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現代國際海洋法 第5全訂版

現代國際海洋法 第5全訂版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종화 崔宗和
서명 / 저자사항
現代國際海洋法 / 崔宗和 著.
판사항
第5全訂版
발행사항
서울 :   두남 ,   2005.  
형태사항
584 p. : 삽도 ; 26 cm.
ISBN
8984045454
일반주기
부록수록  
000 00552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02841
005 20100806073720
007 ta
008 051104s2005 ulka 000a kor
020 ▼a 8984045454 ▼g 1332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1.45 ▼2 21
090 ▼a 341.45 ▼b 2005
100 1 ▼a 최종화 ▼g 崔宗和
245 1 0 ▼a 現代國際海洋法 / ▼d 崔宗和 著.
250 ▼a 第5全訂版
260 ▼a 서울 : ▼b 두남 , ▼c 2005.
300 ▼a 584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1.45 2005 등록번호 1113376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최종화(지은이)

<현대국제해양법>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第1編 海洋法 基本制度
 第1章 國際海洋法의 槪要
  제1절 海洋法의 意義와 規律對象 = 25
   1. 海洋法의 의의 = 25
   2. 海洋法의 規律對象 = 26
  제2절 海洋法의 法源 = 28
  제3절 海洋法의 발전과정 = 30
   1. 海洋自由의 原則과 慣習法形成 = 30
   2. 유엔 海洋法會議와 海洋法의 法典化 = 33
   3. 韓國의 海洋法 受容 = 43
 第2章 領海 및 接續水域制度
  제1절 領海制度의 연혁 = 45
  제2절 領海基線 = 48
   1. 領海基線과 內水 = 48
   2. 直線基線의 성질과 設定要件 = 52
   3. 特殊한 경우의 領海基線 = 54
  제3절 領海制度 = 56
   1. 領海의 범위와 법적 지위 = 56
   2. 無害通航制度 = 58
  제4절 接續水域制度 = 63
   1. 接續水域의 개념 = 63
   2. 接續水域의 법적 지위 = 64
 第3章 國際海峽·群島水域·島嶼制度
  제1절 國際海峽 = 67
   1. 國際海峽의 의의 = 67
   2. 通過通航制度 = 69
   3. 主要國際海峽의 船舶通航制度 = 74
  제2절 群島水域制度 = 80
   1. 群島水域의 개념 = 80
   2. 群島基線 = 81
   3. 群島水域의 법적 지위 = 82
  제3절 島嶼·閉鎖海·內陸國 = 84
   1. 島嶼制度 = 84
   2. 閉鎖海 및 半閉鎖海 = 86
   3. 內陸國 = 87
 第4章 排他的 經濟水域制度
  제1절 經濟水域制度의 개념 = 89
   1. 經濟水域制度의 성립과정 = 89
   2. 經濟水域制度의 법적 개념 = 92
   3. 經濟水域의 범위와 境界劃定 = 93
  제2절 經濟水域의 법적 체제 = 97
   1. 經濟水域의 법적 지위 = 97
   2. 沿岸國의 권리와 의무 = 98
   3. 他國의 권리와 의무 = 101
  제3절 經濟水域과 漁業管轄制度 = 102
   1. 槪觀 = 102
   2. 水産資源의 법적 성격의 변천 = 104
   3. 經濟水域 漁業管理制度의 基本要素 = 106
   4. 生物資源 保存·利用權 = 108
   5. 沿岸國의 法令制定·執行權 = 109
   6. 經濟水域 관련 國際紛爭의 해결 = 112
   7. 特定魚種에 대한 特別保存措置 = 113
 第5章 大陸棚制度
  제1절 大陸棚의 개념과 법체제 = 117
   1. 大陸棚의 개념 = 117
   2. 大陸棚의 법적 지위 = 121
   3. 共有大陸棚의 境界劃定 = 123
  제2절 海洋境界劃定에 관한 주요 判例 = 126
   1. 北海大陸棚 境界劃定事件 = 127
   2. 英-佛大陸棚 境界劃定 特別仲裁事牛 = 128
   3. 튀니지-리비아 大陸棚 境界劃定事件 = 129
   4. 메인만 海洋境界劃定事件 = 130
   5. 리비아-몰타 大陸棚 境界劃定事件 = 131
 第6章 公海制度
  제1절 公海의 개념 = 133
   1. 公海의 의의와 범위 = 133
   2. 公海의 법적 성격 = 134
  제2절 公海自由의 원칙 = 136
   1. 公海自由의 의의 = 136
   2. 公海自由의 내용 = 138
  제3절 船舶에 대한 管轄權制度 = 141
   1. 船籍國의 管轄權 = 141
   2. 船籍國의 의무 = 147
   3. 海洋事故에 대한 管轄權問題 = 152
  제4절 公海警察制度 = 156
   1. 公海에서 금지된 행위 = 156
   2. 臨檢權 = 159
   3. 追跡權 = 161
 第7章 海洋環境法制度
  제1절 海洋環境法의 개념과 發展過程 = 165
   1. 海洋環境汚染의 정의 = 165
   2. 海洋環境汚染에 대한 規制의 필요성 = 166
   3. 海洋環境法體制의 발전과정 = 169
  제2절 유엔 海洋法協約上의 海洋環境法體系 = 174
   1. 유엔 海洋法協約의 環境法的 의의 = 174
   2. 海洋環境汚染의 防止·輕減·統制를 위한 立法 = 175
   3. 船舶起因汚染에 대한 規制法規의 집행 = 179
  제3절 海洋環境汚染에 대한 責任과 救濟 = 185
   1. 國際法上의 一般原則 = 185
   2. 海洋環境被害의 私的 救濟를 위한 國際協力體制 = 188
 第8章 海洋科學調査制度
  제1절 海洋科學調査의 意義와 法律問題 = 193
   1. 海洋科學調査의 의의 = 193
   2. 海洋科學調査와 관련되는 法律問題 = 194
  제2절 海洋法上의 海洋科學調査制度 = 197
   1. 海洋科學調査制度에 관한 海洋法의 발전 = 197
   2. 海洋科學分野의 國際機構 = 199
   3. 海洋法上의 海洋科學 調査制度 = 201
   4. 최근의 國家慣行 = 206
  제3절 海洋科學技術의 移轉 = 209
   1. 海洋科學技術의 개념 = 209
   2. 海洋法上의 技術移轉制度 = 210
  제4절 한국의 海洋科學調査法 = 211
   1. 海洋科學調査法의 법적 성격 = 211
   2. 다른 法律과의 관계 = 212
   3. 主要內容 = 215
 第9章 國際深海底制度
  제1절 國際深海底의 개념과 그 자원 = 217
   1. 深海底資源의 개념 = 217
   2. 國際深海底의 법적 지위 = 219
   3. 深海底資源의 법적 성격 = 220
   4. 人類共同遺産의 개념 = 221
  제2절 國際深海底制度의 생성과 발전 = 222
   1. 유엔 深海底委員會의 설치와 深海底原則宣言 = 222
   2. 유엔 海洋法協約과 제11장 履行協定의 발효 = 225
  제3절 海洋法上의 深海底開發制度 = 229
   1. 深海底地域을 규율하는 원칙 = 229
   2. 深海底資源의 개발 = 231
   3. 한국의 深海底資源開發 참여 = 234
  제4절 國際海底機構 = 236
   1. 槪觀 = 236
   2. 國際海底機構의 조직 = 239
  제5절 先行投資 保護制度 = 243
   1. 先行投資家 資格要件 및 保護對象者 = 243
   2. 先行投資家의 등록 = 245
   3. 事業計劃書의 承認 및 生産許可 = 246
 第10章 國際海洋紛爭의 解決制度
  제1절 一般國際法上의 紛爭解決制度 = 247
   1. 槪觀 = 247
   2. 國際紛爭의 구체적 解決方法 = 250
  제2절 海洋法上의 紛爭解決制度 = 255
   1. 基本原則 = 255
   2. 拘束力 있는 결정을 내리는 强制節次 = 255
   3. 國際司法裁判所 = 259
   4. 國際海洋法裁判所 = 262
  제3절 國際漁業紛爭의 解決制度 = 267
   1. 國際漁業紛爭의 제 유형 = 267
   2. 抑留船舶과 船員의 조속한 釋放 = 268
   3. 國際漁業紛爭의 解決 方式 = 271
第2編 韓國과 海洋法
 第11章 公海漁業 管理制度
  제1절 公海漁業과 海洋生物資源의 保存·管理問題 = 275
   1. 한국의 遠洋漁業 = 275
   2. 公海漁業의 當面課題 = 276
  제2절 公海生物資源과 公海漁業의 법적 성격 = 279
   1. 公海生物資源에 대한 보존·관리의 개념 = 279
   2. 公海生物資源의 법적 성격 = 281
   3. 公海漁業의 법적 성격 = 284
  제3절 公海生物資源 保存·管理에 관한 海洋法의 구조 = 285
   1. 基本原則 = 285
   2. 關聯規定의 不完全性 = 287
  제4절 海洋法의 발전과 公海漁業自由의 변질 = 289
   1. 문제의 근원 = 289
   2. 公海漁業自由의 변질 = 292
  제5절 公海操業船에 대한 統制制度 = 301
   1. 責任水産業의 履行義務 = 301
   2. 公海操業船의 保存·管理措置 遵守促進協定 = 304
   3. 유엔 公海魚族 保存·管理 規定 履行協定 = 309
   4. 不法·非報告·非規制漁業의 防止·除去를 위한 國際行動計劃 = 312
  제6절 公海操業權의 毁損事例(에스타이호 나포사건) = 314
   1. 事件의 개요 = 314
   2. 事件의 배경 = 315
   3. 事件에 대한 쌍방의 주장 = 316
   4. 事件의 波及效果 = 317
  제7절 國際水産機構의 槪要와 紛爭事例 = 319
   1. 國際水産機構의 개요 및 유형 = 319
   2. 國際水産機構의 설립시기 = 324
   3. 國際水産機構의 협력범위 및 권능 = 325
   4. 남방참다랑어 漁業紛爭과 國際海洋法裁判所의 假處分措置 = 329
 第12章 東北亞地城의 새 國際漁業協力體制
  제1절 東北亞地域의 水産海洋問題 개관 = 343
  제2절 東北亞地域의 國際漁業關係 = 345
   1. 東北亞地域 國際漁業關係의 특징과 과제 = 345
   2. 韓-中-日 漁業關係 = 350
   3. 기타의 漁業關係 = 359
   4. 새 漁業協定體制의 법적 성격 = 362
   5. 經濟水域時代의 國際漁業協力에 관한 海洋法原則 = 365
  제3절 주요 漁業紛爭要因 = 370
   1. 漁業協定의 解釋과 관련된 紛爭要因 = 370
   2. 重疊水域의 운영과 관련된 紛爭要因 = 379
   3. 漁業活動 展開過程에서 발생할 수 있는 民事的 紛爭要因 = 384
   4. 團束管轄權의 행사와 관련된 紛爭要因 = 385
   5. 漁業協定 상호간의 抵觸에 기인한 紛爭要因 = 387
   6. 나포된 船舶과 억류된 船員의 早期釋放에 관련된 紛爭要因 = 389
   7. 要約 = 390
  제4절 漁業協定과 관련된 어업 이외의 문제 = 392
   1. 獨島問題 = 392
   2. 이른바 이어도 문제 = 396
   3. 韓-日漁業協定의 改正論議 = 398
 第13章 韓半島周邊의 主要海洋法問題
  제1절 각국의 海洋管轄政策 = 403
   1. 韓國의 海洋管轄政策 = 405
   2. 北韓의 海洋管轄政策 = 408
   3. 中國의 海洋管轄政策 = 416
   4. 日本의 海洋管轄政策 = 422
   5. 러시아의 海洋管轄政策 = 425
  제2절 島嶼領有權問題 = 428
   1. 槪況 = 428
   2. 島嶼領有權紛爭의 解決事例 = 433
  제3절 韓-中-日 海洋境界劃定問題 = 438
   1. 韓國과 日本 사이의 海洋境界劃定問題 = 440
   2. 韓國과 中國 사이의 海洋境界劃定問題 = 441
   3. 東中國海의 海洋境界劃定問題 = 442
  제4절 韓-日 大陸棚共同開發協定 = 444
   1. 協定締結의 배경 = 444
   2. 協定의 구성 = 445
   3. 協定의 법적 성격과 주요내용 = 447
   4. 韓-日漁業協定과의 관계 = 449
   5. 協定에 대한 評價 = 450
  제5절 水産分野 南北交流協力과 관련된 海洋法問題 = 451
   1. 序言 = 451
   2. 北韓의 對外漁業政策 = 452
   3. 南北境界海面의 법적 지위 = 455
   4. 북한의 해양관할정책의 특징과 한국의 대응조치 = 465
   5. 結言 = 466
  제6절 북한의 大量殺傷武器 擴散防止에 관한 海洋法問題 = 468
   1. 序言 = 468
   2. 大量殺傷武器의 擴散實態와 擴散防止體制의 한계 = 470
   3. PSI의 成立背景과 基本理念 및 遮斷原則 = 473
   4. PSI 實行에 관한 國際海洋法의 한계 = 479
   5. PSI 實行上의 國際法的 正當性確保 및 韓國의 參與問題 = 485
   6. 結言 = 489
부록
 [자료1] 유엔 해양법협약 = 495
 [자료2] 한-일어업협정 = 564
 [자료3] 한-중어업협정 = 570
 [자료4] 일-중어업협정 = 574
 [자료5] 각국의 해양법협약 비준/가입 및 관할해역 범위 = 579
 [자료6] 주요 해양개척사 및 해양법 발전사 연표 = 58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