 ▼a 618.9289 ▼b 2005a
100 1 ▼a 장휘숙
245 1 0 ▼a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 = ▼x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d 장휘숙 지음.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창지사 , ▼c 2005.
300 ▼a 284 p : ▼b 삽도 ; ▼c 24 cm.
504 ▼a 참고문헌(p.244-277) 및 색인(p.278-284) 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Call Number 618.9289 2005a Accession No. 13102246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장애의 예방과 치료에 관심을 갖고 현장에서 직접 애쓰는 이 분야의 전문가들은 물론 발달심리학이나 임상심리학, 정신의학 및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과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서구와는 달리 학제간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우리나라 상황에서 이 책은 분야와 분야를 연결하고 학문의 통합을 이룰 수 있는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도 절감하게 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장휘숙(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발달심리학 전공, 문학박사)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 객원교수 역임 한국발달심리학회 회장 역임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장 역임 현재: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발달심리전문가 한국발달심리학회 이사, 편집위원 *관심분야 전생애 동안의 애착, 정체감, 정신병리, 탄력성 등을 광범위하게 연구하며 이미 각 주제에 관한 많은 논문들을 출판한 바 있다. *저서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 제2판(저서, 창지사, 2005) 아동연구방법 제2판(저서, 창지사, 2005) 청년심리학 제3판(저서, 박영사, 2004) 애착장애의 치료: 이론에서 실제까지(역서, 시그마프레스, 2003) 여성심리학 제2판(저서, 박영사, 2002) 아동발달(저서, 박영사, 2001) 인간발달(저서, 박영사, 2000) 청년심리학 제2판(저서, 학지사, 1999)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저서, 학지사, 1998) 아동연구방법 초판(저서, 창지사, 1998) 여성심리학 초판(저서, 박영사, 1996) 가족심리학(저서, 박영사, 1996) 아동심리학 제2판(저서, 박영사, 1995) 발달심리학 제2판(공저, 박영사, 1994) 자녀문제 이럴 때 이렇게(저서, 창지사, 1994) 청년심리학 초판(도서출판 장승, 1993) 아동심리학 초판(저서, 박영사, 1990) 아동연구법(편역서, 창지사, 1989) 발달심리학 초판(공저, 박영사, 1987) 심리학개론(공저, 정민사, 1987) 어머니의 역할(역서, 창지사, 1986) 아버지의 역할(역서, 창지사, 1986) 외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Part Ⅰ 독립된 학문분야로서 발달정신병리학의 출현 : 정신장애에 대한 접근방법의 변화 = 13
 Ⅰ.1 정신장애에 대한 초기의 접근방법 = 15
 Ⅰ.2 정신장애에 대한 접근방법의 변화 = 17
 Ⅰ.3 발달정신병리학의 출현 = 21
Part Ⅱ 발달정신병리학의 기본 가정들 = 25
 Ⅱ.1 정상적 발달과 병리적 발달, 양자에 대한 연구 = 30
 Ⅱ.2 발달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 33
 Ⅱ.3 발달적 경로의 탐색 = 35
 Ⅱ.4 발달심리학 연구방법의 활용 = 39
 Ⅱ.5 중다학문 지향적 - 학제간 연구의 중요성 = 41
Part Ⅲ 발달적 조망 = 43
 Ⅲ.1 발달적 조망의 의미 = 45
 Ⅲ.2 발달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 50
  1) 기술적 연속성-불연속성과 설명적 연속성-불연속성 = 50
  2) 연속성-불연속성과 안정성-불안정성의 관계 = 55
 Ⅲ.3 발달의 가소성과 중재 = 58
 Ⅲ.4 발달적 조망과 생물학 및 유전학의 관계 = 61
Part Ⅳ 정신병리에 대한 기존의 접근방법들 = 65
 Ⅳ.1 정신분석적 모델 = 67
 Ⅳ.2 행동적 모델 = 71
  1) 정신병리적 행동 = 71
  2) 병리적 행동에 대한 접근방식 = 72
  3) 조건형성 원리의 적용 = 75
 Ⅳ.3 인지적 모델 = 77
 Ⅳ.4 생물의학적 모델 = 81
  1) 정신병리의 발생 = 82
  2) 생물의학적 모델에서의 예방 = 86
Part Ⅴ 장애에 대한 발달정신병리학적 접근 = 89
 Ⅴ.1 발달정신병리학에서의 장애행동 = 91
 Ⅴ.2 발달정신병리학적 접근방법 = 95
  1) 적응행동과 그 관련변인들을 연구한다 = 96
  2) 성차와 남녀의 사회화 차이를 연구한다 = 96
  3) 연령에 따른 적응양식을 바탕으로 진단한다 = 97
  4) 장애를 초래하는 선행요인들을 연구한다 = 99
  5) 위험요인과 탄력요인들을 확인한다 = 102
 Ⅴ.3 이른 적응 및 부적응과 이후의 적응 및 장애 사이의 연결경로 = 103
  1) 발달적 경로 추적의 원리와 특징 = 103
  2) 구체적 장애들의 발달경로 = 107
  3) 외상적 사건과 후속적 장애발달을 연결하는 상호작용 모델의 예 = 121
Part Ⅵ 장애발달의 성차 = 127
 Ⅵ.1 성차에 관한 기존의 이론들 = 130
  1) 외재화 문제의 발달에 관한 이론 = 130
  2) 내재화 문제의 발달에 관한 이론 = 133
 Ⅵ.2 성차에 관한 발달정신병리학적 접근방식 = 136
  1) 정신병리의 유병률에서의 성차 = 137
  2) 발달궤도에서의 성차 = 138
  3) 정신병리의 표현에서의 성차 = 141
 Ⅵ.3 성차에 관한 연구방법의 문제점과 미래연구의 방향 = 144
Part Ⅶ 장애발달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하는 요인들 = 149
 Ⅶ.1 위험요인과 보호적 요인들 = 151
  1) 구체적 위험요인 = 152
  2) 구체적인 보호적 요인 = 157
 Ⅶ.2 취약성과 탄력성 = 158
  1) 취약성 = 158
  2) 탄력성 = 159
  3) 취약성과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165
  4) 탄력성과 관련된 개념들 = 169
Part Ⅷ 발달정신병리학에서의 중재 = 175
 Ⅷ.1 중재의 이론적 근거 = 178
 Ⅷ.2 중재의 일반적 원리 = 182
 Ⅷ.3 예방적 중재전략 = 186
  1) 탄력성에 기초한 예방적 중재전략 = 186
  2) 스라우프의 예방적 중재전략 = 193
 Ⅷ.4 치료적 중재전략 = 195
  1) 마빈의 중재전략 = 195
  2) 노암의 중재전략 = 197
Part Ⅸ 애착과 발달정신병리학의 관계 = 209
 Ⅸ.1 애착이란 무엇인가? = 212
 Ⅸ.2 애착역사의 중요성 = 214
 Ⅸ.3 애착과 병리적 발달 = 217
  1) 유아의 반응성 애착장애 = 219
  2) 아동기 애착의 질적 특성과 병리적 발달 = 220
  3) 청년기 및 성인기 애착의 질적 특성과 병리적 발달 = 223
 Ⅸ.4 병리적 발달과 대물림 = 229
 Ⅸ.5 애착의 경로모델 = 232
Part X 발달정신병리학 연구를 위한 제언 = 237
참고문헌 = 244
색인 = 27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강민재 (2023)
박명화 (2022)
대한신생아스크리닝학회 (2022)
대한유방영상의학회 (2022)
Mellenthin, Clai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