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편 거시경제학의 기초
제1장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1.1 거시경제학의 주요 문제 = 5
장기성장과 성장잠재력 = 5
경기순환 = 6
실업 = 7
인플레이션 = 8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 9
화폐와 경제성장 = 10
통화와 인플레이션 = 12
재정적자와 국가채무 = 13
국제수지와 환율 = 14
1.2 거시경제 안정화정책 = 16
1.3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18
1.4 거시경제이론의 변천과정 = 19
논쟁의 핵심 = 19
거시경제학의 변천과정 = 19
1.5 경제이론과 현실 그리고 정책 = 23
1.6 본서의 구성 = 23
제2장 거시경제활동의 측정
2.1 상품시장 = 26
국내총생산 = 26
GDP 항등식 = 29
실질 GDP = 31
물가수준 = 34
2.2 금융시장 = 36
금융시장이란 무엇인가? = 36
화폐 = 37
포트폴리오 = 41
이자율 = 41
증권시장 = 47
민간부문의 순부 = 48
2.3 노동시장 = 49
2.4 외환시장 = 51
제2장 요약 = 51
2편 거시경제 모형
제3장 가격 신축성과 거시경제 모형
3.1 거시경제학의 두 흐름 = 56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 = 56
3.2 모형의 기본구조 = 61
총공급 = 62
총수요 = 63
경제의 균형 = 64
총공급의 변화 = 64
총수요의 변화 = 65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 68
3.3 총공급과 노동시장 = 69
생산함수 = 70
노동에 대한 수요 = 70
노동의 공급 = 74
노동시장의 균형과 생산량의 결정 = 80
임금의 신축성과 자발적 실업 = 80
임금의 경직성과 비자발적 실업 = 81
총공급곡선의 도출 = 82
3.4 총수요와 IS/LM 모형 = 86
재화시장의 균형과 IS곡선 = 86
화폐시장의 균형과 LM곡선 = 90
경제와 균형과 조정과정 = 94
경제정책의 효과 = 97
총수요곡선의 도출 = 109
IS/LM 모형의 문제점 = 111
화폐수량설 = 112
3.5 경제의 균형과 조정과정 = 119
경제의 균형 = 119
경제의 조정과정 = 120
3.6 거시경제정책의 효과 = 124
통화정책의 효과 = 124
재정정책과 구축효과 = 128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비교 = 131
제3장 요약 = 134
제4장 기대변수의 역할과 거시경제 모형
4.1 기대변수의 중요성 = 136
4.2 총공급 : 기대가 첨가된 필립스곡선 = 138
필립스곡선 = 138
자연실업률가설 = 141
기대가 첨가된 필립스곡선 = 144
단기총공급곡선 = 144
장기총공급곡선 = 147
인플레이션기대와 총공급 : 요약 = 148
4.3 총수요 = 149
IS/LM 모형의 문제점 = 149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이자율 = 150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총수요 = 150
총수요곡선의 도출 = 153
4.4 경제의 균형과 조정과정 = 156
단기균형과 조정과정 = 156
경제의 장기균형 = 158
4.5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결정방식 = 159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결정방식 = 160
4.6 합리적 기대와 거시경제학 = 162
합리적 기대의 개념 = 162
합리적 기대의 중요성 = 163
합리적 기대 거시경제학 = 164
물가신축성과 합리적 기대 = 168
4.7 정책효과분석 = 169
분석 모형 = 169
예상한 정책의 효과 = 170
예상하지 못한 정책의 효과 = 174
잘못 예상한 정책의 효과 = 175
인플레이션 억제정책의 효과 = 176
정책수행에 관한 시사점 : 요약 = 178
제4장 요약 = 179
제5장 신고전파 거시경제학
5.1 균형경기순환이론 = 182
5.2 화폐적 경기순환이론 = 183
화폐와 경기순환 = 183
화폐적 균형경기순환이론 = 183
5.3 실물적 경기순환이론 = 187
배경 = 187
기간간 대체원리 = 188
실물적 충격과 경기순환 = 191
제5장 요약 = 196
제6장 신케인지언 거시경제학
6.1 가격의 비신축성 = 200
신케인지언 경제이론의 특징 = 201
가격조정의 비신축성 = 204
6.2 명목 비신축성 = 206
임금의 비신축성 = 207
가격의 비신축성 = 209
가격조정의 비대칭성 = 214
이자율의 비신축성 = 216
6.3 실질 비신축성 = 220
임금의 비신축성 = 220
가격의 비신축성 = 225
제6장 요약 = 226
부록 : 기타의 거시경제 모형 = 227
3편 경제활동의 순환변동과 장기성장
제7장 순환변동의 특징적 현상
7.1 경기순환의 개념 = 238
경기순환의 정의 = 238
경기순환의 국면 = 238
7.2 경기순환의 특징 = 240
가변성 = 241
자기상관 = 241
공동변화 = 243
경기순환은 지속적 현상인가? = 247
7.3 한국의 경기순환 = 250
한국경제의 기준순환일 = 250
경기순환의 특성 = 250
경기순환의 원인 = 252
경기순환과 통화정책 = 253
7.4 경기순환이론 = 257
제7장 요약 = 257
제8장 경제의 장기성장
8.1 경제성장의 특징적 현상 = 260
8.2 성장요인의 분해 = 260
8.3 신고전파 성장 모형 = 263
모형의 구조 = 263
장기균형상태의 결정 = 264
저축률증가의 영향 = 267
인구증가의 영향 = 268
기술진보의 영향 = 269
8.4 내생적 성장 모형 = 271
신고전파 성장 모형의 문제점 = 271
내생적 성장 모형의 일반적 특징 = 275
대표적 모형과 특징 = 278
8.5 경제개방과 장기성장 = 281
8.6 경제정책과 장기성장 = 282
제8장 요약 = 284
4편 거시경제문제와 경제안정화정책
제9장 실업
9.1 실업의 정의와 측정 = 288
9.2 노동시장의 구조와 실업의 유형 = 289
스톡과 플로우 = 289
실업의 유형 = 291
균형실업률 = 293
9.3 실직기간과 실업의 분포 = 293
실직기간 = 294
실업의 분포 = 295
9.4 자연실업률 = 296
개념 및 결정요인 = 296
감소방안 = 297
9.5 실업의 피해 = 297
9.6 정책 = 299
제9장 요약 = 300
제10장 인플레이션
10.1 문제의 본질 = 302
10.2 인플레이션의 원인 = 305
수요측 인플레이션 = 305
공급측 인플레이션 = 308
기대인플레이션 = 310
10.3 통화팽창과 인플레이션 = 311
각국의 경험 = 311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인가? = 312
통화증가의 원인 = 314
인플레이션 조세 = 315
초인플레이션 = 318
10.4 재정적자와 인플레이션 = 322
통화증발로 충당하는 경우 = 322
국채발행으로 충당하는 경우 = 324
중앙은행의 독립성 = 326
인플레이션과 재정적자 = 327
10.5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 327
피셔관계식 = 327
통화팽창과 이자율 = 328
먼델-토빈효과 = 330
10.6 인플레이션과 성장 = 331
10.7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피해 = 331
예상한 인플레이션 = 331
예상하지 못한 인플레이션 = 332
상대가격의 변동과 불확실성 = 333
10.8 인플레이션 억제정책 = 333
인플레이션과 실업 간 상충관계 = 333
총수요 억제정책 = 333
소득정책 = 337
물가연동제 = 339
공급확대정책 = 340
제10장 요약 = 341
제11장 거시경제안정화정책
11.1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 = 344
11.2 정책목표 = 345
11.3 정책수단과 정부예산제약 = 347
정부예산제약 = 347
리카도 등가정리와 민간의 부 = 347
민간의 부와 정책수단 간의 관계 = 348
정책수단 간의 상호제약 = 350
11.4 원칙과 자유재량 = 350
개념 = 350
자유재량의 근거 = 352
원칙의 근거 = 353
원칙의 유형 = 355
11.5 정책의 유효성 = 356
불확실성 = 357
정책시차의 문제 = 357
기대의 역할 = 359
정책신뢰성 = 360
제11장 요약 = 360
제12장 재정정책
12.1 정부와 재정정책 = 362
12.2 공공부문의 규모 = 363
12.3 정부지출과 구축효과 = 364
물가변화와 구축효과 = 365
정부예산제약과 구축효과 = 365
부의 효과와 구축효과 = 366
물가예상과 구축효과 = 367
요약 = 368
12.4 재정적자 = 368
재정적자의 측정 = 368
재정적자와 경제활동 = 371
12.5 국가채무 = 375
국가채무의 규모 = 375
국가채무의 부담 = 376
12.6 정부의 규모 = 378
제12장 요약 = 378
제13장 통화정책
13.1 정책운용방식 = 380
중간목표제 = 380
물가안정 목표제 = 391
13.2 통화정책의 전달과정 = 393
통화중시 견해 = 394
신용중시 견해 = 399
요약 = 402
13.3 통화정책의 유효성 = 402
제13장 요약 = 405
제14장 금융과 거시경제활동
14.1 금융과 거시경제활동 = 408
금융중개 기능의 중요성 = 408
금융요소와 거시경제활동 = 409
14.2 금융위기 = 414
금융위기의 원인 = 414
금융위기에 관한 가설 = 417
금융위기와 실물경제 활동 = 420
14.3 한국의 금융위기 = 424
진행과정과 특징 = 424
원인 = 430
제14장 요약 = 432
5편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제15장 소비와 저축
15.1 소득과 소비 = 436
절대소득가설 = 436
소비에 관한 세 가지 수수께끼 = 437
동태적 최적화원리 = 438
15.2 생애소득가설 = 439
15.3 항상소득가설 = 442
합리적 기대와 소비 = 444
유동성제약과 소비 = 446
15.4 상대소득가설 = 446
15.5 소비와 IS/LM 모형 = 447
제15장 요약 = 449
제16장 투자
16.1 투자의 중요성 = 452
16.2 고정투자 = 453
투자수익의 현재가치법 = 453
투자의 한계효율법 = 455
신고전파이론 = 457
가속도원리 = 460
토빈의 q 이론 = 460
16.3 재고투자 = 462
재고보유의 동기 = 462
재고투자 함수 = 463
재고투자와 경기순환 = 464
16.4 금융제약과 투자 = 465
16.5 경제정책과 투자 = 467
제16장 요약 = 469
제17장 화폐에 대한 수요와 공급
17.1 화폐수요의 기본개념 = 472
화폐수요의 중요성 = 472
화폐수요의 기본개념 = 472
화폐보유의 동기 = 474
17.2 거래적 화폐수요 = 475
17.3 예비적 화폐수요 = 477
17.4 투기적 화폐수요 = 478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이론 = 479
토빈의 자산선택이론 = 482
17.5 신화폐수량설과 통화주의 = 486
신화폐수량설 = 486
통화주의 = 486
17.6 본원통화와 통화량 = 489
본원통화 = 489
17.7 통화량의 결정 = 490
지급준비제도와 신용창조 = 490
통화량의 결정 = 491
통화승수의 결정 = 492
17.8 통화의 내생성 = 496
통화량은 정책변수인가? = 496
통화의 내생성과 통화정책의 효과 = 499
17.9 화폐시장의 균형 = 500
화폐시장의 균형 = 500
정책적 시사점 = 501
제17장 요약 = 501
6편 경제개방과 국가간상호의존
제18장 개방경제의 문제와 정책
18.1 고정환율제도하에서 경제의 조정과정과 정책 = 507
국내균형과 국제수지의 균형 = 507
균형소득과 물가수준의 결정 = 512
국제수지조정에 관한 통화주의적 접근 = 517
18.2 변동환율제도하에서 경제의 조정과정과 정책 = 517
균형소득과 환율의 결정 = 518
환율의 결정 = 520
18.3 국가간 상호의존과 정책협조 = 524
제18장 요약 = 526
부록 연습문제 및 도움말 = 527
찾아보기 = 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