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거시경제학 제5판

거시경제학 제5판 (14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기화 金基禾
서명 / 저자사항
거시경제학 / 김기화 저
판사항
제5판
발행사항
서울 :   서울경제경영,   2005  
형태사항
xxii, 552 p. : 삽화 ; 26 cm
ISBN
8988106288
일반주기
이론 현실 정책  
색인과 부록수록  
000 00661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204073
005 20120914101159
007 ta
008 050825s2005 ulka 001c kor
020 ▼a 8988106288 ▼g 93320
035 ▼a KRIC10037799
040 ▼d 211006 ▼d 211009
082 0 4 ▼a 339 ▼2 22
085 ▼a 339 ▼2 DDCK
090 ▼a 339 ▼b 2005b
100 1 ▼a 김기화 ▼g 金基禾
245 1 0 ▼a 거시경제학 / ▼d 김기화 저
250 ▼a 제5판
260 ▼a 서울 : ▼b 서울경제경영, ▼c 2005
300 ▼a xxii, 552 p. : ▼b 삽화 ; ▼c 26 cm
500 ▼a 이론 현실 정책
500 ▼a 색인과 부록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5b 등록번호 1211149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5b 등록번호 1211149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39 2005b 등록번호 1511893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39 2005b 등록번호 15118933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11-12-28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5b 등록번호 1211149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5b 등록번호 1211149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39 2005b 등록번호 1511893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39 2005b 등록번호 15118933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11-12-28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기화(지은이)

<Visual Basic WIN 32 API Bible>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편 거시경제학의 기초
 제1장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1.1 거시경제학의 주요 문제 = 5
   장기성장과 성장잠재력 = 5
   경기순환 = 6
   실업 = 7
   인플레이션 = 8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 9
   화폐와 경제성장 = 10
   통화와 인플레이션 = 12
   재정적자와 국가채무 = 13
   국제수지와 환율 = 14
  1.2 거시경제 안정화정책 = 16
  1.3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18
  1.4 거시경제이론의 변천과정 = 19
   논쟁의 핵심 = 19
   거시경제학의 변천과정 = 19
  1.5 경제이론과 현실 그리고 정책 = 23
  1.6 본서의 구성 = 23
 제2장 거시경제활동의 측정
  2.1 상품시장 = 26
   국내총생산 = 26
   GDP 항등식 = 29
   실질 GDP = 31
   물가수준 = 34
  2.2 금융시장 = 36
   금융시장이란 무엇인가? = 36
   화폐 = 37
   포트폴리오 = 41
   이자율 = 41
   증권시장 = 47
   민간부문의 순부 = 48
  2.3 노동시장 = 49
  2.4 외환시장 = 51
  제2장 요약 = 51
2편 거시경제 모형
 제3장 가격 신축성과 거시경제 모형
  3.1 거시경제학의 두 흐름 = 56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 = 56
  3.2 모형의 기본구조 = 61
   총공급 = 62
   총수요 = 63
   경제의 균형 = 64
   총공급의 변화 = 64
   총수요의 변화 = 65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 68
  3.3 총공급과 노동시장 = 69
   생산함수 = 70
   노동에 대한 수요 = 70
   노동의 공급 = 74
   노동시장의 균형과 생산량의 결정 = 80
   임금의 신축성과 자발적 실업 = 80
   임금의 경직성과 비자발적 실업 = 81
   총공급곡선의 도출 = 82
  3.4 총수요와 IS/LM 모형 = 86
   재화시장의 균형과 IS곡선 = 86
   화폐시장의 균형과 LM곡선 = 90
   경제와 균형과 조정과정 = 94
   경제정책의 효과 = 97
   총수요곡선의 도출 = 109
   IS/LM 모형의 문제점 = 111
   화폐수량설 = 112
  3.5 경제의 균형과 조정과정 = 119
   경제의 균형 = 119
   경제의 조정과정 = 120
  3.6 거시경제정책의 효과 = 124
   통화정책의 효과 = 124
   재정정책과 구축효과 = 128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비교 = 131
  제3장 요약 = 134
 제4장 기대변수의 역할과 거시경제 모형
  4.1 기대변수의 중요성 = 136
  4.2 총공급 : 기대가 첨가된 필립스곡선 = 138
   필립스곡선 = 138
   자연실업률가설 = 141
   기대가 첨가된 필립스곡선 = 144
   단기총공급곡선 = 144
   장기총공급곡선 = 147
   인플레이션기대와 총공급 : 요약 = 148
  4.3 총수요 = 149
   IS/LM 모형의 문제점 = 149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이자율 = 150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총수요 = 150
   총수요곡선의 도출 = 153
  4.4 경제의 균형과 조정과정 = 156
   단기균형과 조정과정 = 156
   경제의 장기균형 = 158
  4.5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결정방식 = 159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결정방식 = 160
  4.6 합리적 기대와 거시경제학 = 162
   합리적 기대의 개념 = 162
   합리적 기대의 중요성 = 163
   합리적 기대 거시경제학 = 164
   물가신축성과 합리적 기대 = 168
  4.7 정책효과분석 = 169
   분석 모형 = 169
   예상한 정책의 효과 = 170
   예상하지 못한 정책의 효과 = 174
   잘못 예상한 정책의 효과 = 175
   인플레이션 억제정책의 효과 = 176
   정책수행에 관한 시사점 : 요약 = 178
  제4장 요약 = 179
 제5장 신고전파 거시경제학
  5.1 균형경기순환이론 = 182
  5.2 화폐적 경기순환이론 = 183
   화폐와 경기순환 = 183
   화폐적 균형경기순환이론 = 183
  5.3 실물적 경기순환이론 = 187
   배경 = 187
   기간간 대체원리 = 188
   실물적 충격과 경기순환 = 191
  제5장 요약 = 196
 제6장 신케인지언 거시경제학
  6.1 가격의 비신축성 = 200
   신케인지언 경제이론의 특징 = 201
   가격조정의 비신축성 = 204
  6.2 명목 비신축성 = 206
   임금의 비신축성 = 207
   가격의 비신축성 = 209
   가격조정의 비대칭성 = 214
   이자율의 비신축성 = 216
  6.3 실질 비신축성 = 220
   임금의 비신축성 = 220
   가격의 비신축성 = 225
  제6장 요약 = 226
  부록 : 기타의 거시경제 모형 = 227
3편 경제활동의 순환변동과 장기성장
 제7장 순환변동의 특징적 현상
  7.1 경기순환의 개념 = 238
   경기순환의 정의 = 238
   경기순환의 국면 = 238
  7.2 경기순환의 특징 = 240
   가변성 = 241
   자기상관 = 241
   공동변화 = 243
   경기순환은 지속적 현상인가? = 247
  7.3 한국의 경기순환 = 250
   한국경제의 기준순환일 = 250
   경기순환의 특성 = 250
   경기순환의 원인 = 252
   경기순환과 통화정책 = 253
  7.4 경기순환이론 = 257
  제7장 요약 = 257
 제8장 경제의 장기성장
  8.1 경제성장의 특징적 현상 = 260
  8.2 성장요인의 분해 = 260
  8.3 신고전파 성장 모형 = 263
   모형의 구조 = 263
   장기균형상태의 결정 = 264
   저축률증가의 영향 = 267
   인구증가의 영향 = 268
   기술진보의 영향 = 269
  8.4 내생적 성장 모형 = 271
   신고전파 성장 모형의 문제점 = 271
   내생적 성장 모형의 일반적 특징 = 275
   대표적 모형과 특징 = 278
  8.5 경제개방과 장기성장 = 281
  8.6 경제정책과 장기성장 = 282
  제8장 요약 = 284
4편 거시경제문제와 경제안정화정책
 제9장 실업
  9.1 실업의 정의와 측정 = 288
  9.2 노동시장의 구조와 실업의 유형 = 289
   스톡과 플로우 = 289
   실업의 유형 = 291
   균형실업률 = 293
  9.3 실직기간과 실업의 분포 = 293
   실직기간 = 294
   실업의 분포 = 295
  9.4 자연실업률 = 296
   개념 및 결정요인 = 296
   감소방안 = 297
  9.5 실업의 피해 = 297
  9.6 정책 = 299
  제9장 요약 = 300
 제10장 인플레이션
  10.1 문제의 본질 = 302
  10.2 인플레이션의 원인 = 305
   수요측 인플레이션 = 305
   공급측 인플레이션 = 308
   기대인플레이션 = 310
  10.3 통화팽창과 인플레이션 = 311
   각국의 경험 = 311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인가? = 312
   통화증가의 원인 = 314
   인플레이션 조세 = 315
   초인플레이션 = 318
  10.4 재정적자와 인플레이션 = 322
   통화증발로 충당하는 경우 = 322
   국채발행으로 충당하는 경우 = 324
   중앙은행의 독립성 = 326
   인플레이션과 재정적자 = 327
  10.5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 327
   피셔관계식 = 327
   통화팽창과 이자율 = 328
   먼델-토빈효과 = 330
  10.6 인플레이션과 성장 = 331
  10.7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피해 = 331
   예상한 인플레이션 = 331
   예상하지 못한 인플레이션 = 332
   상대가격의 변동과 불확실성 = 333
  10.8 인플레이션 억제정책 = 333
   인플레이션과 실업 간 상충관계 = 333
   총수요 억제정책 = 333
   소득정책 = 337
   물가연동제 = 339
   공급확대정책 = 340
  제10장 요약 = 341
 제11장 거시경제안정화정책
  11.1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 = 344
  11.2 정책목표 = 345
  11.3 정책수단과 정부예산제약 = 347
   정부예산제약 = 347
   리카도 등가정리와 민간의 부 = 347
   민간의 부와 정책수단 간의 관계 = 348
   정책수단 간의 상호제약 = 350
  11.4 원칙과 자유재량 = 350
   개념 = 350
   자유재량의 근거 = 352
   원칙의 근거 = 353
   원칙의 유형 = 355
  11.5 정책의 유효성 = 356
   불확실성 = 357
   정책시차의 문제 = 357
   기대의 역할 = 359
   정책신뢰성 = 360
  제11장 요약 = 360
 제12장 재정정책
  12.1 정부와 재정정책 = 362
  12.2 공공부문의 규모 = 363
  12.3 정부지출과 구축효과 = 364
   물가변화와 구축효과 = 365
   정부예산제약과 구축효과 = 365
   부의 효과와 구축효과 = 366
   물가예상과 구축효과 = 367
   요약 = 368
  12.4 재정적자 = 368
   재정적자의 측정 = 368
   재정적자와 경제활동 = 371
  12.5 국가채무 = 375
   국가채무의 규모 = 375
   국가채무의 부담 = 376
  12.6 정부의 규모 = 378
  제12장 요약 = 378
 제13장 통화정책
  13.1 정책운용방식 = 380
   중간목표제 = 380
   물가안정 목표제 = 391
  13.2 통화정책의 전달과정 = 393
   통화중시 견해 = 394
   신용중시 견해 = 399
   요약 = 402
  13.3 통화정책의 유효성 = 402
  제13장 요약 = 405
 제14장 금융과 거시경제활동
  14.1 금융과 거시경제활동 = 408
   금융중개 기능의 중요성 = 408
   금융요소와 거시경제활동 = 409
  14.2 금융위기 = 414
   금융위기의 원인 = 414
   금융위기에 관한 가설 = 417
   금융위기와 실물경제 활동 = 420
  14.3 한국의 금융위기 = 424
   진행과정과 특징 = 424
   원인 = 430
  제14장 요약 = 432
5편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제15장 소비와 저축
  15.1 소득과 소비 = 436
   절대소득가설 = 436
   소비에 관한 세 가지 수수께끼 = 437
   동태적 최적화원리 = 438
  15.2 생애소득가설 = 439
  15.3 항상소득가설 = 442
   합리적 기대와 소비 = 444
   유동성제약과 소비 = 446
  15.4 상대소득가설 = 446
  15.5 소비와 IS/LM 모형 = 447
  제15장 요약 = 449
 제16장 투자
  16.1 투자의 중요성 = 452
  16.2 고정투자 = 453
   투자수익의 현재가치법 = 453
   투자의 한계효율법 = 455
   신고전파이론 = 457
   가속도원리 = 460
   토빈의 q 이론 = 460
  16.3 재고투자 = 462
   재고보유의 동기 = 462
   재고투자 함수 = 463
   재고투자와 경기순환 = 464
  16.4 금융제약과 투자 = 465
  16.5 경제정책과 투자 = 467
  제16장 요약 = 469
 제17장 화폐에 대한 수요와 공급
  17.1 화폐수요의 기본개념 = 472
   화폐수요의 중요성 = 472
   화폐수요의 기본개념 = 472
   화폐보유의 동기 = 474
  17.2 거래적 화폐수요 = 475
  17.3 예비적 화폐수요 = 477
  17.4 투기적 화폐수요 = 478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이론 = 479
   토빈의 자산선택이론 = 482
  17.5 신화폐수량설과 통화주의 = 486
   신화폐수량설 = 486
   통화주의 = 486
  17.6 본원통화와 통화량 = 489
   본원통화 = 489
  17.7 통화량의 결정 = 490
   지급준비제도와 신용창조 = 490
   통화량의 결정 = 491
   통화승수의 결정 = 492
  17.8 통화의 내생성 = 496
   통화량은 정책변수인가? = 496
   통화의 내생성과 통화정책의 효과 = 499
  17.9 화폐시장의 균형 = 500
   화폐시장의 균형 = 500
   정책적 시사점 = 501
  제17장 요약 = 501
6편 경제개방과 국가간상호의존
 제18장 개방경제의 문제와 정책
  18.1 고정환율제도하에서 경제의 조정과정과 정책 = 507
   국내균형과 국제수지의 균형 = 507
   균형소득과 물가수준의 결정 = 512
   국제수지조정에 관한 통화주의적 접근 = 517
  18.2 변동환율제도하에서 경제의 조정과정과 정책 = 517
   균형소득과 환율의 결정 = 518
   환율의 결정 = 520
  18.3 국가간 상호의존과 정책협조 = 524
  제18장 요약 = 526
부록 연습문제 및 도움말 = 527
찾아보기 = 54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