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청소년교육개론 : 신세대의 이해와 지도 개정판

청소년교육개론 : 신세대의 이해와 지도 개정판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권이종
Title Statement
청소년교육개론 : 신세대의 이해와 지도 / 권이종 저.
판사항
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교육과학사 ,   2001.  
Physical Medium
614 p. : 삽도 ; 27 cm.
ISBN
898287386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605-610)과 찾아보기수록
000 00568namccc200205 k 4500
001 000045198700
005 20100806065144
007 ta
008 051018s2001 ulka 001a kor
020 ▼a 8982873864 ▼g 93370: ▼c \20,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373 ▼2 22
090 ▼a 373 ▼b 2001b
100 1 ▼a 권이종
245 1 0 ▼a 청소년교육개론 : ▼b 신세대의 이해와 지도 / ▼d 권이종 저.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1.
300 ▼a 614 p. : ▼b 삽도 ; ▼c 27 cm.
504 ▼a 참고문헌(p.605-610)과 찾아보기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3 2001b Accession No. 15118385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본서는 다른 대학 전문서적과 같이 기초 이론에 깊이 들어가지 않았다.
2. 본서는 청소년과 관련된 총체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3. Conger의 연구와 저자의 연구를 합해서 재편집되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권이종(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 파독근로자기념관장, 한국청소년정책개발원장 역임. 전북 장수 태생으로 전주 동중학교, 전주신흥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4년 독일 메르크슈타인(Merkstein) 아돌프(Adolf) 광산에서 3년간 일했다. 그 후 아헨(Aachen) 공대 교원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학문 분야에서는 최초로 평생교육학과 청소년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하여 이 분야의 발전을 위해 지금까지 일하고 있다. 전북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아프리카아시아난민교육후원회 이사장, 한국파독광부·간호사·간호조무사연합회 이사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또한 교육부와 체육청소년부 자문위원, 문화관광부 청소년 정책 자문위원, 한국청소년연구소 소장, 대통령 자문기구 새교육공동체 위원, 민주평화통일청소년체육 분과위원장, 서울특별시 청소년 부위원장, 서울시 소년·청소년 상 심사위원장, 서울시 교육청 교육상 심사위원, 교육부 대학 평가위원, 전국 청소년 시설 평가위원, 한국청소년학회장, 한국사회교육학회장, 한국 간행물 윤리위원, KBS 해설위원, 대통령자문기구 청소년보호위원, 서울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소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개방대학』,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자녀교육 시리즈』, 『청소년의 두 얼굴』, 『맴도는 아이 방황하는 아이』, 『한국의 탈무드 손거울』, 『평생교육학』, 『막장광부 교수가 되다』, 『청소년학개론』, 『나눔 교육과 봉사가 세상을 바꾼다』, 『인연 백세백인』, 『아프리카 킬리만자로, 설렘과 마음의 길』, 『파독광부, 꿈을 캐는 교수로』 등 60여 권이 있으며, 국내외 1000여 회 이상 특강, 100여 회 이상 TV와 라디오 출연, 국내외 언론에 50여 회 이상 기고, 50여 회 이상의 인터뷰가 있다. 『동유럽의 교육제도』 등 100여 편의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파독광부 백서』, 『청소년백서』, 이 밖에 『독일에서 흘린 눈물』, 『청소년 문화론』 등을 비롯하여 10여 권의 공저가 있다. 포상으로는 ‘국민훈장 목련장’, ‘대한민국 경제발전에 기여한 숨은 공로자 17인 선정’, ‘새 한국 100년을 위한 33인 위원’, ‘위대한 한국인 대상’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 ⅲ
제Ⅰ부 청소년학의 기초
 제1장 청소년학의 정립과 전개 = 3
  1. 청소년학의 필요성 = 4
  2. 청소년학의 과학적 탐구 = 7
  3. 청소년 연구의 동향 = 23
  4. 청소년학 정립의 과제 = 34
 제2장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 39
  1. 청소년의 개념 = 39
  2. 청소년의 특성 = 44
제Ⅱ부 청소년학의 신체 및 정신발달
 제3장 청소년기의 발달 : 신체적 성장과 발달 = 51
  1. 청소년의 발달원리 = 51
  2. 청소년기의 신체적 성장과 발달 = 55
 제4장 청소년기의 발달 : 심리적 성장과 발달 = 79
  1. 자아정체성과 방어기제 = 79
  2. 청소년의 심리적·정신적 장애 = 100
 제5장 청소년의 지능과 인지 발달 = 131
  1. 지적 성장의 과정 = 132
  2. 청소년기의 인지 발달 = 140
  3. 정신능력의 유전적·환경적 결정요인 = 145
  4. 창조성 = 146
  5. 인지발달의 질적인 측면 = 152
  6. 인성발달에 있어서의 지적 발달의 효과 = 159
 제6장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과 가치관 = 165
  1. 인지적 성장과 도덕성 발달의 단계 = 165
  2. 청소년 가치관의 일반적 특징과 경향 = 169
  3. 도덕적 상대성, 자아 정체성, 사회 변화 = 171
  4. 사회화의 방법과 도덕성 발달 = 173
  5. 청소년 가치관 혼란과 사회적 원인 = 176
  6. 인지력 발달과 변화하는 종교적 신념 = 179
  7. 청소년의 올바른 가치관 정립을 위한 과제 = 181
제Ⅲ부 청소년 문화
 제7장 청소년과 성 = 185
  1. 성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 185
  2. 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 = 187
  3. 성역할의 발달이론 = 190
  4. 청소년의 성적 가치관 = 195
  5. 성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 197
  6. 바람직한 청소년 성교육의 방향 = 202
 제8장 청소년과 또래집단 = 207
  1. 동료의 역할 = 207
  2. 부모와 동료의 영향 = 211
  3. 청소년 동료집단의 변화 = 214
  4. 우정과 자아정체감의 발달 = 217
  5. 사회적 수용, 무시, 거부 = 220
  6. 이성동료와의 관계 = 222
 제9장 청소년 문화의 이해 = 227
  1. 청소년 문화의 개념 = 227
  2. 청소년 문화의 중요성 = 228
  3. 청소년 문화의 분류 = 229
  4. 청소년 문화의 실상과 허상 = 237
  5. 청소년 문화의 문제점 및 육성방안 = 238
 제10장 청소년과 여가활동 = 241
  1. 청소년 여가의 개념 = 241
  2. 여가의 교육적 의의 = 247
  3. 청소년 여가활동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256
 제11장 청소년과 매스미디어 = 261
  1. 매스미디어의 정의와 기능 = 261
  2. 매스미디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66
  3. 매스미디어가 청소년교육에 미치는 영향 = 268
  4. 정보화 사회와 청소년 = 271
  5. 매스미디어와 청소년 교육의 과제 = 282
 제12장 청소년과 단체활동 = 285
  1. 단체활동의 성격과 의의 = 285
  2. 단체활동의 역사 = 292
  3. 단체활동의 운영 = 295
  4. 단체활동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310
제Ⅳ부 청소년 환경
 제13장 청소년과 가정 = 317
  1. 가정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 317
  2. 가정의 기능과 부모의 의미 = 318
  3. 가정의 기능변화 = 322
  4. 가정에서의 부모의 역할과 역할 문제 = 323
  5.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과 청소년의 발달과업 = 328
  6. 청소년의 독립과 부모의 태도 = 339
  7. 부모의 부재 = 350
  8. 미래 가정교육의 방향 = 353
 제14장 청소년과 학교 = 359
  1.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 = 360
  2. 교육열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 = 368
 제15장 청소년과 진로교육 = 373
  1. 진로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373
  2.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 = 376
  3. 진로교육의 단계 = 379
  4. 현대 청소년들의 직업 문제 = 381
  5. 청소년의 특성이해와 진로교육 = 383
  6. 진로교육의 문제점과 지도방향 = 393
 제16장 청소년과 교육병리 = 397
  1. 교육병리의 개념 = 397
  2. 교육병리의 유형 = 399
  3. 교육병리의 치유대책 = 407
 제17장 청소년의 소외, 일탈, 비행 = 423
  1. 청소년의 소외 = 423
  2. 청소년의 일탈 = 425
  3. 청소년의 비행 = 432
  4. 청소년과 가출 = 439
  5. 청소년 집단따돌림 = 446
 제18장 청소년과 유해환경 = 455
  1. 청소년 유해환경의 개념과 분류 = 455
  2. 사회심리적 유해환경 = 463
  3. 사회제도적 유해환경 = 469
  4. 물리적 유해환경 = 472
  5. 청소년 유해환경의 개선을 위한 노력 = 478
제Ⅴ부 청소년의 미래세계과제
 제19장 청소년 행정 = 483
  1. 청소년 행정의 개념과 성격 = 483
  2. 청소년 행정과 관련법규 = 488
  3. 2000년을 대비한 청소년 육성정책의 목표 및 청소년 현황 = 496
 제20장 청소년지도의 과제와 전망 = 513
  1. 바람직한 청소년상 = 513
  2. 청소년 인권 = 523
  3. 세계 속의 한국청소년 = 532
청소년기본법 = 537
청소년보호법 = 567
참고문헌 = 587
찾아보기 = 59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