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보육학개론

보육학개론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순형 李順炯.
서명 / 저자사항
보육학개론 = Introduction to child care and education / 이순형 외 공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   2005.  
형태사항
402 p. : 삽도 ; 27 cm.
ISBN
8958911719
일반주기
부록: 영유아보육법  
색인수록  
000 00602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10877
005 20100806090922
007 ta
008 051202s2005 ulka 001a kor
020 ▼a 8958911719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5g
245 0 0 ▼a 보육학개론 = ▼x Introduction to child care and education / ▼d 이순형 외 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5.
300 ▼a 402 p. : ▼b 삽도 ; ▼c 27 cm.
500 ▼a 부록: 영유아보육법
500 ▼a 색인수록
700 1 ▼a 이순형 ▼g 李順炯. ▼0 AUTH(211009)5487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2005g 등록번호 1113424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2005g 등록번호 11134243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순형(지은이)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석사, 박사(아동학) 한국아동학회,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주요 저서: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2007, 공저),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2009, 공저),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2009, 공저), <한국아동의 일상생활문화>(2009), <한국인의 자아정체 형성과 변화>(2010), <탈북인의 공.사적 관계와 의사소통>(2011, 공저),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도덕성, 법의식과 권위 인식>(2014, 공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Ⅰ부 보육의 이론적 기초
 제1장 영유아 보육패러다임의 변화 = 15
  1. 영유아 보육의 개념 = 15
  2. 영유아의 권리 = 10
   1) 생존권 = 16
   2) 성장발달권 = 16
   3) 시민권과 자유권 = 17
   4) 양육보장권 = 17
   5) 복지권 = 17
   6) 교육권 및 문화영향권 = 17
   7) 특별보호권 = 18
  3. 영유아 보육의 특성 = 18
   1) 아동 중심성 = 18
   2) 학제적 성격과 고유성 = 19
   3) 다양한 가족형태의 보완 = 20
   4) 사회화 기능의 대행 = 21
  4. 영유아 보육패러다임의 변화 = 22
   1) 아동관의 변화 = 22
   2) 선별주의에서 보편주의로 = 23
   3) 가족책임에서 국가책임으로 = 24
   4) 수혜적 사업에서 참여적 사업으로 = 24
   5) 국가 정체성의 강화 지향 = 25
제2장 보육사상과 역사 = 27
 1. 외국의 영유아 보육 = 27
   1) 고대~16세기의 보육 = 28
   2) 17~18세기의 보육 = 29
   3) 19~20세기의 보육 = 34
  2. 우리나라의 영유아 보육사상과 역사 = 43
   1) 우리나라의 전통 아동관과 보육 = 43
   2) 우리나라의 보육기관 = 48
 제3장 보육제도와 정책 = 53
  1. 우리나라의 보육제도와 정책 = 53
   1) 영유아보육법의 변천 = 54
   2) 보육행정 = 58
   3) 보육재정 = 63 
   4) 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66
  2. 외국의 보육제도와 정책 = 70
   1) 스웨덴의 보육제도와 정책 = 71
   2) 미국의 보육제도와 정책 = 74
   3) 호주의 보육제도와 정책 = 77
   4) 일본의 보육제도와 정책 = 79
 제4장 보육의 이론적 쟁점 = 83
  1. 보육경험과 부모 및 보육교사와의 애착 = 84
   1) 부모와의 분리와 애착 = 84
   2) 교사와의 애착 = 85
  2. 보육경험과 영유아의 발달 변화 = 86
   1) 보육경험과 아동발달 = 86
   2) 보육경험과 아동발달의 관계를 중재하는 요인 = 90
  3. 통합보육 = 100
   1) 연령 통합 = 100
   2) 장애아 통합 = 102
 제5장 영유아의 발달 특성과 요구 = 113
  1. 영아기의 발달 특성 = 113
   1) 신체 및 운동영역 = 114
   2) 인지영역 = 117
   3) 언어영역 = 119
   4) 정서 및 사회성영역 = 120
  2. 유아기의 발달 특성 = 123
   1) 신체 및 운동기능발달 = 123
   2) 인지발달 = 126
   3) 언어발달 = 128
   4) 정서발달 = 129
   5) 사회성발달 = 131
제2부 보육의 실제
 제6장 보육의 유형 = 137
  1. 보육장소에 따른 유형 = 137
   1) 가정보육 = 138
   2) 시설보육 = 140
  2. 보육 운영주체에 따른 유형 = 142
   1) 정부주도 보육: 국ㆍ공립보육시설 = 142
   2) 비영리단체 운영 보육: 법인 = 143
   3) 대학 및 연구소 = 143
   4) 개인 = 145
   5) 직장보육 = 145
   6) 부모협동보육 = 148
  3. 보육시간에 따른 유형 = 148
   1) 종일제 보육 = 149
   2) 반일제 보육 = 149
   3) 시간제 보육 = 149
   4) 야간 및 24시간보육 = 150
   5) 휴일보육 = 151
   6) 방과후 보육 = 151
   7) 계절보육 = 151
  4. 보육목적에 따른 유형 = 152
   1) 영아전담 보육 = 152
   2) 장애아 보육 = 152
   3) 통합보육 = 153
   4) 위기보육 = 154
 제7장 영유아 보육과정 = 157
  1. 영유아 보육과정의 개념과 특성 = 157
   1) 영유아 보육과정의 정의 = 157 
   2) 영유아 보육과정의 특성 = 159
  2. 영유아 보육과정의 구성 = 160
   1) 구성요소 = 160 
   2) 구성원리 = 162
  3. 영유아 보육과정의 내용과 계획 = 165
   1) 목표 = 165
   2) 보육내용의 계획 = 168
  4. 영유아 보육과정의 운영 = 172
   1) 일과계획 및 운영 = 172
   2) 연간, 월간, 주간 보육계획 = 175
  5. 영유아 보육과정 운영의 문제점 = 185
 제8장 보육프로그램 = 189
  1. 영유아 보육프로그램의 종류별 특성 = 189
   1) 프뢰벨 프로그램 = 189
   2) 몬테소리 프로그램 = 192
   3) 프로젝트 접근법 = 196
   4) 발도르프 프로그램 = 199
   5) 포테이지 프로그램 = 203 
   6)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 = 205
   7) 하이/스코프 프로그램 = 209
   8)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 212
   9) 프로젝트 스펙트럼 접근법 = 216
  2. 특별한 영유아 보육프로그램 = 219
   1) 혼합연령 프로그램 = 219
   2) 장애아 통합 프로그램 = 221
   3) 반편견 프로그램 = 222
   4) 영재아 프로그램 = 224
   5) 친환경 프로그램 = 226
 제9장 보육환경 = 229
  1. 보육환경의 개념과 특성 = 229
  2. 보육환경 구성원리 = 231
   1) 발달에 적합한 보육환경 = 231
   2) 통합을 위한 보육환경 = 231
   3) 균형을 갖춘 보육환경 = 232
   4) 연속성과 융통성을 갖춘 보육환경 = 232
   5) 안전한 보육환경 = 232
  3. 보육환경 구성 = 234
   1) 실내환경 구성 = 234
   2) 실외환경 구성 = 241
 제10장 보육인력 = 247
  1. 보육인력의 역할 = 247
   1) 시설장의 역할 = 248
   2) 보육교사의 역할 = 249
   3) 보육지원 인력의 역할 = 259
  2. 보육인력의 자질 = 262
   1) 시설장의 자질 = 263
   2) 보육교사의 자질 = 263
   3) 보육지원 인력의 자질 = 268
  3. 보육교사의 교육 = 269
   1) 보육교사의 자격교육 = 269
   2) 보육교사의 발달과 현직교육 = 270
   3) 보육교사의 윤리강령 = 272
 제11장 보육시설 인적자원관리 = 277
  1. 보육아동관리 = 277
   1) 원아모집 = 278 
   2) 입소준비 및 적응프로그램 = 279
   3) 원아 기록관리 = 281
  2. 보육인력관리 = 282
   1) 보육인력의 배치와 자격 = 282
   2) 보육인력의 임용 = 286
   3) 보육인력의 법적 책임 및 징계 = 288
   4) 보수 및 후생복지 = 291
   5) 교직원의 임무 및 업무분담 = 291
   6) 직무관련 교육 = 394
   7) 평가 = 298
  3. 부모참여 = 298
   1) 부모협력 프로그램 = 298
  4. 기타 인력의 관리 = 300
   1) 보육실습생 = 300
   2) 자원봉사자 = 301
 제12장 보육시설 운영관리 = 305
  1. 운영관리의 개념과 특성 = 305
  2. 시설 및 설비관리 = 307
   1) 보육시설의 설치 = 307
   2) 시설 설비의 운영관리 = 310
   3) 비품 구입 및 관리 = 314
  3. 재정관리 = 317
   1) 예산 편성 = 317 
   2) 예산 집행 = 321
   3) 예산 결산 = 322
  4. 행정관리 = 323
   1) 문서의 종류 = 324
   2) 문서 작성 및 처리 = 324
 제13장 보육평가 = 329
  1. 보육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 329
   1) 보육평가의 필요성 = 329
   2) 보육평가의 목적 = 331
   3) 보육평가의 대상 = 332
  2. 보육평가방법 = 332
   1) 보육시설평가 = 333
   2) 보육프로그램 평가 = 338
   3) 보육인력평가 = 345
   4) 보육대상평가 = 348
  3. 평가결과의 활용 = 353
제3부 보육의 전망
 제14장 보육과제와 전망 = 359
  1. 영유아 보육패러다임과 지원정책의 변화에 부응하기 = 360
   1) 영유아 보육패러다임의 변화 수용하기 = 360
   2) 아동지원체제에 적응하기 = 361
  2. 보육의 질 향상시키기 = 362
   1) 보육의 질 평가 = 363 
   2) 질 향상을 위한 대안 모색하기 = 364
  3. 표준보육과정의 정립 = 373
   1) 표준보육과정 구성의 목표 = 373
   2)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 373
   3) 표준보육형태별 표준보육과정 = 374
부록 : 영유아보육법 = 381
찾아보기 = 397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