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91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210653 | |
005 | 20121101201140 | |
007 | ta | |
008 | 050809s2005 ggka b 000c kor | |
020 | ▼a 8946033940 ▼g 93070 | |
020 | ▼a 9788946045804 ▼g 93070 | |
035 | ▼a KRIC09994973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02.23 ▼2 23 |
085 | ▼a 302.23 ▼2 DDCK | |
090 | ▼a 302.23 ▼b 2005g | |
100 | 1 | ▼a Bryant, Jennings ▼0 AUTH(211009)79907 |
245 | 1 0 | ▼a 미디어 효과의 기초 / ▼d 제닝스 브라이언트, ▼e 수잔 톰슨 지음 ; ▼e 배현석 옮김 |
246 | 1 9 | ▼a Fundamentals of media effects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05 ▼g (2012) | |
300 | ▼a 615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한울아카데미 ; ▼v 753 |
440 | 0 0 | ▼a 방송문화진흥총서 ; ▼v 62 |
504 | ▼a 참고문헌: p. [529]-615 | |
536 | ▼a MBC의 공적기여금으로 조성된 방송문화진흥자금으로 출간되었음 | |
700 | 1 | ▼a Thompson, Susan, ▼d 1957-, ▼e 저 ▼0 AUTH(211009)43922 |
700 | 1 | ▼a 배현석, ▼e 역 ▼0 AUTH(211009)23238 |
900 | 1 0 | ▼a 브라이언트, 제닝스, ▼e 저 |
900 | 1 0 | ▼a 톰슨, 수잔,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113413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113413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116788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410538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211150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211150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511887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8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511887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113413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113413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116788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410538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211150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211150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511887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2.23 2005g | 등록번호 1511887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제닝스 브라이언트(지은이)
알라배마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소장. 알라배마 대학교 블랙먼-무디 우수 교수상 수상(2000). 국제 커뮤니케이션 협회(ICA) 회장(2000~). 주요 저서?편저: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1994), ntroduction to Media Communication, 4th ed.(1995), Reinventing Media(1996), Introduction to Media Communication, 5th ed.(1998), Human Communication Theories and Research: Concepts, Contexts, Challenges, 2nd ed.(2000), Television and the American Family, 2nd ed.(2001) 등. 그 외 11개 학술지 편집위원회에서 활동, 현재는 8개 학술지 편집위원이자 ‘미디어 심리학(Media Psychology)’ 창립 공동 편집인, 로렌스 얼바움 출판사(LE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학술서 시리즈물 공동 편집인, LEA 커뮤니케이션 교재 시리즈 편집인, LEA 커뮤니케이션 분야 연속 출판물 편집인으로도 활동.
배현석(옮긴이)
1984년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연세대학교 동 대학원(신문방송학 전공)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방송위원회(현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원을 거쳐, 1998년 미시건 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Dept. of Telecommunication)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를 지낸 후, 1999년부터 지금까지 동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미디어의 효과, 특히 교육적 오락물(Entertainment-Education)과 보건 커뮤니케이션이며,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문 Bae, H.-S., Lee, D., & Bae, R. E. (2014). Emotional engagement with the plot and characters: A narrative film on hearing-impaired sexual assault victims. Narrative Inquiry, 24(2), 309~327. Bae, H.-S., Brown, W. J., & Kang, S. (2011). Social influence of a religious hero: The late Cardinal Stephen Kim’s impact on cornea donation and volunteerism.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6(1), 62~78. Kang, S., Gearhart, S., & Bae, H.-S. (2010). Coverage of Alzheimer’s disease from 1984 to 2008 in television news and information talk shows in the United States: An analysis of news framing.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 25(8), 687~697. Bae, H.-S. (2008). Entertainment-education and recruitment of cornea donors: The role of emotion and issue involvement.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3(1), 20~36. Bae, H.-S., & Kang, S. (2008). The influence of viewing an entertainment-education program on cornea donation intention: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23(1), 87~95. Lee, B., & Bae, H.-S. (2004). The effect of screen quotas on the self-sufficiency ratio in recent domestic film markets.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s, 17(3), 163~176. Bae, H.-S., & Lee, B. (2004). Audience involvement and its antecedents in entertainment-education: An analysis of bulletin board messages and drama episodes on divorce in Korea.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14(1), 6~21. Bae, H.-S. (2000). Product differentiation in national TV newscasts: A Comparison of the cable all-news networks and the broadcast network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4(1), 62~77. Bae, H.-S. (1999). Product differentiation in cable programming: The case in cable all-news networks.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s, 12(4), 265~277. Bae, H.-S., & Baldwin, T. F. (1998). Policy issues for cable startup in smaller countries: The case in South Korea. Telecommunications Policy, 22(4/5), 371~381. ∙주요 역서 『디지털 시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계획 수립·관리·대응(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2016). 『대인관계와 소통: 일상의 상호작용(Interpersonal communication: Everyday encounters)』(2015). 『저항과 설득(Resistance and persuasion)』(2013).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기초: 전자 미디어 규제의 원칙과 과정(Foundations of communications policy: Principles and process in the regulation of electronic media)』(2012). 『미디어 메시지 분석: 양적 내용분석방법(개정판)(Analyzing media messages: Us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research, 2nd ed.)』(2011, 공역). 『방송시장의 경제적 규제: 진화하는 기술과 정책적 과제(The economic regulation of broadcasting markets: Evolving technology and challenges for policy)』(2011). 『국제 커뮤니케이션(개정판)(International communication: Continuity and change, 2nd ed.)』(2009). 『교육적 오락물과 사회 변화: 역사, 연구 및 실제(Entertainment-education and social change: History, research, and practice)』(2008). 『미디어 효과의 기초(Fundamentals of media effects)』(2005).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5 저자 서문 = 9 제1부 개관 및 역사 제1장 미디어 효과의 이해 = 21 1. 커뮤니케이션 과정 = 23 2. 커뮤니케이션 모델 = 25 3. 미디어 효과 측정 = 34 4. 기타 미디어 효과 조사 방법론 = 41 5. 미디어 효과 연구의 중요성 = 43 6. 요약 = 44 제2장 미디어 효과 : 역사적 관점 = 46 1.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관심 = 48 2. 매스 미디어로 인한 행위 및 의견 변화에 대한 역사적 증거 = 55 3. 요약 = 66 제3장 과학적인 미디어 효과 연구의 역사 = 67 1. '기정' 역사 = 68 2. 수정된 역사 = 78 3. 미디어 효과 연구의 개척자 = 84 4. 미디어 효과에 대한 관심의 지속 = 93 5. 효과에 대한 일반화 시도 = 95 6. 1970년대와 그 이후 = 98 7. 표준 역사와의 마지막 논쟁점 = 99 8. 효과 연구의 미래 = 100 9. 요약 = 105 제2부 이론 및 개념 제4장 사회인지이론 = 111 1. 인간의 독특한 특성 = 113 2. 관찰 학습과 모델링 = 116 3. 모델링 효과 = 120 4. 미디어 내용으로부터의 학습과 모델링 = 125 5. 매스 미디어로부터의 선행 학습 = 129 6. 사회적 촉진 또는 설득 = 132 7. 상징적 모델링을 통한 확산 = 133 8. 최근 연구 = 134 9. 요약 = 135 제5장 기폭효과 = 138 1. 기폭의 활성화 = 140 2. 개념적 뿌리 = 142 3. 연구 전통 = 144 4. 기폭효과를 높이는 변인들 = 145 5. 이론적 기초 = 149 6. 최근 연구 및 앞으로의 추이 = 151 7. 요약 = 153 제6장 배양효과 = 156 1. 문화지표 프로젝트 = 157 2. 개념적 뿌리와 비판 = 161 3. 배양효과의 이론적 기초 = 164 4. 연구 전통 = 166 5. 최근 연구 및 앞으로의 추이 = 168 6. 요약 = 172 제7장 혁신의 확산 = 174 1. 채택자 범주 = 178 2. 이론의 기원 = 180 3. 개념적 뿌리 = 180 4. 확산 및 채택 과정 = 183 5. 주요 확산 연구 = 185 6. 현재와 미래의 확산 연구 = 188 7. 요약 = 191 제8장 이용과 충족 = 193 1. 매스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 = 195 2. 이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 = 196 3. 이용과 충족의 가정 = 199 4. 이용과 충족 연구 : 약사 = 201 5. 최근 연구 = 203 6. 이용과 충족에 대한 비판 = 204 7. 요약 = 207 제9장 의제설정 = 209 1. 개념적 뿌리 = 211 2. 연구 전통 = 213 3. 최근 연구 및 앞으로의 추이 = 220 4. 가설 또는 이론? : 계속되는 논의 = 224 5. 요약 = 225 제10장 설득 = 228 1. 연구 전통 = 229 2. 태도, 감정, 행위, 그리고 설득 = 232 3. 설득 모델 = 234 4. 태도와 행동을 연결시키는 모델 = 243 5. 최근 연구 및 앞으로의 추이 = 245 6. 요약 = 246 제3부 주요 연구 영역 제11장 미디어 폭력의 효과 = 251 1. 미디어 폭력 연구 방법 = 252 2. 폭력적 내용의 측정 = 256 3. 미디어 폭력의 심리적 영향 = 262 4. 미디어 폭력 연구 및 공공정책 : 역사와 미래 = 272 5. 요약 = 279 제12장 성적 내용의 미디어 효과 = 281 1. 성적 내용의 속성 = 282 2. 미디어의 성적 내용의 정도 = 285 3. 매우 음란한 내용물에 대한 노출 = 290 4. 지배적 톤의 중요성 = 297 5. 성폭력물에 대한 노출 = 298 6. 포르노그래피의 행위적 효과에 관한 그 이상의 것 : 성범죄자 연구 = 302 7. 요약 = 305 제13장 불안감이나 공포감을 주는 미디어 내용에 대한 반응 = 307 1. 오락물로서의 공포감을 주는 이야기 = 309 2. 공포의 매력에 대한 설명 = 311 3. 공포감의 측정 = 314 4. 어린이들의 공포 반응 = 315 5. 미디어 내용에 대한 공포 반응의 역동성 = 317 6. 연령 및 성 차이 = 323 7. 공포 대처 전략 = 326 8. 요약 = 328 제14장 뉴스 효과 = 331 1. 뉴스의 특징 = 332 2. 위기의 효과 = 339 3. 뉴스로 인한 심리적 효과 및 기타 효과 = 342 4. 최근 연구 및 앞으로의 추이 = 346 5. 요약 = 348 제15장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 = 350 1.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개념 = 351 2. 캠페인의 이론적 기초 = 357 3. 캠페인 실패의 원인 = 361 4. 성공적인 캠페인의 원칙 = 364 5. 최근 연구 및 앞으로의 추이 = 374 6. 요약 = 375 제16장 건강에 관한 미디어 효과 = 378 1. 연구 결과 = 380 2. 건강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 = 390 3. 기타 유형의 매개 건강 교육 = 396 4. 최근 연구 및 앞으로의 추이 = 399 5. 요약 = 401 제17장 광고 효과 = 403 1. 오늘날 미디어 환경 속에서의 광고 = 404 2. 연구 전통 = 407 3. 무드의 중요성 = 410 4. 미디어 정황 연구 = 412 5. 광고 빈도 및 반복의 중요성 = 417 6. 지적 이해와 오해 = 420 7. 최근 연구 = 421 8. 요약 = 424 제18장 대량 매개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 427 1. 정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영향 = 429 2. 정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 433 3. 미디어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41 4. 요약 = 443 제19장 소수집단 묘사의 효과 = 445 1. 사회적 정보의 전달자로서의 미디어 = 447 2. 오락물에서의 소수집단 묘사 = 447 3. 뉴스 보도에서의 소수집단 묘사 = 459 4. 광고에서의 소수집단 묘사 = 463 5. 어린이 프로그램에서의 소수집단 묘사 = 466 6. 소수집단 묘사의 효과 = 469 7. 요약 = 477 제20장 미디어 오락물의 효과 = 480 1. 오락물 약사 = 481 2. 연구 방법 = 483 3. 선택적 노출 = 484 4. 오락의 즐김 = 488 5. 최근 연구 및 앞으로의 추이 = 498 6. 요약 = 499 제21장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 = 502 1. 디지털 개척지 = 504 2. 새로운 상호작용적 환경 = 509 3. 새로운 수용자 개념 = 511 4. 윤리적 및 정책적 고려사항 = 514 5. 뉴 미디어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 = 519 6. 새로운 기술의 실질적 이점 = 523 7. 새로운 이론 및 새로운 모델 = 525 8. 요약 = 527 참고문헌 = 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