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재무행정의 기초
제1장 서론
제1절 재무행정의 개념 = 3
제2절 재무행정 표준영역 = 5
제3절 재무행정의 영역 설정 = 7
제4절 재무행정론의 내용 = 13
제2장 재무행정가와 재무행정조직
제1절 재무행정가 = 16
제2절 재무행정조직 = 20
제3장 각국의 재무행정조직
제1절 삼원체계 국가 = 26
제2절 이원체계 국가 = 32
제3절 일본의 재무행정조직 = 34
제4절 한국의 재무행정조직 = 36
제4장 재무행정 관련법규
제1절 관련법규 개요 = 54
제2절 헌법 = 55
제3절 예산회계법 = 58
제4절 공기업의 예산회계법 = 64
제5절 국회법과 감사원법 = 66
제2편 예산일반론
제1장 예산의 의의
제1절 예산의 게념 = 71
제2절 예산개념의 변천 = 72
제3절 예산과 법률과의 관계 = 78
제2장 예산의 기능
제1절 예산기능의 의의 = 85
제2절 예산기능의 분류 = 86
제3절 우리나라의 분류와 기능의 변화 = 88
제3장 예산의 범위와 통합재정
제1절 예산의 범위 = 93
제2절 통합재정 = 99
제4장 예산의 형식
제1절 각국의 예산형식 = 111
제2절 한국의 예산형식 = 118
제5장 예산의 원칙
제1절 예산원칙의 의의 = 128
제2절 대표적 연구자들 = 130
제3절 전통적 예산원칙: 통제지향적ㆍ입법국가적 예산원칙 = 132
제4절 예산원칙 수정의 근거 = 138
제5절 현대적 예산원칙: 관리지향적ㆍ행정국가적 예산원칙 = 140
제6장 예산의 종류
제1절 의의 = 143
제2절 회계형태별 종류 = 145
제3절 예산성립 내용별 종류 = 154
제4절 예산불성립시의 종류 = 158
제5절 예산기법상 종류 = 160
제7장 예산의 분류
제1절 세입세출예산분류의 개요 = 164
제2절 기능별 분류 = 173
제3절 품목별 분류 = 179
제4절 조직별 분류 = 184
제5절 사업계획별 분류와 활동별 분류 = 189
제6절 경제성질별 분류 = 192
제8장 예산이론
제1절 예산이론의 개요 = 195
제2절 총체주의 예산이론 = 196
제3절 점증주의 예산이론 = 198
제4절 공공선택론 = 200
제5절 미시-거시예산결정 모형 = 203
제3편 예산과정론
제1장 예산과정의 개요
제1절 예산과정의 의의 = 211
제2절 예산과정과 회계연도 = 216
제3절 예산과정의 환경 및 참여자 = 220
제2장 예산의 편성
제1절 예산편성의 의의 = 227
제2절 예산편성의 절차 = 229
제3절 각국의 예산편성 = 234
제4절 한국의 예산편성 = 249
제3장 예산의 심의
제1절 예산심의의 의의 = 255
제2절 예산심의제도 = 256
제3절 예산심의의 결정요인 = 260
제4절 예산심의의 관련집단과 그 행태 = 263
제5절 각국의 예산심의 = 266
제6절 한국의 예산심의 = 281
제4장 예산의 집행
제1절 예산집행의 의의 = 289
제2절 각국의 예산집행 = 293
제3절 한국의 예산집행 = 306
제5장 예산의 종료
제1절 예산의 종료 = 326
제2절 결산 = 327
제3절 우리나라의 결산제도 = 329
제4절 회계검사 = 334
제5절 OECD국가의 감사원 비교 = 342
제6절 한국의 회계검사기관 = 349
제7절 우리나라 회계검사의 발전방향 = 356
제8절 국회의 결산심사 = 360
제4편 예산개혁론
제1장 예산개혁의 개요
제1절 예산개혁의 개념 = 367
제2절 예산계혁을 위한 각국의 시도 = 369
제3절 예산개혁의 지향 = 374
제2장 품목별예산제도(LIB)
제1절 품목별예산제도의 의의 = 380
제2절 품목별예산제도의 효용성과 문제점 = 382
제3절 한국의 품목별예산제도 = 384
제3장 성과주의예산제도(PB)
제1절 성과주의예산제도의 의의 = 386
제2절 성과주의예산제도의 발전 = 388
제3절 성과주의예산제도의 효용성과 문제점 = 394
제4장 계획예산제도(PPB)
제1절 계획예산제도(PPB)의 의의 = 397
제2절 계획예산제도(PPB)의 발전 = 400
제3절 계획예산제도(PPB)의 운영 = 403
제4절 계획예산제도(PPB)의 효용성과 문계점 = 408
제5절 PPB와 MBO = 411
제5장 영기준예산제도(ZBB)
제1절 영기준예산제도(ZBB)의 의의 = 414
제2절 영기준예산제도(ZBB)의 발달과정 = 417
제3절 영기준예산제도(ZBB)의 운영 = 422
제4절 영기준예산제도(ZBB)의 효용성과 문제점 = 425
제5절 일몰법과 ZBB = 428
제6장 성과예산
제1절 성과예산 추진경과 = 430
제2절 성과예산 현황: 프로그램 예산체계 = 431
제3절 성과예산의 의미 = 433
제4절 성과예산의 필요성 = 435
제5편 조달행정론
제1장 조달행정 개요
제1절 조달행정의 의의와 중요성 = 441
제2절 조달행정의 특성 = 444
제3절 구매제도 = 446
제4절 효과적 조달행정의 요건 = 450
제2장 각국의 조달행정
제1절 미국 = 452
제2절 영국 = 455
제3절 캐나다 = 457
제4절 일본 = 460
제3장 우리나라의 조달행정
제1절 조달행정기구 = 462
제2절 구매절차 = 466
제3절 우리나라의 조달행정환경의 변화 = 470
제4절 조달행정의 발전방향 = 474
제4장 비축행정
제1절 비축행정의 의의 = 477
제2절 비축행정의 필요성 = 478
제3절 비축의 종류 = 478
제4절 우리나라 비축행정 현황 = 479
부록 = 483
1. 정부회계의 개혁 및 변화 = 485
2. 우리나라 정부의 재정정보시스템 = 504
3. 2005년 XX시 도서관 예산 공문 = 509
참고문헌 = 517
색인 =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