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연구요약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 2
가. 연구의 범위 = 2
나. 연구의 내용 = 2
3. 연구의 방법 = 5
가. 문헌 연구 = 5
나. 협동 연구기관 간 워크숍 및 협의회 = 6
다. 관계 전문가 협의회 = 7
라. 설문 조사 = 7
마. 수업 관찰 및 면담 = 12
4. 연구의 제한점 = 14
Ⅱ. 이론적 배경 = 15
1. 교육과정 운영의 이론적 기저 = 15
가.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 = 15
나. 교육과정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17
다. 교육과정 운영 연구 수행의 관점 = 18
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체제 = 19
2. 제7차 중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특징 = 20
가. 일반적 특징 = 20
나. 국민공통기본교과 교육과정의 특징 = 21
3. 제7차 중등학교 교과 교육과정 운영 관련 선행 연구 분석 = 31
가. 제7차 국민공통기본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관련 선행 연구 = 31
나. 제7차 교육과정 운영 지원 체제 관련 선행 연구 = 41
다.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을 위한 모형 관련 선행 연구 = 42
4. 본 연구의 분석 틀 = 43
가. 교육과정 운영 분석을 위한 세 가지 준거 = 43
나. 분석 틀 = 48
Ⅲ. 전국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과 단위 학교의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실태 = 54
1.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 수준의 개발 과정 및 내용 = 54
가.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 수준의 개발 과정 = 55
1) 교과 교육과정 운영위원회 구성과 활동 = 55
2) 국가 수준의 연수 및 장학자료에 대한 인식과 활용 = 60
3)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의 교과 교육과정 연수 및 장학 자료 = 62
나.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의 개발 내용 = 67
1)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 = 67
2) 도덕, 기술ㆍ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 = 73
2. 단위 학교 수준의 개발 과정 및 내용 = 79
가. 단위 학교에서의 개발 과정 = 79
1) 교과 교육과정 편성 참여자와 참고자료 = 79
2) 교과 교육과정 연수 및 장학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 = 86
3) 교과별 교사 연수 = 89
나. 단위 학교에서의 개발 내용 = 93
1)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 = 93
2) 도덕, 기술ㆍ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 = 98
3. 교실 수업에서의 교과 교육과정 운영 = 101
가.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 = 101
1) 국어과 = 101
2) 사회과 = 104
3) 수학과 = 106
4) 과학과 = 110
5) 영어과 = 113
나. 도덕, 기술ㆍ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 = 116
1) 도덕과 = 116
2) 기술ㆍ가정과 = 117
3) 체육과 = 119
4) 음악과 = 121
5) 미술과 = 123
4. 논의 = 125
가. 재구성 측면 = 125
나. 학습자 중심 측면 = 128
다. 다양화ㆍ특성화 측면 = 131
Ⅳ. 경기도, 전라남도 교육청 및 지역 교육청과 단위 학교의 교과 교육과정 구체화 사례 분석 = 134
1. 교과 교육과정 구체화 과정 및 내용 분석 = 134
가.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 = 134
1) 국어과 = 134
2) 사회과 = 137
3) 수학과 = 140
4) 과학과 = 143
5) 영어과 = 146
나. 도덕, 기술ㆍ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 = 150
1) 도덕과 = 150
2) 기술ㆍ가정과 = 152
3) 체육과 = 154
4) 음악과 = 156
5) 미술과 = 158
2. 교실 수업에서의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 160
가.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 수업 운영 실태 = 161
1) 국어과 = 161
2) 사회과 = 163
3) 수학과 = 167
4) 과학과 = 171
5) 영어과 = 174
나. 도덕, 기술ㆍ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 수업 운영 실태 = 176
1) 도덕과 = 176
2) 기술ㆍ가정과 = 179
3) 체육과 = 181
4) 음악과 = 184
5) 미술과 = 186
3. 논의 = 188
가. 재구성 측면 = 189
나. 학습자 중심 측면 = 194
다. 다양화ㆍ측성화 측면 = 202
Ⅴ. 요약 및 제언 = 206
1. 요약 = 206
가.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 수준 교과 교육과정 개발과정 및 내용 = 206
1)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의 교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 = 206
2)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의 교과 교육과정 개발 내용 = 207
나. 단위 학교 수준에서의 교과 교육과정 개발과정 및 내용 = 214
1) 단위 학교에서의 개발 과정 = 214
2) 단위 학교에서의 개발 내용 = 215
다. 교실 수업에서의 교과 교육과정 운영 = 219
1)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 = 219
2) 도덕, 기술ㆍ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 = 227
2. 제언 = 232
가. 교과 교육과정의 운영 개선을 위한 방안 = 232
나. 지원 체제 = 236
참고문헌 = 240
Abstract = 250
부록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