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실은 종]시대의 국가재정 연구 : 근대적 예산제도 수립과 변천](https://image.aladin.co.kr/product/48/49/cover/8976269098_1.gif)
000 | 00837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201680 | |
005 | 20100806072636 | |
007 | ta | |
008 | 040429s2004 ulk b 001c kor | |
020 | ▼a 8976269098 ▼g 94320 | |
020 | 1 | ▼a 8976265009(세트) |
035 | ▼a KRIC09318370 | |
040 | ▼a 211062 ▼d 211009 | |
085 | ▼a 336.53 ▼a 343.53034 ▼2 DDCK | |
090 | ▼a 336.53 ▼b 2004a | |
100 | 1 | ▼a 김대준 , ▼d 1923-1986 ▼0 AUTH(211009)125335 |
245 | 1 0 | ▼a 고조[실은 종]시대의 국가재정 연구 : ▼b 근대적 예산제도 수립과 변천 / ▼d 김대준. |
260 | ▼a 서울 : ▼b 태학사 , ▼c 2004. | |
300 | ▼a 331 p. ; ▼c 24 cm. | |
440 | 0 0 | ▼a 태학총서 ; ▼v 13 |
500 | ▼a 부록: 1. 광무 8년(1904)까지 시행된 稅法, 2. 광무 9년(1905) 이후 시행된 稅法, 3. 예산운영표 | |
504 | ▼a 참고문헌(p. [298]-306), 색인수록 | |
740 | ▼a 고종시대의 국가재정 연구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6.53 2004a | 등록번호 11133688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1-10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6.53 2004a | 등록번호 1113368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종시대, 자주적 근대화의 노력이 있었는가? 이에 관해서는 노력 부재론(내지 실패론)과 자력 근대화 실재론(내지 기회 피탈론)이 대립하고 있다. 저자는 "무능해서 망한 것이 아니라 많은 가능성 때문에 일본의 노골적인 침략주의에 부딪혀 자초하고 말았다"는 입장이다.
책은 자수자강의 근대화정책을 편, 고종 당시 대한제국 정부의 예산제도를 다루고 있다. 대한제국 수립 후 정부는 1895년 갑오개혁으로 개정된 회계제도를 충실하게 이행해 국가재정을 발전적으로 개선해 나갔으며, 그렇게 확립된 근대적 국가예산제도는 1904년 러.일전쟁 발발 후 일본의 재정고문 투입으로 그때까지의 발전적 균형성을 잃고 말았다는 논지가 담겨있다. 86년 사망한 고인의 박사논문에 제목을 고쳐 달고 출간에 붙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5 서론 1. 연구 목적 = 15 2. 연구 범위 = 16 3. 연구 방법 = 17 4. 연구의 개요와 내용 = 17 1) 연구의 개요 = 17 2) 연구 내용 = 18 제1장 회계법 1. 회계법 제정의 시대적 배경 = 21 1) 동학농민전쟁과 내정개혁 = 21 2) 갑오개혁 = 22 3) 을미개혁 = 26 2. 회계법의 제정 = 28 1) 회계법의 배경 = 28 2) 회계법의 구성 = 29 3) 회계법의 시행세칙 = 39 3. 근대적 예산원칙과 회계법 = 44 제2장 예산회계제도에 관련된 관제 1. 입법과 의결기관 = 50 1) 내각관제(1895) = 51 2) 의정부관제(1896) = 51 3) 의정부관제(1898) = 53 4) 의정부관제(1904) = 54 5) 의정부관제(1905) = 55 6) 내각관제(1907) = 58 2. 재무행정기관의 관제 = 60 1) 탁지부관제(1895) = 61 2) 탁지부관제(1905) = 66 3) 탁지부관제(1906) = 69 4) 탁지부관제(1907) = 74 3. 징수기관 = 80 1) 관세사급징세서관제(1895) = 81 2) 각읍부세소장정(1895) = 82 3) 세무시찰관장정(1895) = 82 4) 각군세무장정(1895) = 83 5) 관세관관제(1906) = 84 6) 재무감독국관제(1907) = 85 7) 재무서관제(1907) = 86 8) 조세징수규정(1906) = 88 9) 세외제수입수납취급규정(1908) = 89 10) 국세징수법(1909) = 89 4. 관세기관(關稅機關) = 90 1) 관세국관제(1907) = 91 2) 세관관제(1907) = 92 3) 관세국관제(1910) = 94 5. 검사기관(檢査機關) = 95 1) 회계심사국직장(1894) = 95 2) 회계검사규정(1906) = 96 3) 회계검사국관제(1907) = 97 제3장 예산 분석 1. 예산의 연도별 분석 = 99 1) 1896년도(건양 원년) 예산 = 102 2) 1897년도 예산 = 115 3) 1898년도 예산 = 120 4) 1899년도 예산 = 124 5) 1900년도 예산 = 129 6) 1901년도 예산 = 135 7) 1902년도 예산 = 141 8) 1903년도 예산 = 146 9) 1904년도 예산 = 152 10) 1905년도 예산 = 159 11) 1906년 예산 = 168 12) 1907년 예산 = 175 13) 1908년도 예산 = 197 14) 1909년도 예산 = 216 15) 1910년도 예산 = 236 2. 예산의 종합적 분석 = 252 1) 세출예산 분석 = 252 2) 세입예산 분석 = 265 결론 1. 전기(1895∼1904) = 279 1) 회계법 = 280 2) 관제 = 280 3) 예산 = 282 2. 후기(1905∼1910) = 283 1) 회계법 = 283 2) 관제 = 284 3) 예산 = 287 3. 결언 = 288 【부록】 = 291 참고문헌 = 298 Abstract = 307 찾아보기 =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