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암의 병태생리, 역학 예방 및 진단
1장 암의 병태생리 = 19
1. 정상세포 = 19
2. 세포의 증식과 성장형태 = 20
1) 비악성 성장 = 20
2) 신생물의 성장 형태 = 21
3. 암세포의 특징 = 22
1) 현미경적 특성 = 22
2) 동력학적 특성 = 22
4. 세포 동력학 = 24
5. 종양의 성장 = 25
1) 종양성장의 특성 = 25
2) 종양 성장에 대한 개념 = 26
6. 발암 = 28
1) 발암 이론 = 29
2) 호르몬의 발암 과정 = 30
3) 화학적인 발암 과정 = 31
4) 바이러스의 발암 과정 = 32
5) 방사선의 발암 과정 = 33
6) 발암 과정에서의 면역체계 = 34
7. 종양 명명법 = 36
1) 조직학적 분류체계 = 36
2) 혈액암 = 37
8. 암의 확산 경로 = 38
1) 직접적 확산 = 38
2) 전이적인 확산 = 39
3) 전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숙주/치료요인 = 42
4) 전이과정의 다른 관점 = 42
참고문헌 = 44
2장 암의 역학 = 46
1. 역학 용어 = 47
2. 국내 암 관련 역학자료 = 48
1) 전체 사망원인 = 48
2) 신체 부위별 암 발생빈도와 사망률 = 49
3) 연도별 암 사망률의 변화 = 52
3. 외국과의 비교 = 54
참고문헌 = 57
3장 암의 예방과 조기발견 = 59
1. 암의 예방 = 59
2. 암의 유발요인 = 60
1) 연령 = 60
2) 성 = 60
3) 지형적 위치 = 60
4) 직업 = 60
5) 유전 = 61
6) 스트레스 = 61
7) 담배 = 61
8) 식이 = 61
3. 조기발견 = 64
참고문헌 = 71
4장 암의 진단 및 병기 = 75
1. 진단 = 75
1) 병력 및 이학적 검사 = 75
2) 진단적 검사 = 76
3) 등급 = 79
2. 병기 = 81
참고문헌 = 91
제2부 암치료 방법
5장 수술 = 95
1. 역사적 조망 = 95
2. 종양외과학의 적용 = 96
1) 질병의 진단 = 96
2) 병기 결정 = 98
3) 암의 치료 = 98
3. 종양외과학의 원칙 = 101
1) 종양요인 = 101
2) 종양 동력학 = 102
3) 환자요인 = 102
4. 특수 외과수술 = 104
1) 전기수술 = 104
2) 냉동수술 = 104
3) 화학수술 = 104
4) 레이저 광선요법 = 104
5) 비디오 보조 흉곽경 = 106
6) 수술 중 방사선 치료 = 107
7) 광선역학요법 = 108
5. 종양외과학의 특수고려사항 = 108
1) 영양 = 109
2) 혈액질환 = 109
3) 병합치료의 합병증 = 109
4) 노인환자의 수술 위험요소 = 110
6. 간호관리 = 112
1) 수술 전 간호 = 112
2) 수술 후 간호 = 116
7. 종양외과학의 미래 = 125
참고문헌 = 126
6장 방사선 치료 = 129
1. 정의 = 129
2. 역사적 조망 = 130
3. 치료 원리 = 130
4. 방사선의 종류 = 132
5. 치료 방법 = 133
6. 원격방사선치료 = 133
1) 치료 계획 = 133
2) 방사선조사 = 134
7. 방사선치료의 혁신 = 137
1) 전신방사선조사 = 137
2) 반신방사선조사 = 137
3) 온열치료 = 138
4) 수술 중 방사선치료 = 138
5) 방사선 감작물질 = 139
6) 정위원격방사선조사 = 139
7) Strontiu = 139
8) 광선역학요법 = 140
8. 내부방사선 치료 = 140
1) 근접방사선 치료 = 140
2) 비 밀봉 방사능 치료 = 142
9. 방사선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 법 = 142
1) 시간 = 143
2) 거리 = 143
3) 보호물 = 143
10. 간호관리 = 145
1) 방사선치료의 간호진단 = 145
2) 전신 부작용 = 145
3) 부위별 부작용 = 149
참고문헌 = 158
7장 화학요법 = 163
1. 정의 = 163
2. 역사적 조망 = 164
3. 화학요법의 원리 = 164
1) 세포주기 = 164
2) 종양세포의 성장 = 165
3) 혈뇌 장벽 = 165
4) 방사선감작물질 = 166
4. 항암 화학 약물의 분류 = 168
1) 세포소멸가설 = 182
2) 약물선택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 = 182
3) 병합치료 = 182
5. 항암제 투여 = 183
1) 용량 계산 = 183
2) 약물의 조제 = 183
3) 약물 주입 = 184
4) 일혈 관리 = 186
5) 아나필락시스 = 188
6. 화학요법의 전망 = 189
7. 노인 암환자의 치료 = 189
8. Chemoprevention = 190
1) 고위험군에서의 연구 = 191
9. Chronotherapy/일간변화리듬 = 193
10. 간호중재 = 195
참고문헌 = 203
8장 생물치료 = 209
1. 면역 감시 이론 = 209
2. 역사적 조망 = 210
3. 기술적 발전 = 211
4. 생물치료의 정의 = 213
5. 주요 사용 약물 = 217
1) 인터페론 = 217
2) 인터루킨 = 223
6. 조혈성장 인자 = 232
1) GM-CSF = 234
2) G-CSF = 235
3) 에리트로포이에틴 = 237
4) M-CSF = 237
5) 인터루킨-3 = 238
6) PIXY321 = 238
7) 기타 성장인자 = 238
7. 종양 괴사인자 = 239
1) 생물학적 효과 = 239
2) 임상 적용 = 240
3) 투여 = 240
4) 부작용 = 240
8. 단클론 항체 = 241
1) 비결합성 항체 = 242
9. Retinoid = 247
10. 기타 면역조절 약물 = 248
1) Bacillus Calmette-Gu e ´ rin = 248
2) Levamisole = 249
3) 종양 항원 = 249
11. 유전자 치료 = 250
12. 생물치료의 미래 = 250
13. 간호중재 = 252
1) 생물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가능한 간호진단 = 253
2) 기대되는 목표 = 253
3) 사정과 계획 = 254
4) 약물취급 방법 = 255
5) 부작용의 관리 = 255
참고문헌 = 265
9장 골수이식 = 277
1. 역사적 조망 = 277
2. 골수이식의 종류 = 278
1) 말초조혈 모세포 = 278
2) 비혈연간 골수이식 = 284
3) 제대혈 이식 = 284
4) 인간조직 적합성 = 285
3. 골수이식의 대상질환 = 286
1) 혈액학적 악성질환 = 287
2) 고형암 = 289
3) 비악성질환 = 290
4. 골수이식의 과정 = 290
1) 이식 전 검사 = 292
2) 골수채취 = 292
3) 전 처치 = 294
4) 골수의 이식 = 294
5) 생착 기간 = 297
5. 골수이식의 합병증 = 301
1) 생착실패 = 304
2) 감염 = 304
3) 폐렴 = 304
4) 이식편대 숙주 질환 = 305
5) 간폐색 질환 = 307
6) 재발 = 308
7) 후기 합병증 = 308
6. 간호관리 = 310
7. 골수이식의 전망과 미래 = 313
참고문헌 = 314
제3부 안녕감 장애
10장 암환자의 증상경험과 삶의 질 = 321
1. 증상경험 = 321
1) 정의 = 321
2) 개념적 기틀 = 322
3) 사정 = 323
4) 암경험과 삶의 질과의 관계 = 324
5) 환자와 가족의 자가간호 교육 = 329
참고문헌 = 332
11장 피로 = 335
1. 암환자와 피로 = 335
1) 발생빈도 = 335
2) 배경 = 336
3) 삶의 질과의 관계 = 338
4) 피로의 정의 = 338
2. 병태생리 = 339
1) 피로와 에너지 이론 = 340
2) 적응에너지와 스트레스 = 340
3) 피로-불활성 나선 = 341
4) 피로의 정신생물학적 엔트로피 모델 = 341
3. 병태생리학적, 정신병리학적 기전 = 344
1) 생리학적 기초 = 345
2) 병태생리학적 기초 = 345
3) 정신병리학적 기초 = 347
4. 사정 = 348
1) 측정도구 = 348
2) 신체 사정 = 349
3) 진단적 평가 = 352
5. 증상관리 = 352
1) 치료적 접근법 = 353
자가간호지침
11-1 피로 = 356
11-2 침상안정의 위험성 = 359
참고문헌 = 362
12장 통증 = 365
1. 암환자의 통증 = 365
1) 암성 통증의 빈도 = 365
2) 통증 조절의 장애요인 = 366
3) 삶의 질과의 관계 = 368
2. 병태생리 = 369
1) 암성 통증의 원인 = 369
2) 통증의 유형 = 371
3) 통증에 대한 개인이 반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 373
4) 통증이론 = 374
3. 사정 = 378
1) 사정도구 = 379
2) 신체적 사정 = 385
3) 진단적 평가 = 386
4) 독성의 정도 = 386
4. 투약력 = 386
5. 증상관리 = 387
1) 예방 = 387
2) 치료적 접근 = 387
3) 통증관리의 평가 = 409
자가간호 지침
12-1 자가간호지침 = 414
참고문헌 = 429
제4부 영양 장애
13장 식욕부진-악액질 증후군 = 439
1. 암환자의 식욕부진-악액질 증후군의 문제 = 439
2. 원인 = 440
1) 식욕부진 = 440
2) 악액질 = 443
3. 병태생리 = 444
1) 탕수화물 대사 = 444
2) 단백질 대사 = 445
3) 지방 대사 = 445
4. 사정 = 445
1) 식이력 = 447
2) 신체 계측법 = 447
3) 임상검사 = 448
5. 증상관리 = 451
1) 영양공급 = 451
2) 악액질 환자의 식욕촉진을 위한 약물 = 455
3) 성장호르몬 = 456
4) 다른 약물 = 456
5) 다른 식욕 촉진법들 = 457
6) 간호 중재 = 457
자가간호지침
13-1 경관영양 = 459
13-2 비경구 영양 = 463
참고문헌 = 473
14장 연하곤란 = 479
1. 암환자의 연하곤란 = 479
1) 증상 = 479
2) 빈도와 삶의 질과의 관계 = 481
2. 원인 = 481
3. 병태생리 = 482
1) 연하의 단계와 연하곤란 = 482
2) 외과적 처치가 연하에 미치는 영향 = 484
4. 사정 = 485
1) 위험요인 = 485
2) 과거력과 신체검진 = 486
3) 연하장애의 사정 = 486
4) 방사선 검사 = 486
5) 영양 사정 = 487
6) 통증 사정 = 487
5. 증상관리 = 487
1) 예방 = 487
2) 치료적 접근 = 487
3) 치료적 접근의 평가 = 491
자가간호지침
14-1 연하곤란 = 493
14-2 연하곤란시 먹을 수 있는 음식 = 496
14-3 경관영양 = 498
참고문헌 = 501
15장 오심 구토 = 502
1. 암환자의 오심·구토 = 502
1) 발생 빈도 = 502
2) 삶의 질과의 관계 = 502
2. 병인론 = 503
1) 화학요법으로 인한 오심·구토 = 503
2) 방사선 치료 = 504
3) 말기질환에서의 오심·구토 = 507
3. 병태생리 = 508
1)구토에 작용하는 신경구조와 신경전달 물질 = 510
2) 다른 잠재적 구조와 기전들 = 512
3) 지연성 오심·구토 = 513
4. 사정 = 514
1) 치료와 관련된 잠재적 오심·구토 추정 = 514
2) 실제적 문제로서의오심·구토 = 515
3) 신체사정 = 515
4) 독성 정도 = 519
5. 증상관리 = 521
1) 약리학적 중재 = 521
2) 비약물적 중재 = 537
자가간호지침
15-1 화학 요법으로 인한 오심·구토 = 540
15-2 방사선 치료로 인한 오심·구토 = 543
15-3 종양으로 인한 오심·구토 = 546
15-4 오심과 구토 사정표 = 549
참고문헌 = 551
제5부 신체방어기전 장애
16장 구강건조증 = 563
1. 암환자의 구강 건조증 = 563
1) 발생빈도 = 563
2) 삶의 질과의 관계 = 563
2. 원인 = 564
3. 병태 생리 = 565
4. 사정 = 565
1) 사정도구 = 565
2) 신체사정 = 566
3) 진단적 평가 = 566
4) 독성 정도 = 566
5. 증상관리 = 567
1) 예방 = 567
2) 치료적 접근 = 568
3) 치료의 평가 = 569
자가간호지침
16-1 구강 건조증 = 571
참고문헌 = 574
17장 탈모 = 576
1. 암환자의 탈모 문제 = 576
1) 발생 빈도 = 576
2) 삶의 질과의 관계 = 577
2. 원인 = 578
1) 정상 모발의 성장 = 579
2) 화학요법제가 모낭에 미치는 효과 = 578
3. 병태 생리 = 579
4. 사정 = 581
1) 탈모 측정 도구 = 581
2) 탈모의 신체사정 = 582
5. 증상 관리 = 583
1) 예방 = 583
2) 치료적 접근 = 586
자가간호지침
17-1 탈모 = 587
참고문헌 = 589
18장 출혈 = 591
1. 암 환자의 출혈 문제 = 591
1) 빈도 = 591
2) 삶의 질과의 관계 = 592
2. 원인 = 592
1) 정상적인 지혈 = 592
2) 출혈 = 593
3. 병태생리 = 598
1) 혈관의 변화 = 598
2) 혈소판 수와 기능의 변화 = 598
3) 응고의 변화 = 601
4. 사정 = 602
1) 사정도구 = 603
2) 신체적 사정 = 605
3) 진단적 평가 = 607
4) 독성의 정도 = 607
5. 증상 관리 = 607
1) 피부 = 608
2) 눈 = 608
3) 중추신경계 = 609
4) 코와 입 = 610
5) 위장관 = 610
6) 폐 = 612
7) 심혈관계 = 613
8) 복강 = 614
9) 비뇨생식기 = 614
10) 근골격계 = 616
11) 산재성 혈관내 응고증 = 616
12) 치료적 접근에 대한 평가 = 621
자가간호지침
18-1 출혈 = 623
참고문헌 = 627
19장 감염 = 630
1. 암환자의 감염문제 = 630
1) 발생빈도 = 630
2) 삶의 질과의 관계 = 631
2. 원인 = 631
1) 악성종양과 관련된 면역저하 = 631
2) 치료와 관련된 감염 = 631
3. 병태생리 = 635
4. 사정 = 637
1) 사정도구 = 637
2) 신체사정 = 637
3) 진단적 평가 = 637
4) 독성의 정도 = 639
5. 증상관리 = 639
1) 예방 = 639
2) 치료적 접근 = 641
3) 치료적 접근의 평가 = 645
4) 교육적인 도구와 자원 = 645
자가간호지침
19-1 감염 = 647
19-2 단순포진바이러스와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감염 = 650
참고문헌 = 653
20장 구강 점막염 = 658
1. 암환자에서의 구강 점막염 = 658
1) 발생 빈도 = 658
2) 삶의 질과의 관계 = 659
2. 병태 생리 = 659
1) 위험요인 = 659
3. 사정 = 664
1) 진단적 평가 = 665
2) 독성의 정도 = 666
4. 증상관리 = 667
1) 구강위생 = 667
2) 구강보호적 중재 = 670
3) 구내염의 합병증 관리 = 671
4) 치과적 관리 = 671
5) 환자교육 = 672
6) 평가 = 672
자가간호지침
20-1 구강간호 = 673
20-2 구내염 = 676
참고문헌 = 680
21장 피부통합성 장애 = 683
1. 원인과 병인 = 683
1) 정상적인 상처회복 과정/종양의 성장 = 683
2) 암으로 인한 피부손상 = 685
3) 암치료 과정상 발생하는 피부손상 = 687
4) 방사선 치료 후 피부변화 = 691
2. 사정 = 693
1) 일반적인 환자 사정 = 693
2) 상처사정과 간호계획 = 694
3)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발생한 발진의 사정 = 696
3. 간호중재 = 696
1) 일반적인 상처간호 = 696
2) 일혈에 의한 상처 = 700
3) 방사선치료 후 피부변화 = 701
4) 피부손상시 피부간호 = 701
자가간호지침
21-1 상처배액 = 705
21-2 상처냄새 = 708
21-3 수성 콜로이드 드레싱 = 710
참고문헌 = 712
제6부 배설 장애
22장 변비 = 717
1. 암환자의 변비 = 717
1) 발생빈도 = 717
2) 삶의 질과의 관계 = 718
2. 원인 = 718
1) 변비의 일차적인 원인 = 718
2) 암과 암 치료와 관련된 변비 = 718
3. 병태생리 = 719
1) 정상 장 기능 = 719
2) 연동운동의 변화 = 719
3) 장이 찬 느낌을 지각하는 감감의 감소 = 720
4) 항문괄약근의 운동조절기능과 직장의 용적률 변화 = 720
4. 사정 = 720
1) 사정도구 = 720
2) 임상적 사정 = 721
5. 증상관리 = 723
1) 예방 = 723
2) 치료적 접근 = 723
3) 변 매복 = 724
4) 하제의 사용과 선택 = 726
5) 치료적 접근의 평가 = 728
6) 교육도구 = 728
자가간호지침
22-1 변비 = 732
참고문헌 = 736
23장 설사 = 738
1. 암환자의 설사 문제 = 738
1) 발생 빈도 = 738
2) 삶의 질과의 관계 = 739
2. 원인과 병리생리 = 739
3. 사정 = 744
1) 진단 = 746
4. 증상관리 = 747
1) 예방 = 747
2) 치료적 접근 = 749
3) 치료의 평가 = 753
4) 교육을 위한 방법과 자료 = 754
자가간호지침
23-1 주간 배변양상 기록지 = 756
23-2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설사 = 757
23-3 화학요법/생물치료로 인한 설사 = 759
23-4 만성설사 = 761
23-5 락토오스 불내성과 관련된 만성설사 = 763
참고문헌 = 765
제7부 기타 증상관리
24장 림프부종 = 771
1. 암환자의 림프부종 = 771
1) 발생 빈도 = 771
2) 삶의 질과의 관계 = 772
2. 원인 = 773
1) 림프절 절제 = 773
2) 방사선 치료 = 774
3) 감염 = 774
4) 비만 = 775
5) 연령 = 775
3. 병태 생리 = 775
1) 림프계 = 775
4. 사정 = 776
1) 측정도구 = 776
2) 신체 사정 = 777
3) 진단적 평가 = 777
4) 림프 부종의 정도 = 778
5. 증상 관리 = 778
1) 예방 = 779
2) 치료적 접근 = 780
자가간호지침
24-1 림프부종 예방 = 786
24-2 팔 흔들기 운동 = 788
24-3 하지운동 = 798
24-4 경증 림프부종 = 799
24-5 중등도 림프부종 예방 = 802
24-6 중증 림프부종 예방 = 805
참고문헌 = 808
25장 성기능장애 = 810
1. 암과 관련된 성기능의 변화 = 810
1) 일반적인 문제 = 810
2) 부위별 문제 = 811
3) 삶의 질과의 관계 = 813
2. 원인 = 813
1) 수술 = 814
2) 화학요법 = 814
3) 방사선요법 = 815
4) 호르몬 치료 = 816
5) 면역 치료 = 816
3. 병태생리 = 816
4. 사정 = 817
1) 측정도구 = 817
2) 신체적 사정 = 819
3) 독성의 정도 = 822
5. 증상관리 = 822
1) 예방 = 822
2) 치료적 접근 = 823
자가간호지침
25-1 발기를 위한 약물의 자가투여 = 831
25-2 질 협착 = 834
25-3 질 건조증 = 836
25-4 발기를 위한 진공 흡입기구의 사용 = 838
25-5 반경성 음경 보형물 = 841
25-6 반팽창성 음경 보형물 = 843
25-7 팽창성 음경 보형물 = 845
참고문헌 = 847
부록 = 853
부록1. 항암제의 안전한 관리 = 855
부록2. 약물 주입기구의 유형 및 관리 = 859
부록3. 구강간호 프로토콜 = 871
부록4. 각종 교육자료 = 880
부록5. 환자 자조모임 = 890
찾아보기 = 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