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차례
표 차례
그림 차례
Ⅰ 실태 및 요구 분석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결과 보고 = 1
1. 실태 및 요구 분석의 배경과 목적 = 2
2. 실태 및 요구 분석의 내용과 방법 = 2
3. 실태 및 요구 분석 결과의 보고 = 4
Ⅱ 교사의 평가 전문성과 관련한 교육 및 연수 실태 = 5
1. 학생 평가 관련 지식과 능력의 습득 시기 및 방법 = 6
2. 「교육평가」관련 강좌의 개설과 이수 = 9
3. 「교육평가」관련 강좌의 교육 내용과 방법 = 16
4. 교사 임용 이후 교육평가 관련 연수 횟수 = 26
5. 교사 연수의 교육 내용과 방법 = 30
6. 연수 내용의 학생 평가에의 기여도 = 35
7. 「교육평가」관련 연수의 개선 방향 = 37
Ⅲ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의 학생 평가 실태 = 41
1. 교사의 학생 평가에 대한 인식 = 42
2. 학교 「성적관리규정」의 적용 = 49
3. 교사가 제작한 학생 평가 도구 = 54
4. 수행 평가의 실시와 성적 부여 = 67
5. 교수 학습 과정에서의 학생 평가 = 92
6. 평가 결과의 기록과 활용 = 106
Ⅳ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에 대한 평가 = 117
1. 교사의 자기 평가 = 118
2. 교육 전문가의 평가 = 128
3. 학생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 저해 요인 = 131
Ⅴ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에 대한 요구 및 개선 방향 = 135
1.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에 대한 인식 = 136
2. 학교에서의 학생 평가 개선에 대한 요구 = 139
3.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과 교육 시기 = 144
4. 교원 양성 기관의 「교육평가」관련 강좌의 개선 방향 = 149
5.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 방향 = 153
Ⅵ 실태 및 요구 분석 결과의 시사점과 논의 = 157
1. 교사 양성 교육의 획기적 개선 = 158
2. 현직 교사 연수의 근본적 재검토 = 159
3. 학생 평가의 방향 설정과 지향 = 160
4. 전문성 신장과 행ㆍ재정 지원 체제 = 161
부록
1. 표집 기준과 표집 학교 수 = 164
2. 표집 학교 명단 = 165
3. 설문지 = 168
4. 면담 및 질문 자료 = 192
4-1. 대학생용 = 192
4-2. 교사용 = 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