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재무행정론 개정판

재무행정론 개정판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황윤원 黃潤元 김성철 金聖徹
Title Statement
재무행정론 / 황윤원 , 김성철 공저.
판사항
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法文社 ,   2005.  
Physical Medium
xxx, 530 p. ; 26 cm.
ISBN
8918022433
General Note
부록: 1. 정부회계의 개혁 및 변화 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17-525), 색인수록
000 00646namccc200241 k 4500
001 000045208463
005 20100806083916
007 ta
008 051125s2005 ggk b 001a kor
020 ▼a 8918022433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2.4 ▼2 22
090 ▼a 352.4 ▼b 2005b
100 1 ▼a 황윤원 ▼g 黃潤元 ▼0 AUTH(211009)62796
245 1 0 ▼a 재무행정론 / ▼d 황윤원 , ▼e 김성철 공저.
250 ▼a 개정판
260 ▼a 파주 : ▼b 法文社 , ▼c 2005.
300 ▼a xxx, 530 p. ; ▼c 26 cm.
500 ▼a 부록: 1. 정부회계의 개혁 및 변화 외
504 ▼a 참고문헌(p. 517-525), 색인수록
700 1 ▼a 김성철 ▼g 金聖徹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4 2005b Accession No. 1113398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4 2005b Accession No. 1113398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황윤원(지은이)

전,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국행정연구원 원장 청와대 사회정책비서관 중앙대학교 부총장, 대외협력본부장, 산학협력단장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장, 국가정책연구소장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국무총리실 정책평가위원회 제도운영위원장 대통령소속 지방이양추진위원회 위원 중앙인사위원회 정책자문위원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책자문위원 감사원 재정.금융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 문화재위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및 감사 통일문제연구협의회 공동의장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영국 런던정경대 연구교수 한국행정학회 이사.감사.연구이사.총무이사 한국정책학회 운영이사.연구이사 한국정치학회 이사 한국지방재정학회 국제학술이사 경실련 예산감시위원장 입법고시.행정고시.외무고시 출제 및 채점위원 중앙공무원교육원, 지방행정연수원, 서울시공무원교육원 등 강사 KBS 객원해설위원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부회장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위원장 현,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 한국조세연구원, 국회예산정책처 자문위원 [주요 저서 및 논문] <관민협력사업>. OECD. 2010. (역서) <재무행정론>. 법문사. 2005. (공저) <정부개혁론>. 박영사. 2003. (공저) <싱크탱크와 국가경쟁력>. 나남출판사. 2003. (공저) <한국과 중국의 공공부문 개혁>. KIPA. 2001. (공저) <지방재정학>. 박영사. 1997. (공저) <재무행정론>. 법문사. 1996. <지방재정론>. 대영문화사. 1994. (공저) <정보화와 정치과정>. 비봉출판사. 1993. (공저) <공공정책의 결정요인분석>. 법문사. 1993. (공저) <정책학의 주요 이론>. 경세원. 1993. (공저) <행정학의 주요 이론>. 법문사. 1993. (공저) 「정책결정과정에서의 민간싱크탱크 역할과 발전방안 연구」(2009), 「우리나라 정당 싱크탱크의 현황과 전망」(2008), 「새 정부의 국정기조와 정책과제 분석」(2007), 「정부부문 싱크탱크의 실태분석과 발전방향」(2006), 「21세기 국정운영시스템의 변화방향」(2001), 「Strategies for Implementing Intergovernmental Transfers to Foster local Development in Korea」(2009) 등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편 재무행정의 기초
 제1장 서론
  제1절 재무행정의 개념 = 3
  제2절 재무행정 표준영역 = 5
  제3절 재무행정의 영역 설정 = 7
  제4절 재무행정론의 내용 = 13
 제2장 재무행정가와 재무행정조직
  제1절 재무행정가 = 16
  제2절 재무행정조직 = 20
 제3장 각국의 재무행정조직
  제1절 삼원체계 국가 = 26
  제2절 이원체계 국가 = 32
  제3절 일본의 재무행정조직 = 34
  제4절 한국의 재무행정조직 = 36
 제4장 재무행정 관련법규
  제1절 관련법규 개요 = 54
  제2절 헌법 = 55
  제3절 예산회계법 = 58
  제4절 공기업의 예산회계법 = 64
  제5절 국회법과 감사원법 = 66
제2편 예산일반론
 제1장 예산의 의의
  제1절 예산의 게념 = 71
  제2절 예산개념의 변천 = 72
  제3절 예산과 법률과의 관계 = 78
 제2장 예산의 기능
  제1절 예산기능의 의의 = 85
  제2절 예산기능의 분류 = 86
  제3절 우리나라의 분류와 기능의 변화 = 88
 제3장 예산의 범위와 통합재정
  제1절 예산의 범위 = 93
  제2절 통합재정 = 99
 제4장 예산의 형식
  제1절 각국의 예산형식 = 111
  제2절 한국의 예산형식 = 118
 제5장 예산의 원칙
  제1절 예산원칙의 의의 = 128
  제2절 대표적 연구자들 = 130
  제3절 전통적 예산원칙: 통제지향적ㆍ입법국가적 예산원칙 = 132
  제4절 예산원칙 수정의 근거 = 138
  제5절 현대적 예산원칙: 관리지향적ㆍ행정국가적 예산원칙 = 140
 제6장 예산의 종류
  제1절 의의 = 143
  제2절 회계형태별 종류 = 145
  제3절 예산성립 내용별 종류 = 154
  제4절 예산불성립시의 종류 = 158
  제5절 예산기법상 종류 = 160
 제7장 예산의 분류
  제1절 세입세출예산분류의 개요 = 164
  제2절 기능별 분류 = 173
  제3절 품목별 분류 = 179
  제4절 조직별 분류 = 184
  제5절 사업계획별 분류와 활동별 분류 = 189
  제6절 경제성질별 분류 = 192
 제8장 예산이론
  제1절 예산이론의 개요 = 195
  제2절 총체주의 예산이론 = 196
  제3절 점증주의 예산이론 = 198
  제4절 공공선택론 = 200
  제5절 미시-거시예산결정 모형 = 203
제3편 예산과정론
 제1장 예산과정의 개요
  제1절 예산과정의 의의 = 211
  제2절 예산과정과 회계연도 = 216
  제3절 예산과정의 환경 및 참여자 = 220
 제2장 예산의 편성
  제1절 예산편성의 의의 = 227
  제2절 예산편성의 절차 = 229
  제3절 각국의 예산편성 = 234
  제4절 한국의 예산편성 = 249
 제3장 예산의 심의
  제1절 예산심의의 의의 = 255
  제2절 예산심의제도 = 256
  제3절 예산심의의 결정요인 = 260
  제4절 예산심의의 관련집단과 그 행태 = 263
  제5절 각국의 예산심의 = 266
  제6절 한국의 예산심의 = 281
 제4장 예산의 집행
  제1절 예산집행의 의의 = 289
  제2절 각국의 예산집행 = 293
  제3절 한국의 예산집행 = 306
 제5장 예산의 종료
  제1절 예산의 종료 = 326
  제2절 결산 = 327
  제3절 우리나라의 결산제도 = 329
  제4절 회계검사 = 334
  제5절 OECD국가의 감사원 비교 = 342
  제6절 한국의 회계검사기관 = 349
  제7절 우리나라 회계검사의 발전방향 = 356
  제8절 국회의 결산심사 = 360
제4편 예산개혁론
 제1장 예산개혁의 개요
  제1절 예산개혁의 개념 = 367
  제2절 예산계혁을 위한 각국의 시도 = 369
  제3절 예산개혁의 지향 = 374
 제2장 품목별예산제도(LIB)
  제1절 품목별예산제도의 의의 = 380
  제2절 품목별예산제도의 효용성과 문제점 = 382
  제3절 한국의 품목별예산제도 = 384
 제3장 성과주의예산제도(PB)
  제1절 성과주의예산제도의 의의 = 386
  제2절 성과주의예산제도의 발전 = 388
  제3절 성과주의예산제도의 효용성과 문제점 = 394
 제4장 계획예산제도(PPB)
  제1절 계획예산제도(PPB)의 의의 = 397
  제2절 계획예산제도(PPB)의 발전 = 400
  제3절 계획예산제도(PPB)의 운영 = 403
  제4절 계획예산제도(PPB)의 효용성과 문계점 = 408
  제5절 PPB와 MBO = 411
 제5장 영기준예산제도(ZBB)
  제1절 영기준예산제도(ZBB)의 의의 = 414
  제2절 영기준예산제도(ZBB)의 발달과정 = 417
  제3절 영기준예산제도(ZBB)의 운영 = 422
  제4절 영기준예산제도(ZBB)의 효용성과 문제점 = 425
  제5절 일몰법과 ZBB = 428
 제6장 성과예산
  제1절 성과예산 추진경과 = 430
  제2절 성과예산 현황: 프로그램 예산체계 = 431
  제3절 성과예산의 의미 = 433
  제4절 성과예산의 필요성 = 435
제5편 조달행정론
 제1장 조달행정 개요
  제1절 조달행정의 의의와 중요성 = 441
  제2절 조달행정의 특성 = 444
  제3절 구매제도 = 446
  제4절 효과적 조달행정의 요건 = 450
 제2장 각국의 조달행정
  제1절 미국 = 452
  제2절 영국 = 455
  제3절 캐나다 = 457
  제4절 일본 = 460
 제3장 우리나라의 조달행정
  제1절 조달행정기구 = 462
  제2절 구매절차 = 466
  제3절 우리나라의 조달행정환경의 변화 = 470
  제4절 조달행정의 발전방향 = 474
 제4장 비축행정
  제1절 비축행정의 의의 = 477
  제2절 비축행정의 필요성 = 478
  제3절 비축의 종류 = 478
  제4절 우리나라 비축행정 현황 = 479
부록 = 483
 1. 정부회계의 개혁 및 변화 = 485
 2. 우리나라 정부의 재정정보시스템 = 504
 3. 2005년 XX시 도서관 예산 공문 = 509
참고문헌 = 517
색인 = 52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정창수 (2022)
김대현 (2022)
조대엽 (2022)
한국. 인사혁신처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