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꽃향기를 안고 있는 술
소국주(小菊酒) = 15
녹파주(綠波酒) = 19
점미녹파주(粘米綠波酒) = 23
오병주(五瓦幷酒) = 27
일두육병주(一斗六甁酒) = 31
삼일주(三日酒) = 35
칠일주(七日酒) = 39
우백화주(又白花酒) = 43
우우백화주(又又白花酒) = 47
삼양주(三釀酒) = 51
2부 더위와 갈증을 씻어주는 술
하시주(夏時酒) = 59
일일주(一日酒) = 62
모미주(牟(모)米酒) = 65
하시절품주(夏時節品酒) = 69
감향주(甘香酒) = 73
서향주(暑香酒) = 77
과하주(過夏酒) = 81
하향주(霞香酒) = 85
소주(燒酒) = 88
피모소주(皮牟(모)燒酒) = 93
3부 과실향기를 안고 있는 술
벽향주(碧香酒) = 99
우벽향주(又碧香酒) = 103
약백자주(藥栢子酒) = 107
호도주(胡桃酒) = 111
사시주(四時酒) = 115
백자주(栢子酒) = 120
우모미주(又牟(모)米酒) = 123
우백자주(又栢子酒) = 126
삼두주(三斗酒) = 129
황금주(黃金酒) = 133
4부 첫눈처럼 오랜 기다림을 주는 술
백화주(白花酒) = 141
백오주(百五酒) = 145
죽엽주(竹葉酒) = 149
삼해주(三亥酒) = 153
우삼해주(又三亥酒) = 158
우우삼해주(又又三亥酒) = 163
삼오주(三午酒) = 168
사오주(四午酒) = 174
백일주(百日酒) = 180
우피모소주(又皮牟(모)燒酒) = 185
5부 계절을 담고 있는 술안주
1. 봄내음이 물씬 나는 안주
탕평채 : 소국주 = 192
은행, 호두조림 : 녹파주 = 193
호박눈썹나물, 새우찜 : 점미녹파주 = 194
흰살생선전 : 오병주 = 196
새우구이 : 일두육병주 = 197
파전 : 삼일주 = 198
채소과 : 칠일주 = 199
낙지호롱 : 우백화주 = 200
진구절판 : 우우백화주 = 201
잡채 : 삼양주 = 202
2. 기운을 돋구고 시원함을 주는 안주
수삼냉채 : 하시주 = 204
쭈꾸미 : 일일주 = 205
오징어순대 : 모미주 = 206
모듬쌈밥 : 하시절품주 = 207
해파리냉채 : 감향주 = 208
동태찌개 : 서향주 = 209
도라지정과, 오징어새김(장미), 육포 : 과하주 = 210
북어찜 : 하향주 = 212
생선(민어, 도미)회 : 소주 = 213
도가니탕 : 피모소주 = 214
3. 눈으로 먹는 아름다운 오색 안주
고추김치, 편육 : 벽향주 = 216
장어구이, 백김치 : 우벽향주 = 218
삼색부꾸미, 주악 : 약백자주 = 220
인삼정과, 어물새김(별꽃) : 호도주 = 222
생강정과, 연근정과, 박고지정과, 귤정과 : 사시주 = 224
보쌈 : 백자주 = 227
생태찌개 : 우모미주 = 228
갈비찜, 깍두기, 송이구이 : 우백자주 = 229
버섯, 마 : 삼두주 = 231
단호박고지정과 : 황금주 = 232
4. 수수함과 고급스러움이 조화된 겨울철 안주
신선로 : 백화주 = 234
오이소박이, 배추찜 : 백오주 = 236
갈비찜 : 죽엽주 = 238
육회 : 삼해주 = 239
두텁떡, 찹쌀강정 : 우삼해주 = 240
새우, 굴전 : 우우삼해주 = 243
홍어회 : 삼오주 = 245
배추보쌈 : 사오주 = 246
우엉정과, 곶감오림, 대추초, 약과 : 백일주 = 247
두부전, 굴전, 홍합초 : 우피모소주 =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