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Ⅰ. 역사주의 비평 = 15
1. 역사주의 비평의 개념과 이론 전개 = 15
2. 역사ㆍ전기 비평의 대표적 이론가와 이론 = 18
(1) 생트-뵈브 - 실증주의 = 18
(2) 테느 - 민족ㆍ환경ㆍ시대론 = 21
(3) 아우얼바하 - 원전의 언어 분석 = 24
(4) 그렙스타인 - 역사적 비평 = 27
3. 역사주의 비평의 이론과 실제 = 29
(1) 원전 확정 연구 = 29
(2) 당대 언어 연구 = 34
(3) 작가 전기 연구 = 38
(4) 작가의 평판과 영향 문제 = 45
(5) 당대의 문화 연구 = 52
(6) 문학사 연구 = 59
(7) 문학적 전통과 관습 연구 = 67
4. 역사주의 비평 검토 = 75
Ⅱ. 사회ㆍ문화 비평 = 79
1. 사회ㆍ문화 비평의 개념과 이론 전개 = 84
2. 사회ㆍ문화 비평의 이론가와 이론 = 84
(1) 마르크스와 엥겔스 - 유물론 = 84
(2) 루카치 - 리얼리즘 = 87
(3) 골드만 - 발생구조론 = 93
3. 마르크스주의 비평 = 98
(1) 마르크스의 문학예술론 = 98
(2) 사회주의 리얼리즘 = 103
4. 사회ㆍ문화 비평의 실제 = 106
(1) 루카치 이론의 실제 = 106
(2) 골드만 이론의 실제 = 111
(3) 사회ㆍ문화 비평의 일반적 실제 = 118
5. 사회ㆍ문화 비평 검토 = 122
Ⅲ. 심리주의 비평 = 128
1. 심리주의 비평의 출발과 개념 = 128
2. 심리주의 비평의 영역 = 131
(1) 작가 심리 연구 = 131
(2) 작품 심리 연구 = 133
(3) 독자 심리 연구 = 135
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 137
(1) 인간의 정신 구조 = 137
(2) 인간의 성격 구조 = 138
(3) 인격 형성 과정 = 139
(4)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 = 143
(5) 심리적 방어기제 = 144
(6) 꿈 이론 = 147
(7) 그 밖의 정신분석 용어들 = 148
4. 융의 분석심리학 = 150
(1) 인간 정신의 본질과 구조 = 151
(2) 원형의 개념과 종류 = 152
(3) 콤플렉스 이론 = 153
(4) 꿈 이론 = 154
(5) 문학 이론 = 155
5.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 156
(1) 유년기와 인생 양식 = 156
(2) 열등감과 우월감 = 157
6. 구조주의 정신분석학 = 159
(1) 라캉의 구조주의 정신분석학 = 159
(2) 데리다의 후기 구조주의 정신분석학 = 161
7. 그 밖의 이론가와 이론 = 163
(1) 작가 창작 심리학 = 163
(2) 작품 심리 연구 = 168
(3) 독자 심리 연구 = 172
8. 심리주의 비평의 실제 - 관음증과 나르시시즘의 복합 = 176
9. 심리주의 비평 검토 = 180
Ⅳ. 현상학적 비평 = 186
1. 현상학적 비평의 출발과 개념 = 186
2. 철학 현상학의 두 가지 개념 = 188
(1) 에드먼드 후설 - 현상학적 인식 = 190
(2) 마틴 하이데거 - 세계와 인간 = 192
(3) 메를로 퐁티 - 지각의 선행성 = 194
3. 문학과 현상학 = 197
(1) 작품 서술과 현상학 = 197
(2) 작품 해석과 현상학 = 199
(3) 가스통 바슐라르 - 이미지와 상상력 이론 = 201
(4) 조르즈 풀레 - 인식의 세 단계 = 204
(5) 제프리 하트만 - 의식의 드라마와 성숙 = 206
4. 현상학적 비평의 실제 - 김광균의 「눈오는 밤의 시」 = 208
5. 현상학적 비평 검토 = 213
Ⅴ. 신화ㆍ원형 비평 = 219
1. 신화ㆍ원형 비평의 출발과 전개 = 219
(1) 캐임브리지 대학의 인류학파 = 220
(2) 융의 집단무의식 = 221
(3) 카시러의 신화와 상징 = 222
2. 신화ㆍ원형 비평의 개념 = 224
(1) 신화 비평의 의미 = 224
(2) 신화와 문학 그리고 작가 = 226
(3) 신화와 비평가 = 228
(4) 신화와 제의 = 230
3. 원형과 원형 비평 = 231
(1) 신화와 원형, 신화 비평과 원형 비평 = 231
(2) 프레이저 - 『황금가지』 = 233
(3) 프라이 - 원형 상징 = 237
(4) 휠라이트 - 원형 상징 = 246
(5) 궤린 - 원형 상징 = 252
(6) 융 - 심리적 원형 = 257
4. 그 밖의 이론가와 이론 = 260
(1) 캠벨 - 신화ㆍ원형 해석 = 260
(2) 보드킨 - 재생의 원형적 패턴 = 262
5. 신화ㆍ원형 비평의 실제 - 감음과 풂, 모여듬과 물러남 그리고 순환 원형 = 264
6. 신화ㆍ원형 비평 검토 = 269
Ⅵ. 문학 해석학 비평 = 274
1. 해석학 비평의 출발과 개념 = 274
2. 현대 문학 해석학 비평의 흐름 = 278
3. 문학 해석학 비평의 이론가와 이론 = 282
(1) 슐라이어마허 - 언어적ㆍ관념론적 해석학 = 282
(2) 딜타이 - 생철학적ㆍ정신과학적 해석학 = 285
(3) 하이데거 - 현상학적ㆍ존재론적 해석학 = 289
(4) 가다머 - 철학적 해석학 = 293
(5) 허쉬 - 문학적ㆍ텍스트적 해석학 = 297
(6) 리쾨르 - 문학적ㆍ텍스트적 해석학 = 300
(7) 하버마스 - 의사 소통적ㆍ비판적 해석학 = 302
4. 해석학과 순환 구조 = 304
(1) 이해의 순환 구조 = 304
(2) 문학사와 해석적 순환 = 308
(3)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적 순환 = 311
5. 문학 해석학 비평의 실제 - 해석학적 문학 방법론의 주요 논제들 = 314
6. 문학 해석학 비평의 검토 = 320
Ⅶ. 페미니즘 비평 = 327
1. 페미니즘 비평의 출발과 개념 = 327
2. 페미니즘 이론의 다양성 = 331
(1) 자유주의적 페미니즘 = 332
(2) 사회주의 페미니즘 = 334
(3)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 335
(4) 에코 페미니즘 = 338
(5) 흑인 페미니즘ㆍ레스비언 페미니즘 = 341
(6)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 343
3. 페미니즘 비평 용어 = 348
(1) 가부장제 = 348
(2) 가사ㆍ가사 노동 = 349
(3) 남근중심적 = 351
(4) 성과 성역할 = 352
(5) 생물학적 여성성ㆍ습득된 여성성 = 353
(6) 주변성과 타자성 = 354
(7) 여성 해방 = 356
4. 여성의 이미지와 여성으로서 글읽기 = 357
5. 미국의 페미니즘 비평 전개 = 361
(1) 여성 문학론과 여성운동 = 361
(2) 급진주의와 여성 작가 작품 연구 = 363
(3) 밀레트 - 『성의 정치학』 = 367
(4) 쇼왈터 - 『여성 자신의 문학』 = 369
(5) 페터리 - 『저항하는 독자』 = 371
6. 프랑스의 페미니즘 비평 이론 전개 = 374
(1) 데리다 - 해체론과 페미니즘 = 375
(2) 라캉 - 정신분석학과 페미니즘 = 377
(3) 크리스테바 - 기호론과 페미니즘 = 378
(4) 엘렌 식수스 - 여성적 글쓰기 = 381
(5) 루스 이리가레이 - 여성의 반사경 = 383
7. 사회주의ㆍ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비평 = 385
(1) 사회주의 페미니즘 = 385
(2)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389
8. 그 밖의 이론가와 이론 = 392
(1) 버지니아 울프 - 『나 혼자만의 방』 = 392
(2) 시몬느 드 보봐리 - 『제2의 성』 = 396
9. 페미니즘 비평의 실제 - 모성적 젠더 공간 = 401
10. 페미니즘 비평의 검토 = 407
Ⅷ.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 = 412
1.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의 출발과 개념 = 412
2.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과 타 비평 이론과의 관계 = 415
(1) 형식주의 비평 이론과의 관계 = 415
(2) 현상학적 비평 이론과의 관계 = 417
(3) 프라그 구조주의 비평 이론과의 관계 = 419
3.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의 이론가와 이론 = 421
(1) 야우스 - 기대 지평 = 421
(2) 이저 - 독서 이론 = 425
(3) 피쉬 - 학식있는 독자 = 429
(4) 리파테르 - 독서의 두 단계와 초(超)독자 = 431
(5) 흘랜드와 블레이치 - 독자 심리 = 434
4.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의 실제 - 허구적 독자론 = 436
5. 수용미학ㆍ독자반응 비평 검토 = 441
Ⅸ. 신역사주의ㆍ문화유물론 비평 = 446
1. 신역사주의ㆍ문화유물론 비평의 출발과 개념 = 446
2. 미국의 신역사주의 비평 = 450
(1) 전통적 역사주의와 신역사주의 = 450
(2) 신역사주의 비평의 형성 과정 = 452
(3) 신역사주의 비평 이론과 방법 = 454
3. 영국의 문화유물론 비평 = 459
(1) 문화유물론 비평 정의 = 459
(2) 문화유물론 비평의 형성 과정 = 461
(3) 문화유물론의 비평 이론과 방법 = 465
4. 신역사주의와 문화유물론의 차이점 = 466
5. 신역사주의와 문화유물론의 이론가와 이론 = 469
(1) 미셀 푸코 - 주체와 권력 = 469
(2) 레이먼드 윌리엄스 - 문화의 개념과 문화주의 = 473
(3) 루이스 알튀세 - 구조주의 문화 연구 = 476
(4) 안토니오 그람시 - 포스트모더니즘 문화 연구 = 478
(5) 조나단 돌리모어 - 역사와 문화적 과정의 양상 = 481
(6) 스티븐 그린블라트 - 전복과 봉쇄, 권력 탐구 = 484
6. 신역사주의ㆍ문화유물론 비평의 실제 - 『햄릿』의 두 인물 - 복수로 인한 주변화 = 488
7. 신역사주의ㆍ문화유물론 비평의 검토 = 495
찾아보기 =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