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5200790 | |
005 | 20221128115458 | |
007 | ta | |
008 | 050613s2004 ulka b 000c kor | |
020 | ▼a 898472761X ▼g 94370 | |
020 | 1 | ▼a 8984727601 ▼g 94370(전6권) |
035 | ▼a KRIC09849924 | |
040 | ▼a 211031 ▼d 223005 ▼d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375.006 ▼2 22 |
090 | ▼a 375.006 ▼b 1998a ▼c RRE2004-1-1 | |
245 | 0 0 | ▼a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n [1], ▼p 총론 / ▼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60 |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04 | |
300 | ▼a l, 700 p. : ▼b 삽화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E 2004-1-1 |
500 | ▼a 부록수록 | |
500 | ▼a 연구책임자: 정구향 | |
504 | ▼a 참고문헌: p. 622-628 | |
700 | 1 | ▼a 정구향, ▼e 연구책임 ▼0 AUTH(211009)75932 |
710 | ▼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e 편 ▼0 AUTH(211009)3587 | |
830 | 0 | ▼a 연구보고(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E 2004-1-1 |
940 | ▼a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
940 | ▼a 이천삼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006 1998a RRE2004-1-1 | Accession No. 11133512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성격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5 가. 학업성취도 평가도구 개발 = 5 나. 학업성취도 평가 예비검사 시행 = 6 다. 학업성취도 평가 본검사 시행 = 6 라.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점수체제와 동등화 = 8 마.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 8 3. 연구 방법 = 9 가. 관련 자료 연구 = 9 나. 전문가 협의회 = 9 다. 교육인적자원부 및 시ㆍ도 교육청 평가담당관과의 협의회 체제 운영 = 10 라. 워크숍 개최 = 11 Ⅱ.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관 = 13 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도구의 개발 = 13 가. 학업성취도 평가도구의 개발 절차 = 13 나. 교과별 평가의 주요 목표 = 16 다. 교과별 평가영역의 내용 = 22 라. 배경변인 설문지 개발 내용 = 33 2.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시행 절차 = 56 가. 학업성취도 시행 기관의 역할 = 56 나. 시행 절차 = 60 3. 예비검사 시행 = 62 가. 예비검사 대상 학교의 표집 = 62 나. 예비검사 시행 = 63 다. 예비검사 수행평가 문항 채점 = 64 라. 예비검사 결과 분석 = 64 4. 본검사 시행 = 66 가. 본검사 도구 및 설문지 구성 = 66 나. 본검사 대상 학교 표집 = 74 다. 본검사 시행 = 79 라. 본검사 수행평가 문항 채점 = 80 마. 본검사 분석을 위한 자료 구성 = 81 Ⅲ.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점수체제와 검사동등화 = 87 1.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척도 개발 = 87 가. 척도 개발의 필요성 = 87 나. 척도 개발 절차 = 89 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척도의 측정오차 = 96 2.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동등화 = 109 가. 검사동등화의 필요성 = 109 나. 검사동등화를 위한 기술적 및 실제적 주요 이슈 = 110 다. 검사동등화를 위한 자료 수집 설계 = 112 라. 검사동등화 방법 = 113 Ⅳ.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수준 설정 = 121 1. 성취수준 설정 방법 = 121 가. 성취도 평가에서의 성취수준 특성 = 121 나. 앙고프 방식의 변형 = 122 2. 성취수준 설정 절차 = 123 가. 내용 전문가의 자격 = 124 나. 성취수준 설정 절차 = 125 다. 성취수준 설정의 타당성 검토 = 127 3. 원점수 척도에서의 성취수준 설정 결과 = 128 가. 초등학교 = 129 나. 중학교 = 130 다. 고등학교 = 132 4. 개발된 점수체제에서 성취수준 분할점수의 연계 = 134 가. 초등학교 = 134 나. 중학교 = 138 다. 고등학교 = 142 5. 성취수준 설정의 신뢰성 검토 = 146 6. 대표문항 연계를 통한 성취수준의 특성 기술 및 보고 = 151 가. 교과별 성취수준 기술 = 151 나. 학생개인별 성취수준 통지 = 154 다. 국가수준의 성취수준 결과 보고 = 155 7. 성취수준 설정의 향후 과제 = 156 Ⅴ.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 158 1. 결과 분석 방법 = 158 가. 성취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 방법 = 159 나. 배경변인에 대한 분석 결과 방법 = 159 2. 초등학교 6학년 평가 결과 = 160 가. 성취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 = 160 나. 배경변인 분석 결과 = 174 3. 중학교 3학년 평가 결과 = 208 가. 성취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 = 208 나. 배경변인 분석 결과 = 222 4. 고등학교 1학년 평가 결과 = 263 가. 성취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 = 263 나. 배경변인 분석 결과 = 277 Ⅵ.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집중교과 심층분석 = 325 1. 분석방법 = 325 2. 초등학교에서의 학생 성취도와 교사 및 학생 배경변인과의 관계 = 327 가. 교사 배경변인 = 327 나. 학생 배경변인 = 358 3. 중학교에서의 학생성취도와 교사 및 학생 배경변인과의 관계 = 381 가. 교사 배경변인 = 381 나. 학생 배경변인 = 411 4. 고등학교에서의 학생성취도와 교사 및 학생 배경변인과의 관계 = 434 가. 교사 배경변인 = 434 나. 학생 배경변인 = 466 5. 수행평가 채점의 신뢰성 분석 = 488 가. 수행펴가 채점 절차 = 488 나. 수행평가 채점 설계 = 489 다. 수해평가 채점의 신뢰성 분석 방법 검토 = 492 라. 다국면 라쉬 모형 = 495 마. 수행평가 채점의 신뢰성 분석 결과 = 497 6. 실험평가 = 504 가. 국어 = 504 나. 수학 = 568 Ⅶ. 요약 및 제언 = 587 1. 요약 = 587 가. 서론 = 587 나.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관 = 588 다. 학업성취도 평가의 점수체제와 평가 동등화 = 594 라.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수준 설정 = 595 마.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 598 바.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집중교과 심층분석 = 606 2. 제언 = 609 가. 학업성취도의 평가 체제 정립을 위한 제언 = 609 나.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한 제언 = 616 다. 학교 현장 교육 지원을 위한 제언 = 619 참고문헌 = 622 ABSTRACT = 629 부록 = 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