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제1부 소비문화이론
제1장 소비ㆍ소비자사회ㆍ소비문화 = 13
1. 소비자사회, 대중소비사회 = 13
2. 소비는 문화인가 = 17
3. 소비자문화 형성에 관한 이론 = 20
4. 소비자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 24
제2장 소비문화이론들 = 31
1. 모스와 바타이유 = 32
2. 다글러스와 이셔우드 = 34
3. 베블렌 = 36
4. 좀바르트 = 44
5. 매크래캔 = 45
1) 로이스 로젯 = 45
2) 전치된 의미로서의 소비 = 49
6. 짐멜 = 54
7. 보들리야르 = 56
1) 대상들의 체계 = 56
2) 소비의 의미 = 59
3) 시뮬라시옹 = 60
8. 부르디외 = 61
1) 차별성에 대한 관심 = 61
2) 네 가지 유형의 자본 = 62
3) 취향과 구별짓기 = 63
제2부 소비문화 코드
제3장 소비자 집단 문화 코드 = 71
1. 청소년 소비문화 = 71
1) 소비로 본 청소년 = 72
2) 청소년의 표상 - X, Y, Z, N = 73
3) 청소년 소비문화의 특징 = 77
4) '방'문화 : 나혼자서, 우리들 끼리만 = 80
5) 청소년 소비문화 비판 = 81
6) 1318세대 = 86
2. 성(Gender), 가족, 소비 = 93
1) 소비의 역사적 변화와 성(gender) = 93
2) 포스트모더니즘, 여성과 남성, 광고 = 94
3) 술, 남성 = 102
4) 현대 소비문화에서 가족이 차지하는 위치 = 111
5) 소비문제와 가족문제 = 114
6) 소비문화를 창조하는데 있어서 가족의 역할 = 119
3. 노인 소비자 문화 = 121
1) 노인소비자에 대한 정의 = 122
2) 노인들의 소비자행동에 대한 여러 견해들 = 125
3) 노인 소비자 유형과 라이프 스타일 = 127
4) 노인 소비자의 행동 = 130
제4장 웰빙ㆍ친환경 소비 문화코드 = 137
1. 건강과 웰빙소비문화 = 137
1) 웰빙 = 137
2) 웰빙 트렌드의 부상 원인 = 140
3) 웰빙 소비자 = 142
4) 웰빙 트렌드 = 143
2. LOHAS와 환경친화적 소비 = 149
1) 미국의 웰빙, 로하스 = 149
2) 환경친화적 소비 = 153
3. 명품소비(고급소비) = 168
1) 명품소비 = 168
2) 고급소비에 대한 이중 잣대 = 171
3) 고급소비에 대한 접근모델 = 173
4) 고급 소비자 유형 = 178
5) 매스티지 = 183
제5장 대중 소비 문화 코드 = 191
1. 외모지상주의 = 191
1) 루키즘의 부상 = 191
2) 외모가꾸기 행동 = 193
3) 메트로섹슈얼리티 = 197
4) 성형수술 = 199
2. 인터넷 소비 문화 = 201
1) 인터넷 사용 패턴 = 201
2) 인터넷 시대의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 205
3. 결혼소비문화 = 219
1) 결혼? 사회문제로 봐야 할 것인가 = 219
2) 한국인의 혼례비용, 과소비인가 = 221
3) 과도한 혼례비용의 원인 = 225
4) 우리의 결혼식에는 문화가 없다 = 228
5) 건전한 혼례문화에 대한 제안 = 230
제3부 소비문화를 읽는 방법
제6장 양적 연구 방법 = 237
1. 실증주의 연구방법에서의 소비자에 대한 시각 = 237
1) 소비자는 합리적이고 선형적인 방법으로 생각한다 = 237
2) 소비자는 기꺼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 = 238
3) 마음, 뇌, 신체, 주변 문화와 사회에 개별적으로 접근할 때 소비자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 238
4) 소비자들의 기억은 경험을 정확하게 반영한다 = 239
5) 소비자는 언어로 생각한다 = 239
2. 2차 자료 분석 = 240
1) 2차 자료 분석이란 = 240
2) 자료의 종류 = 240
3) 내용 분석법 = 241
4) 외삽법 = 246
3. 질문지 조사법 = 251
1) 질문지조사법의 정의 = 251
2) 질문지의 구성 = 252
3) 표본의 추출 = 255
4) 자료의 질을 높이는 방법 = 262
제7장 질적 연구 방법 = 269
1. 참여 관찰 = 270
1) 참여관찰의 목적 = 271
2) 참여관찰의 장점 = 271
3) 참여관찰에서 주의해야할 사항 = 273
4) 거리문화 접근 방법 = 275
2. 심층 면접과 초점집단 연구 = 280
1) 인터뷰의 성격 = 280
2) 성공적인 인터뷰 전략 = 280
3) 인터뷰 질문하기 = 282
4) 초점집단연구 = 284
3. 생활교차분석 = 288
1) 생활교차분석의 과정 = 289
2) 생활교차분석 내용 = 290
3) 사례 - 미래주의 마케팅 회사 '브레인 리저브' = 290
4. ZMET = 293
1) 개발 배경 = 293
2) ZMET 진행과정 = 294
5. 기타 분석 기법 = 297
1) 사다리기법 = 297
2) 전문가 활용법 = 298
6. 질적 자료의 기록 및 분석과정 = 304
1) 기록 : 문자, 구술, 사진, 영상 = 304
2) 기록의 종류 = 305
3) 질적 연구의 기술, 분석 및 해석 절차 = 308
제4부 한국인의 트렌드
제8장 한국의 과소비 문화 = 319
1. 과소비란 어느 정도 이상의 소비를 의미하는가 = 319
2. 과소비는 추방되어야 마땅하다 = 324
3. 과시소비, 보상소비, 충동구매, 구매중독중 = 326
1) 과시소비 = 326
2) 보상소비 = 328
3) 충동구매 = 329
4) 중독구매 = 330
4. 한국의 과소비문화적 특성 = 331
제9장 한국인의 소비 트렌드 = 335
1. 한국인 트렌드 = 335
1) 우리 사회의 지형도를 바꿀 새로운 흐름들 = 335
2) 성공의 꿈과 욕망이 빚은 자본주의적 트렌드 = 337
3) 오래된 과거를 깨고 나오는 한국인 = 338
2. 한국의 15대 소비트렌드 = 341
3. 한국 소비 시장 구조를 읽는 12개의 코드 = 344
4. 하위문화를 형성하는 소비자 집단 = 349
1) 보보스족 = 349
2) 네오 싱글족 = 352
3) 딩크족 = 352
4) '여성성+남성성' 메트로섹슈얼족 = 352
5) WINE 세대 = 353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