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국제무대와 전쟁
제1절 국제무대의 현주소 = 13
제2절 전쟁의 발발과정과 원인에 대한 접근방법 = 19
제3절 전쟁의 발발과정과 원인의 분석방향 = 26
제2장 국제정치의 패러다임
제1절 국제정치의 패러다임 = 36
1. 자유주의 = 36
2. 현실주의 = 40
3. 신자유주의 = 44
4. 신현실주의 = 48
5. 구조주의 = 54
제2절 각 패러다임의 비교 = 59
1.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 = 59
2. 현실주의와 신현실주의 = 60
3. 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 61
4.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 62
5. 구조주의와 현실주의 및 자유주의 = 64
제3절 각 패러다임의 검토 = 67
1.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 = 67
2. 현실주의에 대한 비판 = 68
3.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 = 71
4. 신현실주의에 대한 비판 = 74
5.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 = 76
제4절 신패러다임의 제안 ‘현대현실주의’ = 78
1. 현실주의 대 자유주의 = 78
2. 현실주의 대 신자유주의 = 85
3. 현실주의 대 신현실주의 및 구조주의 = 92
제3장 전쟁에 대한 기본개념정립
제1절 전쟁의 본질 = 101
1. 전쟁의 정의 = 102
2. 전쟁의 목적 = 107
3. 전쟁을 수행하는 방법 = 115
4. 전쟁의 결과 = 119
제2절 전쟁의 형태 = 123
1. 전면전쟁 = 124
2. 제한전쟁 = 132
3. 혁명전쟁 = 136
4. 핵전쟁 = 140
제3절 전쟁의 정당성 = 149
1. 20세기 이전의 전쟁관 = 150
1) 선사 = 150
2) 고대 = 151
3) 중세 = 153
4) 근대Ⅰ = 155
5) 근대Ⅱ = 157
2. 20세기 이후의 전쟁관 = 159
1) 국제연맹규약 = 159
2) 로카르노조약 = 162
3) 브리앙 - 켈로그조약 = 163
4) 국제연합헌장 = 165
3. 정당한 전쟁의 현주소 = 168
1) 국제연맹 = 168
2) 국제연합 = 174
제4장 전쟁의 발발과정
제1절 갈등 = 182
1. 갈등의 개념 및 본질 = 182
2. 갈등의 유형 : 갈등의 수준 = 186
1) 개인의 심리적 갈등 = 186
2) 집단간 갈등 = 190
3) 국가간 갈등 = 194
3. 국가간 갈등의 형태 = 198
1) 싸움 : 준자동적 형태의 갈등 = 198
2) 게임 : 전략에 의해 특징 지워지는 합리적 갈등 = 200
3) 토론 : 이미지와 동기의 변화를 허용하는 대결 = 201
제2절 분쟁 = 204
1. 분쟁의 개념 및 본질 = 205
2. 분쟁의 쟁점 = 209
1) 영토분쟁 = 209
2) 정부구성과 관련된 분쟁 = 211
3) 국가의 명예를 위한 분쟁 = 212
4) 지역적 제국주의로 인한 분쟁 = 214
5) 체면의 유지ㆍ확장과 관련된 분쟁 = 215
3. 분쟁당사국의 태도 = 218
4. 분쟁당사국의 행동 = 220
제3절 무력충돌 = 223
1. 무력시위 = 224
1) 무력시위의 정의 = 224
2) 중ㆍ소국의 무력시위 = 224
3) 강대국의 무력시위 = 226
2. 테러 = 229
1) 테러의 정의 = 229
2) 테러조직의 특징 = 235
3) 테러의 방법 = 239
3. 전복 = 251
1) 전복의 정의 = 251
2) 체코에서 나치의 전복활동 = 252
3) 칠레에서 미국의 전복활동 = 254
4. 게릴라전 = 258
1) 게릴라전의 정의 = 258
2) 게릴라전의 역사 = 260
3) 게릴라전의 특성 = 264
5. 군사개입 = 266
1) 군사개입의 정의 = 266
2) 미군의 베트남 파견 = 267
3) 소련ㆍ동독ㆍ폴란드ㆍ헝가리ㆍ불가리아의 체코침공 = 272
제4절 갈등ㆍ분쟁ㆍ무력충돌의 해결 = 275
1. 단독해결 = 276
1) 화해 = 276
2) 사법적 해결 = 277
3) 회피 = 280
4) 복종 혹은 억지 = 280
2. 양자간 해결 = 282
1) 타협 = 282
2) 자동해결 = 284
3. 다자간 해결 = 285
1) 억제와 철회 = 285
2) 중개 = 290
3) 조정 = 293
4) 중재 = 296
5) 사실조사 = 301
제5장 전쟁의 원인
제1절 인간의 공격성과 전쟁 = 305
1. 맥두갈의 본능이론 = 313
2. 프로이드의 죽음본능이론 = 314
3. 로렌츠의 공격본능이론 = 322
4. 프롬의 공격성이론 = 329
5. 돌라드의 좌절-공격이론 = 335
6.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 340
7. 볼딩의 이미지론 = 345
1) 거울이미지 = 347
2) 편견과 고정관념 = 349
3) 오인 = 351
4) 적개심 = 354
5) 인식의 불일치 = 356
6) 갈등의 악순환 = 359
제2절 국가의 정권형태와 전쟁 = 360
1. 19세기 자유주의자들의 국가조직 특성이론 = 374
1) 국내정치관 = 374
2) 국제정치관 = 379
2. 럼멜의 자유주의이론 = 384
3. 홉슨의 제국주의 전쟁이론 = 391
4. 레닌의 제국주의 전쟁이론 = 394
5. 로제나우의 연계이론 = 402
제3절 국제체제의 특성과 전쟁 = 409
1. 오간스키의 힘의 변화이론 = 419
2. 라고스ㆍ갈퉁ㆍ럼멜의 계층ㆍ위계이론 = 431
3. 럼멜의 균형이론 = 437
4. 월츠의 세력균형이론 = 443
5. 모겐소의 세력균형이론 = 450
6. 카플란의 체제이론 = 462
7. 월러스타인의 세계체제론 = 471
8. 모델스키의 세계체제론 = 479
9. 길핀의 패권전쟁론과 토인비의 전쟁ㆍ평화의 주기론 = 486
1) 패권전쟁론 = 487
2) 전쟁과 평화의 주기론 = 492
10. 리차드슨의 군비경쟁이론 = 494
제4절 전쟁의 원인과 평화의 조건 = 501
1. 전쟁의 원인에 대한 분석 = 501
2. 각 분석수준의 한계 = 506
3. 전쟁의 원인에 관한 효용성 극대화 방향의 모색 = 511
4. 평화의 조건 = 517
1) 세 분석수준에서 도출되는 평화안의 한계 = 517
2) 국제체제를 통한 평화 = 523
제6장 전쟁과 평화
제1절 전쟁에 대한 종합적 평가 = 547
제2절 국제체제의 전망 = 553
1. 국제정치체제 = 553
2. 국제경제체제 = 558
참고문헌 =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