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64c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210900 | |
005 | 20101217092828 | |
007 | ta | |
008 | 051109s2005 ulkaj 001c kor | |
020 | ▼a 8995665912 ▼g 03840 | |
035 | ▼a (KERIS)BIB000010110058 | |
040 | ▼a 211059 ▼d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791.43657 ▼2 22 |
085 | ▼a 791.43657 ▼2 DDCK | |
090 | ▼a 791.43657 ▼b 2005 | |
245 | 0 0 | ▼a 필름 셰익스피어 = ▼x Film Shakespeare / ▼d 진중권, ▼e 듀나, ▼e 이윤택 외 지음 |
260 | ▼a 서울 : ▼b 씨네21, ▼c 2005 | |
300 | ▼a 371 p. : ▼b 삽화, 연표 ; ▼c 19 cm | |
500 | ▼a 색인수록 | |
600 | 1 0 | ▼a Shakespeare, William, ▼d 1564-1616 |
700 | 1 | ▼a 진중권, ▼e 저 ▼0 AUTH(211009)41420 |
700 | 0 | ▼a 듀나, ▼e 저 ▼0 AUTH(211009)62674 |
700 | 1 | ▼a 이윤택, ▼e 저 ▼0 AUTH(211009)22534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657 2005 | Accession No. 11134235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657 2005 | Accession No. 11134235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791.43657 2005 | Accession No. 12118117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657 2005 | Accession No. 11134235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657 2005 | Accession No. 11134235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791.43657 2005 | Accession No. 12118117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990년대 이후 셰익스피어학은 원전을 중시하던 흐름에서 다양한 문화현상과 셰익스피어 작품을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연구의 폭을 넓혀왔다. 영화는 개중 가장 적극적으로 셰익스피어를 담아낸 장르이다. 생전에 연극계를 제패했던 셰익스피어는 사후 영화계로 진출하여, 현재 가장 많은 영화 시나리오의 기초를 제공한 작가로 자신의 타이틀을 바꾸는 데 성공했다.
이 책은 구로사와 아키라의 '거미집의 성', 로만 폴란스키의 '맥베스', 오슨 웰스의 '오델로', 피터 그리너웨이의 '프로스페로의 서재', 로렌스 올리비에와 케네스 브래너의 '햄릿' 등 쟁쟁한 감독들의 셰익스피어 원작 영화에서 셰익스피어를 현대적으로 수용하는 수많은 예를 보여준다. 영화평론가 홍성남, 사이버 SF 작가 듀나, 미학자 진중권을 비롯한 13인의 필자가 공동집필했다.
'셰익스피어, 영화 vs 영화'에서는 셰익스피어의 한 원작을 토대로 한 다양한 버전의 영화들을 살펴본다. '셰익스피어의 다섯 얼굴'은 영화화된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선별하여 다양한 스펙트럼의 셰익스피어를 만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셰익스 피어의 변종들'에서는 셰익스피어의 원작과 꼭 닮았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그것과의 유사성을 완전히 무시하기도 어려운, 셰익스피어 원작을 적극적으로 변용한 영화들을 소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준용(지은이)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방송국 프로듀서, 영국 BBC 연수 지구비디오 프로듀서를 지냈다. 희곡 번역가로서 닐 사이먼의 ≪희한한 한 쌍≫과 ≪브라이튼 해변의 추억≫, ≪플라자 스위트≫, ≪굿 닥터≫, 조 오튼의 ≪미친 사람들≫, 페터 바이스의 ≪마라 사드≫, 숀 오케이시의 ≪주노와 공작≫, 시드니 마이클스의 ≪칭칭≫, 피터 셰퍼의 ≪태양 제국의 멸망≫, ≪요나답≫, 윌리 러셀의 ≪리타 길들이기≫, 우디 앨런의 ≪카사블랑카여 다시 한번≫, 존 밀링턴 싱의 ≪서쪽 나라의 멋쟁이≫, 빌 노턴의 ≪바람둥이 알피≫, 줄스 파이퍼의 ≪폭력 시대≫ 외 다수의 작품을 우리말로 옮기며 1970∼1980년대 한국 연극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윤택(지은이)
1952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경남고등학교, 방송통신대를 거쳐 ≪부산일보≫ 기자로 활동했다. 1986년 기자 생활을 접고 연희단거리패를 창단, 부산 중구 광복동에 가마골소극장을 열면서 본격적인 연극 활동을 시작했다. 창작극을 집필, 연출하는 것 외에도 시나 소설 등을 연극으로 재창작하거나, 외국 희곡을 재해석했으며, 뮤지컬 연출과 제작도 맡았다.
진중권(지은이)
미학자, 평론가, 교수, 그리고 우리 시대 대표 논객이자 지식인으로서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어 권력의 ‘파수꾼’ 역할을 하고 있다. 조국 사태 이후 정권의 실정과 이를 비판하지 않고 입을 다문 지식인을 겨냥해 “이른바 ‘진보적’ 지식인들은 지배층이 되었다”고 비판했다. 이유는 “같은 상류층으로서 계급적 이해를 공유했기 때문”이며, “’이익 집단’으로서 진보는 승리했다. 하지만 ‘가치 집단’으로서 진보는 죽었다”라고 선언했다. 이후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공저)』『진보는 어떻게 몰락했는가』『진중권 보수를 말하다』 등을 펴냈다.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소련의 구조기호론적 미학」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언어 구조주의 이론을 공부했다. 귀국 후 사회 비판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중앙대학교와 동양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대표 저서로는 『미학 오딧세이』『춤추는 죽음』『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천천히 그림읽기』『시칠리아의 암소』『페니스 파시즘』『폭력과 상스러움』『앙겔루스 노부스』『레퀴엠』『빨간 바이러스』『조이한·진중권의 천천히 그림 읽기』『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춤추는 죽음』『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첩첩상식』『호모 코레아니쿠스』『한국인 들여다보기』『서양미술사』『컴퓨터 예술의 탄생』『진중권의 이매진Imagine』『미디어아트』『교수대 위의 까치』『정재승+진중권 크로스(공저)』 등이 있다.
듀나(지은이)
1990년대부터 SF와 영화 관련 글을 쓰고 있다. 단편집으로는 『면세구역』, 『태평양 횡단 특급』, 『대리전』, 『용의 이』, 『브로콜리 평원의 혈투』, 『구부전』, 『두 번째 유모』, 『그 겨울, 손탁 호텔에서』, 픽스업과 장편으로는 『제저벨』, 『아직은 신이 아니야』, 『민트의 세계』, 『아르카디아에도 나는 있었다』, 『평형추』, 『우리 미나리 좀 챙겨 주세요』, 논픽션으로는 『스크린 앞에서 투덜대기』, 『가능한 꿈의 공간들』, 『장르 세계를 떠도는 듀나의 탐사기』, 『옛날 영화, 이 좋은 걸 이제 알았다니』, 『여자 주인공만 모른다』, 『남자 주인공에겐 없다』가 있다.
임옥희(지은이)
경희대학교 문학박사. 사단법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소장과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역임. 저서로 ≪메트로폴리스의 불온한 신여성들≫, ≪젠더 감정 정치≫, ≪채식주의자 뱀파이어≫, ≪발레하는 남자, 권투하는 여자≫, ≪페미니스트 정신분석이론가들≫(공저), ≪한국의 식민지근대와 여성공간≫(공저) 등이 있으며, 번역도 하고 잡다한 글을 쓰면서 여이연 사람들과 함께 하고 있다.
김희진(지은이)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화여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문학과 영화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8년 현재 명지대 기초교육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영화로 읽는 셰익스피어, 셰익스피어로 읽는 현대문화>, <필름 셰익스피어>(공저)가 있고, 옮긴 책으로 <어떤 아이라도 부모의 말 한마디로 훌륭하게 키울 수 있다>, <베이비 터치포인트>, <기꺼이 길을 잃어라> 등이 있다.
한창호(지은이)
영화비평가다. 한국외대 독일어과를 졸업한 뒤, 중앙일보사에서 10여 년간 기자로 일했다. 이후 이탈리아로 유학, 볼로냐대학교에서 영화학을 전공했다(라우레아).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영화아카데미 등에서 강의했다. 또 세종문화회관, 국제갤러리, 금호미술관 등에서 대중강좌를 진행했다. 저서로 <영화, 그림 속을 걷고 싶다>, <영화, 미술의 언어를 꿈꾸다>, <영화와 오페라>, 공저로 <무비꼴라쥬 시네마톡>, 역서로 <할리우드 장르>(공역) 등이 있다.
홍성남(지은이)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영화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영화평론가로 여러 대학교에서 영화학 분야의 강의했다. 책으로는 ≪로베르토 로셀리니≫(공저),≪로베르 브레송의 세계≫(공저), ≪오슨 웰스≫(공저), ≪칼 드레이어≫(공저), ≪필름 셰익스피어≫(공저) 등이 있다.
장원재(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연극학 석사학위를, 동 대학 로열홀러웨이 칼리지에서 비교연극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오래 전부터 열성 축구팬이었던 저자는 1991년~2000년까지 영국에서 유학하며 유럽선수권대회, 월드컵,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를 현장에서 관전하며 한국 신문, 잡지에 자신의 이름을 딴 정기칼럼을 기고하는 스포츠 평론가로 활약했다. 저서로는 <속을 알면 더 재미있는 축구 이야기>, <Again 2002>, <올림픽의 숨은 이야기> 등이 있다.
최영주(지은이)
동국대학교에서 「셰익스피어 인물의 재현성과 연희성」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연극 평론가, 드라마투르그로 활동하며 경기대학교와 청주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셰익스피어라는 극장 그리고 문화』, 『글에 담은 연극사랑』(연극평론집), 『동시대 연출가론-서구편』(전2권, 편저) 등의 저서와 다수의 논문을 집필했고, 「폭파」, 「4.48 싸이코시스」, 데이비드 헤어의 「유다의 키스」, 라본 뮬러의 「특급 호텔」 등 여러 희곡을 번역했다.
김지미(지은이)
영화 평론가. 「1960~70년대 한국 영화의 여성 주체 재현 방식 연구」로 서울대 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학에서 영화 분석과 제작, 글쓰기 관련 강의를 했다. 『필름 셰익스피어』, 『영화와 시선: 복수는 나의 것』, 『시네 리테르』 등의 공저가 있다. 전주국제영화제, 부천판타스틱영화제 등 영화제에서 심사위원과 상영작 선정 등에 참여했다. 『씨네21』, 『문학사상』, 『황해문화』, SBS ‘인-잇’ 등에 영화 관련 글을 기고, 연재하고 있다.
이종도(지은이)
연세대학교에서 신학과 비교문학을 공부했고, 석사논문으로 들뢰즈의 글쓰기에 대해 썼다.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최인훈론’을 써서 등단했다. 《한국일보》와 《씨네 21》에서 연극과 영화 기사를 썼다
김철리(지은이)
서강대 신문방송학과를 거쳐 성균관대 공연예술학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셰익스피어 작품들을 비롯하여 다양한 작품들을 연출했다. 국립극단 예술감독을 거쳐 2005년 현재 수원 화성국제연극제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며 : '기껏해야'로 만나는 셰익스피어 / 남동철 = 5 1. 셰익스피어와 영상문화 윌리엄 셰익스피어, 영화로의 귀환 / 장원재 = 13 2. 셰익스피어, 영화 vs 영화 동서양을 관통하는 셰익스피어 영화〈맥베스〉 : 구로사와 아키라,〈거미집의 성〉 vs 로만폴란스키,〈맥베스〉/ 이윤택 = 39 전형적 형식 속 전복적 내용 vs 전위적 형식 속 관습적 내용 : 프랑코 제피렐리,〈로미오와줄리엣〉 vs 바즈 루어만,〈로미오+줄리엣〉 / 한창호 = 77 햄릿, 순결한 처녀성을 지켜내다 : 로렌스 올리비에,〈햄릿〉 vs 케네스 브래너,〈햄릿〉 / 듀나 = 111 3. 셰익스피어의 다섯 얼굴 혼돈의 미로, 그 아찔한 매혹 : 오슨 웰스, 〈오셀로〉 / 홍성남 = 147 무능한 지도자 때문에 온 나라가 고생한다 : 그리고리 코진체프, 〈리어 왕〉 / 박준용 = 171 디지털로 부활한 셰익스피어 : 피터 그리너웨이, 〈프로스페로의 서재〉 / 진중권 = 193 줄리 테이머가 전하는 화해의 메시지 : 줄리 테이머, 〈타이터스〉 / 최영주 = 215 시대를 초월하는 역동적인 텍스트의 즐거움 : 마이클 레드퍼드, 〈베니스의 상인〉 / 김지미 = 237 4. 셰익스피어의 변종들 할리우드의 셰익스피어 구하기 : 존 매든, 〈셰익스피어 인 러브〉 / 김희진 = 263 아스팔트 위에서 셰익스피어를 읽다 : 구스 반 산트〈아이다호〉 / 이종도 = 287 왕좌를 찾아 나선 리처드, 리처드를 찾아 나선 알 파치노 : 알 파치노, 〈뉴욕 광시곡〉 / 김철리 = 311 차마 널 미워할 수 없는 이유 : 길 영거, 〈내가 널 사랑할 수 없는 10가지 이유〉 / 임옥희 = 337 윌리엄 셰익스피어 연보 = 360 윌리엄 셰익스피어 필모그래피 = 361 찾아보기(인명, 영화명, 셰익스피어 희곡명) =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