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외재적)비평문학의 이론과 실제

(외재적)비평문학의 이론과 실제 (Loan 9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혜니.
Title Statement
(외재적)비평문학의 이론과 실제 = Theory and practice of external literary criticism. / 김혜니 [엮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푸른사상 ,   2005.  
Physical Medium
511 p. ; 24 cm.
ISBN
895640296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수록
000 00664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09989
005 20100806085744
007 ta
008 051026s2005 ulk b h001c kor
020 ▼a 8956402965 ▼g 03800: ▼c \32,000
035 ▼a KRIC09837194
040 ▼a 243009 ▼c 243009 ▼d 241044 ▼d 211046 ▼d 248003 ▼d 244002
056 ▼a 809 ▼2 4
082 0 4 ▼a 801.95 ▼2 22
090 ▼a 801.95 ▼b 2005c
245 2 0 ▼a (외재적)비평문학의 이론과 실제 = ▼x Theory and practice of external literary criticism. / ▼d 김혜니 [엮음].
260 ▼a 서울 : ▼b 푸른사상 , ▼c 2005.
300 ▼a 511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수록
700 1 ▼a 김혜니. ▼0 AUTH(211009)124796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95 2005c Accession No. 111372331 Availability Apply Simple Loan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95 2005c Accession No. 111372332 Availability Apply Simple Loan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1.95 2005c Accession No. 1511886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1.95 2005c Accession No. 1511886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95 2005c Accession No. 111372331 Availability Apply Simple Loan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95 2005c Accession No. 111372332 Availability Apply Simple Loan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1.95 2005c Accession No. 1511886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1.95 2005c Accession No. 1511886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혜니(지은이)

전)국제대학 영상문예과 교수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집필 「중학교과서 문학 시리즈」, 「꼭 읽어야 할 소설 119」, 「소설 119 플러스」 등 30년 간 타임기획에서 펴낸 주요 청소년 도서의 대표 편저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Ⅰ. 역사주의 비평 = 15
 1. 역사주의 비평의 개념과 이론 전개 = 15
 2. 역사ㆍ전기 비평의 대표적 이론가와 이론 = 18
  (1) 생트-뵈브 - 실증주의 = 18
  (2) 테느 - 민족ㆍ환경ㆍ시대론 = 21
  (3) 아우얼바하 - 원전의 언어 분석 = 24
  (4) 그렙스타인 - 역사적 비평 = 27
 3. 역사주의 비평의 이론과 실제 = 29
  (1) 원전 확정 연구 = 29
  (2) 당대 언어 연구 = 34
  (3) 작가 전기 연구 = 38
  (4) 작가의 평판과 영향 문제 = 45
  (5) 당대의 문화 연구 = 52
  (6) 문학사 연구 = 59
  (7) 문학적 전통과 관습 연구 = 67
 4. 역사주의 비평 검토 = 75
Ⅱ. 사회ㆍ문화 비평 = 79
 1. 사회ㆍ문화 비평의 개념과 이론 전개 = 84
 2. 사회ㆍ문화 비평의 이론가와 이론 = 84
  (1) 마르크스와 엥겔스 - 유물론 = 84
  (2) 루카치 - 리얼리즘 = 87
  (3) 골드만 - 발생구조론 = 93
 3. 마르크스주의 비평 = 98
  (1) 마르크스의 문학예술론 = 98
  (2) 사회주의 리얼리즘 = 103
 4. 사회ㆍ문화 비평의 실제 = 106
  (1) 루카치 이론의 실제 = 106
  (2) 골드만 이론의 실제 = 111
  (3) 사회ㆍ문화 비평의 일반적 실제 = 118
 5. 사회ㆍ문화 비평 검토 = 122
Ⅲ. 심리주의 비평 = 128
 1. 심리주의 비평의 출발과 개념 = 128
 2. 심리주의 비평의 영역 = 131
  (1) 작가 심리 연구 = 131
  (2) 작품 심리 연구 = 133
  (3) 독자 심리 연구 = 135
 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 137
  (1) 인간의 정신 구조 = 137
  (2) 인간의 성격 구조 = 138
  (3) 인격 형성 과정 = 139
  (4)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 = 143
  (5) 심리적 방어기제 = 144
  (6) 꿈 이론 = 147
  (7) 그 밖의 정신분석 용어들 = 148
 4. 융의 분석심리학 = 150
  (1) 인간 정신의 본질과 구조 = 151
  (2) 원형의 개념과 종류 = 152
  (3) 콤플렉스 이론 = 153
  (4) 꿈 이론 = 154
  (5) 문학 이론 = 155
 5.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 156
  (1) 유년기와 인생 양식 = 156
  (2) 열등감과 우월감 = 157
 6. 구조주의 정신분석학 = 159
  (1) 라캉의 구조주의 정신분석학 = 159
  (2) 데리다의 후기 구조주의 정신분석학 = 161
 7. 그 밖의 이론가와 이론 = 163
  (1) 작가 창작 심리학 = 163
  (2) 작품 심리 연구 = 168
  (3) 독자 심리 연구 = 172
 8. 심리주의 비평의 실제 - 관음증과 나르시시즘의 복합 = 176
 9. 심리주의 비평 검토 = 180
Ⅳ. 현상학적 비평 = 186
 1. 현상학적 비평의 출발과 개념 = 186
 2. 철학 현상학의 두 가지 개념 = 188
  (1) 에드먼드 후설 - 현상학적 인식 = 190
  (2) 마틴 하이데거 - 세계와 인간 = 192
  (3) 메를로 퐁티 - 지각의 선행성 = 194
 3. 문학과 현상학 = 197
  (1) 작품 서술과 현상학 = 197
  (2) 작품 해석과 현상학 = 199
  (3) 가스통 바슐라르 - 이미지와 상상력 이론 = 201
  (4) 조르즈 풀레 - 인식의 세 단계 = 204
  (5) 제프리 하트만 - 의식의 드라마와 성숙 = 206
 4. 현상학적 비평의 실제 - 김광균의 「눈오는 밤의 시」 = 208
 5. 현상학적 비평 검토 = 213
Ⅴ. 신화ㆍ원형 비평 = 219
 1. 신화ㆍ원형 비평의 출발과 전개 = 219
  (1) 캐임브리지 대학의 인류학파 = 220
  (2) 융의 집단무의식 = 221
  (3) 카시러의 신화와 상징 = 222
 2. 신화ㆍ원형 비평의 개념 = 224
  (1) 신화 비평의 의미 = 224
  (2) 신화와 문학 그리고 작가 = 226
  (3) 신화와 비평가 = 228
  (4) 신화와 제의 = 230
 3. 원형과 원형 비평 = 231
  (1) 신화와 원형, 신화 비평과 원형 비평 = 231
  (2) 프레이저 - 『황금가지』 = 233
  (3) 프라이 - 원형 상징 = 237
  (4) 휠라이트 - 원형 상징 = 246
  (5) 궤린 - 원형 상징 = 252
  (6) 융 - 심리적 원형 = 257
 4. 그 밖의 이론가와 이론 = 260
  (1) 캠벨 - 신화ㆍ원형 해석 = 260
  (2) 보드킨 - 재생의 원형적 패턴 = 262
 5. 신화ㆍ원형 비평의 실제 - 감음과 풂, 모여듬과 물러남 그리고 순환 원형 = 264
 6. 신화ㆍ원형 비평 검토 = 269
Ⅵ. 문학 해석학 비평 = 274
 1. 해석학 비평의 출발과 개념 = 274
 2. 현대 문학 해석학 비평의 흐름 = 278
 3. 문학 해석학 비평의 이론가와 이론 = 282
  (1) 슐라이어마허 - 언어적ㆍ관념론적 해석학 = 282
  (2) 딜타이 - 생철학적ㆍ정신과학적 해석학 = 285
  (3) 하이데거 - 현상학적ㆍ존재론적 해석학 = 289
  (4) 가다머 - 철학적 해석학 = 293
  (5) 허쉬 - 문학적ㆍ텍스트적 해석학 = 297
  (6) 리쾨르 - 문학적ㆍ텍스트적 해석학 = 300
  (7) 하버마스 - 의사 소통적ㆍ비판적 해석학 = 302
 4. 해석학과 순환 구조 = 304
  (1) 이해의 순환 구조 = 304
  (2) 문학사와 해석적 순환 = 308
  (3)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적 순환 = 311
 5. 문학 해석학 비평의 실제 - 해석학적 문학 방법론의 주요 논제들 = 314
 6. 문학 해석학 비평의 검토 = 320
Ⅶ. 페미니즘 비평 = 327
 1. 페미니즘 비평의 출발과 개념 = 327
 2. 페미니즘 이론의 다양성 = 331
  (1) 자유주의적 페미니즘 = 332
  (2) 사회주의 페미니즘 = 334
  (3)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 335
  (4) 에코 페미니즘 = 338
  (5) 흑인 페미니즘ㆍ레스비언 페미니즘 = 341
  (6)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 343
 3. 페미니즘 비평 용어 = 348
  (1) 가부장제 = 348
  (2) 가사ㆍ가사 노동 = 349
  (3) 남근중심적 = 351
  (4) 성과 성역할 = 352
  (5) 생물학적 여성성ㆍ습득된 여성성 = 353
  (6) 주변성과 타자성 = 354
  (7) 여성 해방 = 356
 4. 여성의 이미지와 여성으로서 글읽기 = 357
 5. 미국의 페미니즘 비평 전개 = 361
  (1) 여성 문학론과 여성운동 = 361
  (2) 급진주의와 여성 작가 작품 연구 = 363
  (3) 밀레트 - 『성의 정치학』 = 367
  (4) 쇼왈터 - 『여성 자신의 문학』 = 369
  (5) 페터리 - 『저항하는 독자』 = 371
 6. 프랑스의 페미니즘 비평 이론 전개 = 374
  (1) 데리다 - 해체론과 페미니즘 = 375
  (2) 라캉 - 정신분석학과 페미니즘 = 377
  (3) 크리스테바 - 기호론과 페미니즘 = 378
  (4) 엘렌 식수스 - 여성적 글쓰기 = 381
  (5) 루스 이리가레이 - 여성의 반사경 = 383
 7. 사회주의ㆍ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비평 = 385
  (1) 사회주의 페미니즘 = 385
  (2)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389
 8. 그 밖의 이론가와 이론 = 392
  (1) 버지니아 울프 - 『나 혼자만의 방』 = 392
  (2) 시몬느 드 보봐리 - 『제2의 성』 = 396
 9. 페미니즘 비평의 실제 - 모성적 젠더 공간 = 401
 10. 페미니즘 비평의 검토 = 407
Ⅷ.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 = 412
 1.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의 출발과 개념 = 412
 2.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과 타 비평 이론과의 관계 = 415
  (1) 형식주의 비평 이론과의 관계 = 415
  (2) 현상학적 비평 이론과의 관계 = 417
  (3) 프라그 구조주의 비평 이론과의 관계 = 419
 3.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의 이론가와 이론 = 421
  (1) 야우스 - 기대 지평 = 421
  (2) 이저 - 독서 이론 = 425
  (3) 피쉬 - 학식있는 독자 = 429
  (4) 리파테르 - 독서의 두 단계와 초(超)독자 = 431
  (5) 흘랜드와 블레이치 - 독자 심리 = 434
 4.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의 실제 - 허구적 독자론 = 436
 5.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 검토 = 441
Ⅸ. 신역사주의ㆍ문화유물론 비평 = 446
 1. 신역사주의ㆍ문화유물론 비평의 출발과 개념 = 446
 2. 미국의 신역사주의 비평 = 450
  (1) 전통적 역사주의와 신역사주의 = 450
  (2) 신역사주의 비평의 형성 과정 = 452
  (3) 신역사주의 비평 이론과 방법 = 454
 3. 영국의 문화유물론 비평 = 459
  (1) 문화유물론 비평 정의 = 459
  (2) 문화유물론 비평의 형성 과정 = 461
  (3) 문화유물론의 비평 이론과 방법 = 465
 4. 신역사주의와 문화유물론의 차이점 = 466
 5. 신역사주의와 문화유물론의 이론가와 이론 = 469
  (1) 미셀 푸코 - 주체와 권력 = 469
  (2) 레이먼드 윌리엄스 - 문화의 개념과 문화주의 = 473
  (3) 루이스 알튀세 - 구조주의 문화 연구 = 476
  (4) 안토니오 그람시 - 포스트모더니즘 문화 연구 = 478
  (5) 조나단 돌리모어 - 역사와 문화적 과정의 양상 = 481
  (6) 스티븐 그린블라트 - 전복과 봉쇄, 권력 탐구 = 484
 6. 신역사주의ㆍ문화유물론 비평의 실제 - 『햄릿』의 두 인물 - 복수로 인한 주변화 = 488
 7. 신역사주의ㆍ문화유물론 비평의 검토 = 495
찾아보기 = 50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