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소아과 의사를 위한)임상아동심리학의 적용

(소아과 의사를 위한)임상아동심리학의 적용 (Loan 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Drotar, Dennis 노주선 , 역 이유리 , 역
Title Statement
(소아과 의사를 위한)임상아동심리학의 적용 / Dennis Drotar 외 공저 ; 노주선, 이유리 공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   2005.  
Physical Medium
351 p. ; 23 cm.
Varied Title
Consulting with pediatricians : psychological perspectives
ISBN
895891068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19-346), 색인수록
000 00791camccc200265 k 4500
001 000045209779
005 20100806085604
007 ta
008 050304s2005 ulk b 001c kor
020 ▼a 8958910682
035 ▼a KRIC09701413
040 ▼a 248003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8.9289 ▼2 22
090 ▼a 618.9289 ▼b 2005
245 2 0 ▼a (소아과 의사를 위한)임상아동심리학의 적용 / ▼d Dennis Drotar 외 공저 ; ▼e 노주선, ▼e 이유리 공역.
246 1 9 ▼a Consulting with pediatricians : psychological perspectives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5.
300 ▼a 351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19-346), 색인수록
700 1 ▼a Drotar, Dennis
700 1 ▼a 노주선 , ▼e
700 1 ▼a 이유리 , ▼e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8.9289 2005 Accession No. 1113410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Dennis Drotar(지은이)

<소아과 의사를 위한 임상아동심리학의 적용>

노주선(옮긴이)

임상심리학 박사/임상심리전문가로서 삼성의료원 및 한림대병원 등 정신과, 고려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등에서 심리 전문가로 활동하였다. 이후 기업에서 심리평가와 상담치료를 기반으로 채용과 리더십 분야에서 평가 및 코칭/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정부종합청사의 공무원상담센터(EAP)를 처음으로 개설하여 서울, 대전, 세종 등 전 청사로 확대 운영하였으며, 삼성그룹 전체를 대상으로 마음건강 프로젝트 (스트레스 진단 도구 및 치료 프로그램 개발)를 수행하였다. 현재 넥슨 그룹 직원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인 '내 마음 읽기' 와 리더들을 대상으로 한 상시적 코칭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많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정신건강과 행복한 직장 생활을 위한 직원들의 감성 관리와 감성 리더십 교육을 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7

프롤로그 = 19

제1부 소아과 자문의 기초 = 25

 제1장 심리학자와 소아과 의사 사이의 협력의 발전 = 27

  짧은 역사 = 27

  미국 내 소아과의 발달 = 27

  초기의 협력연구 = 30

  발달소아과와 행동소아과의 출현 = 33

  소아과 의사와 심리학자 사이의 협력의 발달 = 35

  초기 협력의 비전 : 심리학자들의 견해 = 38

  협력연구의 현대적 발달 = 40

 제2장 협력적 활동 및 영향의 모형 = 43

  협력적 활동의 기술 = 44

  소아과심리학에서의 협력ㆍ자문 모형 = 48

  협력적 성공 강화하기 = 60

 제3장 1차치료 장면에서의 자문과 협력 = 63

  1차치료 장면에서 의뢰된 문제와 서비스 = 65

  대학병원 장면의 1차치료 자문 = 66

  1차치료 장면에서의 임상자문을 위한 가이드라인 = 70

  1차치료 장면에서의 협력적 연구 = 79

 제4장 소아과 입원 장면에서의 자문과 협력 = 83

  입원 장면에서 의뢰되는 문제와 서비스 = 83

  심리학적 자문에서의 행동과 책임 = 90

  특별한 자문방법 = 94

  사례 개관을 구조화하고 계획하기 = 95

  진행되는 사례 개관 이행하기 = 97

 제5장 소아과 장면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 = 101

  영역 간 협력의 필요성 = 101

  영역 간 협력의 방해물 = 104

  영역 간 협력의 고양 = 107

  앞으로의 과제 = 111

 제6장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에서의 협력 = 113

  협력적이고 포괄적인 치료의 장벽 = 113

  협력적이고 포괄적인 치료 모형의 개발 = 116

  만성적인 심리생리적 문제의 협력적인 관리 = 120

  프로그램의 개발 = 123

  앞으로의 과제 = 129

 제7장 연구와 관련된 협력 = 131

  협력연구의 이점 = 131

  연구와 관련된 협력의 촉진 = 136

  연구와 관련된 협력에서 문제가 되는 이슈들 = 142

  앞으로의 과제 = 145

 제8장 대학병원에서의 소아과 심리 프로그램 개발 = 149

  프로그램 협력의 방해물 = 150

  성공적인 프로그램 협력의 구성요소 = 153

  프로그램 개발의 공통 주제 = 165

  앞으로의 과제 = 167

 제9장 협력에서의 직업적ㆍ윤리적 문제 = 169

  비밀 보장 = 170

  환자 치료에서의 직업적 경계선 = 172

  직업적 역할에서의 갈등 = 172

  임상적 치료에서 일어나는 직업 상호간의 긴장 및 갈등 = 174

  직업적 역할에 대한 기대에서 일어나는 갈등 = 175

  협력적인 갈등에 대한 접근 및 예방 = 177

  직업적 능력의 경계선 내에서 활동하기 = 178

  직업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전략 = 180

  직업적 자율성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 181

  앞으로의 과제 = 184

 제10장 자문과 협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 = 185

  심리학적 자문 서비스에 대한 기술 = 186

  심리학적 서비스의 이용 = 186

  심리학적 서비스에 대한 소아과 의사의 지각 = 192

  앞으로의 과제 = 202

 제11장 자문과 협력을 위한 심리학자의 훈련 = 203

  교육협력의 촉진 = 204

  입원 환자 자문에 관한 훈련 = 206

  1차치료에서의 자문을 위한 훈련 = 208

  수련생의 딜레마 = 211

  협력적인 연구를 위한 훈련 = 213

  교수진을 위한 수련과 지지 = 218

  앞으로의 과제 = 220

제2부 다양한 소아과 장면에서의 자문 = 223

 제12장 1차치료 장면에서의 소아과심리학의 실제 = 227

  실무 구축하기 = 229

  실무 발전시키기 = 234

  외부 계약들 = 240

  문제점과 극복 = 241

  실무에서 장차 있을 도전 다루기 = 244

 제13장 소아위장학에서의 협동적인 심리학 업무 = 247

  협동적인 실무 모형 = 248

  임상 서비스 = 249

  특정한 의학적 문제에 대한 심리학적 자문 = 250

  협력적 실무문제들 = 253

  협력적 실무의 이익 = 257

  새로운 서비스의 통합 = 259

  앞으로의 과제 = 261

 제14장 청소년의학 클리닉에서의 심리학적 자문 = 263

  청소년의학에서 심리학적 서비스에 대한 요구 = 263

  청소년의학 클리닉에서의 자문 = 265

  협력적인 사안과 문제들 = 273

  앞으로의 과제 = 274

 제15장 가정의학에서의 심리학적 자문 = 277

  장면 기술 = 278

  심리학자들의 활동 = 279

  협동에의 장애물 = 286

 제16장 협력을 위한 새로운 기회 = 289

  협력관계의 발달 = 289

  심리학을 의료 장면에 통합시키려는 도전 = 291

  협력과정에서 일어나는 긴장 다루기 = 292

 제17장 미래의 협력 = 295

  소아과의 노동력과 치료 유형 = 296

  협력을 위한 도전 = 297

  건강관리개혁의 영향 = 299

  미래의 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책략 = 302

  AAP와 APA의 협력 = 305

  프로그램과 전문가 발달의 촉진 = 309

에필로그 = 311

 협력에서 배운 교훈에 대한 고찰 = 311

 심리학자는 소아과 의사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 311

 효과적인 심리학적 자문을 이루는 것은 무엇인가 = 313

 자문과 협력을 오래 유지하기 = 315

참고문헌 = 319

찾아보기 = 34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