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02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202888 | |
005 | 20100806073744 | |
007 | ta | |
008 | 051104s2004 ulk b 001a kor | |
020 | ▼a 8989790247 ▼g 94330 | |
020 | 1 | ▼a 8989790190(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5 | ▼a 331.880953 ▼2 DDCK | |
090 | ▼a 331.880953 ▼b 2004 ▼c 6 | |
100 | 1 | ▼a 김금수 , ▼d 1936- |
245 | 1 0 | ▼a 한국노동운동사 . ▼n 6 , ▼p 민주화 이행기의 노동운동 : 1987~1997 / ▼d 김금수. |
246 | 1 4 | ▼a (高麗大노동문제연구소)한국노동운동사 |
246 | 3 4 | ▼a 한국노동운동사 |
260 | ▼a 서울 : ▼b 지식마당 , ▼c 2004. | |
300 | ▼a 590 p. ; ▼c 23 cm. | |
490 | 0 0 | ▼a 한국노동운동사대전집 |
504 | ▼a 참고문헌(p. 560-566), 색인수록 | |
710 | ▼a 고려대학교 . ▼b 노동문제연구소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6 | 등록번호 11130327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7-05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6 | 등록번호 111337690 | 도서상태 간편대출신청중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금수(지은이)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자랐다. 부산고등학교를 나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시절 독서모임 ‘암장’(巖漿)을 결성해 사회과학 학습 활동을 했다. 4월 혁명 후 민주민족청년동맹 중앙맹부 간사장을 맡아 일했다. 인민혁명당 사건으로 두 차례 감옥을 드나들었다. 한국노총 정책연구실장으로 재직했으며, 몇몇 대학원에 출강했다. 한국노동교육협회 대표와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한겨레> 논설위원과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으로 있었으며, 민주노총 지도위원을 맡기도 했다. 전태일기념사업회와 한국비정규노동센터에서 이사장을 지냈으며,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장과 한국방송공사(KBS) 이사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명예이사장과 세계노동운동사연구회 상임고문으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노동문제의 상황과 인식>, <노동의 자유와 미래>, <노동운동론>, <한국노동운동사 민주화 이행기의 노동운동(1987~1997)>, <세계노동운동사> 1~6권 등이 있다. 아호는 벽사(碧史) 이우성(李佑成) 선생님이 내려 주신 동야(東野)다.

목차
[Volume. 6]---------- 목차 총론 = 9 제1장 노동운동의 주·객관적 상황 변화 제1절 정치·경제 정세 변화 = 19 제2절 노동시장 구조와 노동자 구성 변화 = 33 제3절 노동자 상태 = 50 제4절 국가 노동정책의 전개과정 = 60 제5절 기업의 노동관리체제 = 76 제2장 1987년 노동자대투쟁 제1절 1987년 노동자대투쟁의 전개 = 86 제2절 1987년 노동자대투쟁의 특징 = 120 제3절 노동자대투쟁의 운동사적 위치 = 133 제3장 민주노조운동 발전과 한국노총의 개혁 시도 제1절 노조 조직의 구도 개편 = 145 제2절 민주노조운동의 대두·발전 = 154 제3절 전노협 창립과 민주노동운동 발전에서의 위치 = 171 제4절 한국노총의 개혁을 위한 시도 = 182 제4장 노동운동의 전개양상과 특징 제1절 노동쟁의 추이 = 213 제2절 연도별 투쟁 개괄과 주요 사례 = 221 제5장 1996년 12월 총파업의 전개와 성격 제1절 정부·여당의 노동법 개정작업과 국회 변칙 처리 = 377 제2절 총파업 투쟁의 전개 = 386 제3절 총파업 투쟁 평가 = 399 제6장 노동운동의 이념 변화와 정치세력화 제1절 노동운동 이념의 변화 = 412 제2절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진전 = 465 제7장 노동운동 전망과 발전전략 모색 제1절 노동자계급 성장 조건에 대한 전망 = 491 제2절 노동운동의 발전전략 모색 = 507 참고문헌 = 560 약자해설 = 567 찾아보기 = 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