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치철학의 추구
정치적 신념 = 38
이상론이 아닌 정치철학 = 40
원칙과 핵심용어 = 43
보편화 가능성의 불시험 = 46
정의(正義) = 50
연대성 = 57
확장된 책임성 = 61
청지기성 = 66
결론 = 69
자유 = 70
2. 옛 사상가들로부터 물려받은 폐기되지 않는 유산들
위협받은 기독교 = 78
공인된 기독교 = 80
기독교의 타락인가? = 82
어거스틴 : 생사를 건 싸움 = 83
영웅적 정의와 봉사적 정의 = 86
국가와 핍박 = 90
국가와 교회의 분리? = 94
결론 = 96
중세의 권력투쟁 = 99
토마스 아퀴나스 : 실재의 배열 = 101
국가와 일반복지 = 105
정의와 독재에 대항한 투쟁 = 108
국가와 교회의 결합 = 112
결론 = 113
3. 종교개혁과 반동종교개혁의 드라마
인문주의와 종교개혁 = 118
진리추구자 에라스무스 = 121
평화의 한탄 = 123
루터와 인간의 소명 = 126
통치의 2가지 방법 = 128
루터와 어거스틴 = 133
루터와 농민반란 = 135
결론 = 137
칼빈과 정부의 임무 = 139
국가의 기반과 목적 = 142
민주주의의 시작 = 144
결론 = 151
대답으로서의 반동종교개혁 = 152
비토리아, 반동종교개혁의 선구자 = 154
국가의 기초들과 국제법 = 155
독재에 대항한 위그노들의 싸움 = 158
호트만과 브루투스, 국민권리의 옹호자 = 159
보댕, 절대왕권의 옹호자 = 163
젠틸리, 정부계약의 옹호자 = 167
알투시우스, 국민주권의 옹호자 = 169
연합적 조직과 조합적 조직 = 172
네덜란드의 봉기 = 174
후기 칼빈주의 = 177
후기 루터주의 = 181
결론 = 185
4. 계몽주의와 경직화 - 혁명과 복고
계몽주의 = 192
버크, 논쟁의 대상이었던 사상가·정치가 = 195
명예혁명 대 프랑스혁명 = 195
사회계약 = 197
계몽주의 철학자들에 대한 비판 = 199
정치적 지혜 = 201
버크와 로크 = 203
보수주의 정치인으로서의 버크 = 205
전통주의자들로서의 메스트르와 보날드 = 209
전체주의에 대한 메스트르의 저항 = 210
보날드와 전통적 가치의 회복 = 212
민주주의에 대한 혐오 = 213
전통의 매력 = 215
반동혁명주의자로서의 라므네 = 216
기독교 사회주의자로서의 라므네 = 217
반혁명주의자로서의 흐룬 판 프린스터러 = 221
그들 시대의 해석자로서의 계몽주의 철학자들 = 225
혁명에 대항하는 종교개혁 = 228
의심스러운 인과관계 = 230
반혁명주의자와 반동혁명주의자 = 235
결론 = 240
5. 네덜란드 기독교 민주주의의 시작
서론 = 246
정치사상가로서의 스케프만 = 247
사회 회칙들 = 249
연대성 = 250
조합적 조직 = 254
보조성 = 256
카톨릭 정당 : 보수적이며 정통적 = 251
카이퍼와 프랑스혁명 = 262
건설적 사회비판 = 264
영역주권 = 266
혁명주의자와 반혁명주의자 = 270
카이퍼와 더 사포르닌 로만의 민주주의에 대한 견해 = 271
마리탱과 도이어비어르트 = 277
법치국가에 대한 견해들 속의 위기 = 278
정치적 생활공동체와 국가에 대한 마리탱의 견해 = 281
정의의 도구로서의 국가 = 283
국가의 구조에 대한 도이어비어르트의 견해 = 286
다른 권한들 = 288
사회민주주의를 둘러싼 싸움 = 291
국가와 사회·경제적 질서 = 294
결론 = 298
6. 기독교 민주주의 정치철학
저울에 달림 = 310
명확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음 = 312
국가 = 314
보호국가의 기초로서의 법치국가 = 323
기독교 민주주의와 보호국가 = 327
사회적 중간영역 = 335
사회적 중간영역과 신앙고백적 단체들 = 341
행정상의 분권화 = 343
민영화와 공적 정의 = 344
민주주의와 주권재민 = 346
사회민주주의 = 350
시민권 = 352
민주주의와 국민투표 = 355
민주주의와 신정(神政)정치 = 363
법치국가와 교회와의 관계 = 368
종교단체들에 대한 정부지원 = 371
정치에 대한 교회의 책임 = 374
공적 윤리에 대한 숙고 = 377
관용 = 380
타협과 컨센서스 = 385
기독교 민주주의, 진보적인가 보수적인가? = 394
결론 = 405
7. 자유주의 및 사회민주주의와의 대화와 대결
문화적·자유주의적 윤리 = 410
고전적 자유주의 = 412
자유민주주의 = 416
자유주의적 정치적 가치들 = 419
자유주의적 정의(正義) = 422
공동체주의 = 425
결론 = 435
자유주의와 기독교 민주주의 = 437
D66의 자유주의적 실용주의 = 445
무원리가 아니라 무이데올로기 = 447
자유주의적 실용주의 = 448
D66의 정치철학 = 451
마르크스주의적 사회주의 대 유토피아적 사회주의 = 453
마르크스주의적 사회주의의 몇몇 주요노선들 = 456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 = 458
계획사회주의 = 460
네덜란드 사회주의 = 461
사회민주주의 = 465
최소사회주의 = 469
결론 = 473
사회민주주의와 기독교 민주주의 = 476
8. 왜 기독교 민주주의이며, 그것은 무엇을 지향하는가?
기민당과 기독교 민주주의 = 484
기민당은 존재권리를 갖고 있는가? = 486
복음은 정치강령이 아니다 = 488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 열린 정당 = 493
정당으로서의 기민당 = 496
기민당은 중도(中道)정당인가? = 502
유입과 유출 = 507
지향방향 : 기독교 민주주의적인 것 혹은 싸구려 모조품 = 509
참고문헌 =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