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개론
제1장 서론 = 3
제1절 본서의 목적 = 3
제2절 선행연구 = 4
1. 선행 연구의 내용 = 4
1.1 분석의 틀을 만들어 적용해 본 것 = 5
1.2 분야별 행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한 것 = 8
1.3 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 9
1.4 교과서 검토와 단행본 해제 = 12
1.5 실증적 연구의 정리 = 15
1.6 총괄적 검토와 평가 = 16
2. 선행 연구의 평가 = 18
제3절 본서의 구성 = 19
참고문헌 = 22
제2장 행정학의 도입과 발달: 개관 = 24
제1절 행정학의 도입과 발전 = 24
제2절 국가발전과 행정학 = 27
제3절 한국 행정학 연구에 관한 성찰 = 29
제4절 행정학 연구 성과의 체계화 노력 = 34
제5절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 36
참고문헌 = 39
제3장 한국 정부론 = 41
제1절 한국 행정학과 정부론 = 41
1. 한국 행정학에서의 정부론의 위치 = 41
2. 정치적 유산 및 장애와 근대화 노력 = 43
3. 자유 민주주의 대의 정치체제 = 45
4. 정치적 역할과 행정적 역할 간의 관계 = 47
제2절 정치체제와 정부론 = 50
1. 국회와 행정부 간의 관계 = 50
2. 대통령과 국무총리 = 52
3. 국무회의 = 55
4. 행정 각부 = 56
5. 정책형성과 집행 = 57
제3절 조직론 = 58
1. 최고 관리층 = 59
2. 고전적 조직원리 = 60
제4절 인사행정론 = 61
1. 한국 인사행정의 연혁 = 61
2. 정부운영을 위한 실적주의 = 64
제5절 예산론 = 66
1. 예산서의 분석적 내용 = 68
2. 정치ㆍ행정의 제도적 맥락 = 69
3. 회계 및 관리정보체계 = 71
제6절 지방정부론 = 71
제7절 국제관계와 남북관계 = 74
참고문헌 = 76
제2편 사회과학방법론과 행정학
제4장 국가성격의 변화와 행정이론 = 81
제1절 정치체제의 역사, 제도 및 이론 간의 상호작용 = 81
제2절 시대정신의 변화와 한국의 근대행정 100년 = 82
1. 모더니티와 포스트 모더니티 = 82
2. 한국의 근대행정 100년 = 84
3. 근대화와 세계화 = 86
제3절 한국 행정의 정치사회학 = 87
1. 행정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조건 = 87
2. 한국의 사회변화에 관한 견해 = 88
3. 시대별 규제의 성격 = 93
제4절 자본주의 국가의 제도적 논리 = 94
1. 제도적 논리의 특성과 갈등 = 94
2. 민주주의와 관료제 = 95
3. 민주주의 및 관료제와 자본주의 = 98
4. 시대별 제도적 논리의 특징 = 102
제5절 국가기능의 변화와 행정이론 = 103
1. 서양에 있어서의 국가개념의 형성과 자유방임주의 = 105
2. 광의의 복지국가시대의 행정이론 = 105
3. 국가 재편성기의 견해 = 106
4. 국가, 정책, 그리고 행정학자 간의 관계의 변화 = 107
5. 사회과학방법론의 변화 = 108
6. 시대별 행정이론의 특징 = 109
참고문헌 = 111
제5장 사회과학방법론과 행정학 = 114
제1절 방법론 검토의 필요성 = 114
제2절 행정학의 연구지향과 철학적 배경 = 117
제3절 주류 사회과학방법론과 행정학 = 118
1. 주류 사회과학방법론의 요지 = 119
1.1 가치중립성 = 120
1.2 과학활동의 내용 = 121
1.3 개념과 정의 = 124
1.4 이론과 모형 = 126
1.5 과학적 설명과 예측 = 131
1.6 방법론적 개인주의와 형이상학적 신비주의 = 133
2. 사회과학 연구의 목적과 방법론에 대한 이견 = 134
3. 연역적-법칙적 설명논증과 그에 대한 비판 = 136
4. 설명유형의 추구 = 137
제4절 해석학 = 138
1. 이해와 해석 = 138
2. 해석의 의미와 목적 = 140
3. 해석학의 유형들 = 141
4. 한국 행정학자의 견해 = 142
제5절 비판이론 = 144
1.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 = 144
2. 해석학에 대한 비판 = 146
3. 비판사회이론의 성격 = 147
4. 비판이론에 관한 한국 행정학의 관심 = 148
참고문헌 = 151
제6장 행정이론의 분석수준과 맥락단계 = 154
제1절 분석수준과 맥락단계 = 155
1. 분석수준과 고유영역 = 155
1.1 분석수준 = 155
1.2 이론적 시각과 고유영역 = 155
1.3 이론적 시각과 분석수준 = 158
2. 지식과 정보의 맥락단계 = 158
제2절 행정이론의 분석수준과 맥락단계 = 161
1. 행정학 연구의 목적과 방법 = 161
2.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부합하는 분석수준과 맥락단계 = 162
3. 행정학의 연구목적과 방법 및 행정이론의 분석수준과 맥락단계 = 165
3.1 전통적 행정학의 과학주의 부분 = 165
3.2 해석학적 행정이론 = 167
3.3 비판적 행정이론 = 169
제3절 분석수준과 맥락단계의 시대적 변화 = 169
참고문헌 = 172
제3편 한국 행정이론의 구조
제7장 고전적(전통적) 행정이론 = 177
제1절 전통적 행정이론의 성격 = 177
1. 전통적 행정학의 연구방법과 실증주의 = 178
2. 실증적ㆍ경험적 행정이론의 분석수준과 맥락단계 = 179
제2절 이론의 수용과 발전 = 181
1. 행정학의 형성기-외생적 기원과 법학 = 181
2. 받아들인 "패러다임" = 182
3. 이론발전과 검증 = 184
4. 토착화를 위한 노력 = 185
5. 독자적 이론구성 노력 = 188
6. 새로운 패러다임 찾기의 계속 = 190
제3절 행정학 분야별 실증적ㆍ경험적 연구 = 194
1. 행정학 이론 = 194
2. 조직론 = 196
3. 인사행정론 = 199
4. 재무행정론 = 200
5. 지방행정 = 201
제4절 주요 관심분야의 연구 = 204
1. 발전론 = 204
1.1 국가발전과 행정발전 = 204
1.2 발전행정론 = 205
2. 관료부패와 병리 = 208
3. 행정개혁 = 211
참고문헌 = 217
제8장 해석학과 행정이론 = 221
제1절 해석학적 행정이론의 성격 = 221
1. 해석학에 대한 관심 = 221
1.1 해석학 = 222
1.2 해석학적 행정학의 연구방법 = 225
2. 해석학적 행정이론의 분석수준과 맥락단계 = 227
제2절 행정사와 행정사상 = 229
1. 행정사 = 229
2. 행정사상과 전통적 행정문화 = 231
제3절 행정문화 = 235
제4절 철학, 가치 및 행정윤리 = 243
참고문헌 = 248
제9장 비판이론과 행정이론 = 252
제1절 비판이론 = 252
1. 비판이론 = 252
2. 비판사회이론 = 253
2.1 모순, 변증법 및 변화 = 254
2.2 비판적 이성과 상상 = 255
2.3 해방과 자결권 = 256
제2절 비판이론과 행정이론 = 256
1. 비판적 행정이론의 성격 = 256
1.1 비판적 행정이론 = 256
1.2 비판적 행정학의 연구방법 = 258
1.3 비판적 행정이론의 분석수준과 맥락단계 = 260
2. 거시 행정이론 = 261
2.1 행정체제론 = 261
2.2 신제도주의 = 263
2.3 거버넌스론 = 270
참고문헌 = 278
제10장 포스트 모더니티의 행정이론 = 281
제1절 서론 = 281
1. 포스트 모더니티의 행정이론의 대두 배경 = 281
2. 행정이론의 다양성 = 282
제2절 모더니티의 행정이론 = 283
1. 모더니티 = 283
2. 모더니티의 사회과학 = 284
3. 모더니티의 행정이론과 그 한계 = 285
제3절 포스트 모더니티의 행정이론 = 287
1. 포스트 모더니티 = 287
2. 포스트 모더니티의 행정이론 = 288
2.1 포스트 모더니티의 행정이론 = 288
2.2 담론 이론 = 290
3. 포스트 모더니티의 행정이론의 분석수준과 맥락단계 = 290
제4절 한국 행정학계와 포스트 모더니티의 행정이론 = 291
참고문헌 = 293
제11장 정책연구 = 294
제1절 행정학의 연구논리와 정책연구 = 294
1. 행정학의 연구논리 = 294
2. 정책의 성격과 해결양식 = 297
2.1 정책 환경 = 297
2.2 정책문제 = 298
2.3 분석도구 = 298
2.4 분석양식 = 299
3. 행정학의 연구논리와 정책연구 = 300
제2절 한국의 정책학 연구 = 303
1. 시대별ㆍ연구방법별 연구경향 = 303
2. 정책결정의 주요변수와 정책결정과정 = 305
2.1 정책 환경 = 306
2.2 정책결정구조 = 307
2.3 정책결정의 참여자 = 308
2.4 정책의제 설정 = 310
2.5 정책결정 모형 = 310
3. 정책분야별 연구경향 = 311
참고문헌 = 313
국문색인 = 315
영문색인 =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