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들이 쓴) 동아시아 역사와 일본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들이 쓴) 동아시아 역사와 일본 (Loan 25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송완범, 역 신현승, 역 윤한용, 역
Corporate Author
歷史教育者協議会
Title Statement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들이 쓴) 동아시아 역사와 일본 / 일본 역사교육자협의회 편 ; 송완범, 신현승, 윤한용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동아시아,   2005   (2011 3쇄)  
Physical Medium
422 p. : 삽화, 연표 ; 23 cm
Varied Title
東アジア世界と日本 : 日本ㆍ朝鮮ㆍ中國關係史
ISBN
8988165594 978898816559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418-422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197919
005 20231116091356
007 ta
008 050822s2005 ulkaj b 000c kor
020 ▼a 8988165594 ▼g 03910
020 ▼a 9788988165591 ▼g 03910
035 ▼a KRIC10013165
040 ▼d 211046 ▼d 211009 ▼a 211009 ▼c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327.5205 ▼a 950 ▼2 23
085 ▼a 327.5205 ▼2 DDCK
090 ▼a 327.5205 ▼b 2005
110 ▼a 歷史教育者協議会 ▼0 AUTH(211009)17331
245 2 0 ▼a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들이 쓴) 동아시아 역사와 일본 / ▼d 일본 역사교육자협의회 편 ; ▼e 송완범, ▼e 신현승, ▼e 윤한용 옮김
246 1 9 ▼a 東アジア世界と日本 : ▼b 日本ㆍ朝鮮ㆍ中國關係史
246 3 ▼a Higashi Ajia sekai to Nihon : ▼b Nihon Chosen Chugoku kankeishi
260 ▼a 서울 : ▼b 동아시아, ▼c 2005 ▼g (2011 3쇄)
300 ▼a 422 p. : ▼b 삽화, 연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418-422
700 1 ▼a 송완범, ▼e▼0 AUTH(211009)66662
700 1 ▼a 신현승, ▼e▼0 AUTH(211009)13350
700 1 ▼a 윤한용, ▼e
910 0 ▼a Rekishi Kyoikusha Kyogikai, ▼e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113343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118269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410479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212497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Monographs/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21204738 Availability Lost(Lost by User)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511926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113343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118269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410479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212497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Monographs/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21204738 Availability Lost(Lost by User)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5205 2005 Accession No. 1511926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중일 3국의 관계망 속에서 균형 잡힌 시각으로 역사를 기술한 교양서이다. 교과서와 같은 일반 통사적 접근이 아닌, 시대별로 동아시아 국가들이 맞물리는 주요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그 속에서 일본이 어떤 태도를 지녀왔고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가를 특히 주목한다.

이 책은 '균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우선 한중일 3국의 관계와 시대별 주목할 만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균형 있게 다루고 있으며, 근현대에 치우친 기존 역사서들과 달리 동아시아가 형성되는 고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역사 전반을 싣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일본역사교육자협의회(엮은이)

1949년 7월 14일 창립되었다. 60여 년의 활동을 거쳐 현재 전국 47도도부현 모든 지역에서 약 400개의 지회가 활동하고 있다. 약 4000명의 회원 및 1만여 명에 이르는 월간 『역사지리교육』의 독자와 함께하며, 모든 어린이가 주권자로 자라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는 사회과 수업에 전념하고 있다. 또 지역 민중의 생활과 역사를 발굴해 역사와 현대를 깊이 있게 가르치는 활동을 진행한다. 유치원 교사부터 중·고등학교 교사와 대학교수가 함께 회원으로 활동하며, 역사 교육과 역사 연구에 관심이 많은 시민들도 참여하고 있다. 한국과의 교류를 위해 일한역사교류위원회를 두어 양국 간 평화와 인권의 증진을 위한 수업 실천 교류, 공동 교재 제작을 진행하고 있다.

송완범(옮긴이)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수로서 글로벌일본연구원 부원장 겸 총장 직속 고령사회연구원 부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 주제는 동아시아 세계 속의 일본 역사와 문화, 한일 관계, 동아시아안전공동체론, 고령(숙년)사회연구 등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목간에 비친 고대 일본의 서울 헤이조쿄>(역서), <동아시아세계 속의 일본율령국가 연구>(저서), <2022 대한민국이 열광할 시니어 트렌드>(공저), <남방발전사>(역서) 등이 있다.

신현승(옮긴이)

2021년 현재 중국 정강산대학井岡山大學 외국어학원 일본어과 교수. 일본 동경대학 동아시아사상문화 전공 석사 및 박사, 중국 천진사범대학 정치사상 전공 석사, 강원대 철학과 학사. 10년 간의 중국, 일본 유학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뒤 고려대 HK연구교수, 상지대 조교수 및 여러 대학 등에서 강의와 연구 활동에 매진하였다. 그러던 와중에 운명의 힘에 이끌려 중국으로 다시 건너가 지금은 동아시아 유교사상사 가운데, 강서 유학과 여릉문화(강서성 길안시)에 흥미를 갖고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명대 말기 유종주와 지식인 네트워크』(2020), 『제국 지식인의 패러독스와 역사철학』(2015), 『한국을 다시 묻다』(2016, 공저) 등, 옮긴 책으로 『잔향의 중국철학: 언어와 정치』(2015), 『삼국지의 세계』(2011, 공역), 『송학의 형성과 전개』(2004), 『사대부의 시대』(2004), 『동아시아 역사와 일본』(2005, 공역), 『청년 모택동』(2005) 등이 있다. 그 외 수십 편의 동아시아 사상문화 및 유교철학 관련 논문이 있다.

윤한용(옮긴이)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사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일본중세사 석사를 취득했으며, 2005년 현재 도쿄대학 대학원 일본중세사 박사과정에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추천의 말 = 5
옮긴이의 말 = 7
들어가는 말 = 16
제1장 동아시아세계의 형성
 1 농경의 시작과 도구의 역사 = 21
  중국 황하문명
  농경과 토기
  마제석기와 옥기
  금속의 시대
 2 광개토왕과 장수왕의 100년 = 29
  광개토왕비
  건국에서 광개토왕까지
  최전성기의 고구려
  왜와 고구려
 3 동아시아의 불교 전래 = 36
  왜국으로의 불교 전래
  한반도 삼국의 불교
  일본 최초의 승려와 씨사
  중국의 불교
 4 대륙의 격동과 견당사ㆍ견신라사 = 43
  남북분열의 통일과 견수사 파견
  견당사와 아시아 정세
  나라시대와 견당사   
  견신라사와 견발해사
 5 실크로드의 종착역, 정창원 = 49
  동아시아의 제전
  정창원의 보물
  세계 문물의 집결지, 장안
  정창원과 신라ㆍ발해
 6 밀교의 융성과 쇠퇴 = 55
  고보대사 전설
  사이초와 구카이의 도항
  밀교의 원류
  일본의 밀교와 티베트의 밀교
 7 발해의 동아시아 교역사 = 62
  발해의 건국
  발해사의 일본 방문
  발해와 일본의 교역
  발해사의 역할
  문화교류 사절로서의 발해사
제2장 각 지역의 자립과 교류
 1 고려와 일본의 무신정권 비교 = 71
  무신정권의 성립
  헤이시정권과 가마쿠라막부
  무신정권과 헤이시정권ㆍ가마쿠라막부 비교
  무신정권의 붕괴
 2 북송의 번영 = 77
  송의 건국과 송전
  『동경몽화록』
  개봉의 번영
 3 선종과 주자학의 수용 = 83
  난계도륭과 임제선
  엔니와 사국명
  송학의 성립
  조선의 주자학과 일본
 4 거란ㆍ요와 서하 - 북방민족의 자립 = 89
  자신들의 문자를 만들다
  송의 황제는 형, 요의 황제는 동생
  요와 서하가 가져온 활발한 교역활동
 5 오호츠크와 아이누문화의 성립 = 95
  북쪽 바다를 무대로
  오호츠크사람들과 사쓰몬문화
  몽고와 싸운 아이누
 6 동아시아와 몽고 = 100
  아시아 각지를 침공한 몽고
  일본 원정의 이유
  상업제국 몽고와 원일무역
  몽고에 대한 세계의 평가
제3장 동아시아의 번영과 동요
 1 조선왕조의 건국 = 107
  왜구의 활동과 명의 건국, 고려에서 조선왕조로의 교체
  동아시아 해역에서의 통제무역
  센고쿠시대의 쟁란과 동아시아 통제무역의 혼란
 2 사비에르가 본 동아시아 = 113
  가고시마 도착
  안지로
  왜구의 시대
  포르투갈의 아시아 진출
  사비에르의 죽음
 3 명의 해금정책과 류큐 = 119
  해금정책
  후기왜구와 류큐
  나가사키
 4 임진ㆍ정유왜란과 조선인의 연행 = 126
  제1차 침략(임진왜란)
  제2차 침략(정유재란)
  침략전쟁 이후의 조선ㆍ명ㆍ일본
  침략전쟁이 초래한 비극
 5 명청 교체와 조선ㆍ일본 = 132
  양면성을 가진 청조
  중화황제로서의 청조 황제
  조선의 소중화 사상
  일본의 화이사상
  막부의 '화이질서'적 편성
 6 정성공의 활동과 역사적 평가 = 138
  정성공의 생애
  구원을 요청하다
  정성공의 대만 공략
  정경과 정극상
  정성공의 역사적 평가
 7 마쓰마에번과 아이누민족 = 144
  에조치의 생산성
  마쓰마에번과 아이누민족
  불합리한 교역
  장소청부제도와 아이누민족의 생활
 8 동아시아 속의 에도 = 150
  히데요시의 동아시아 구상과 조선 침략
  도쿠가와정권 초기의 동아시아 국제관계
  조선왕조와의 국교회복ㆍ조선통신사ㆍ왜관무역
  도쿠가와정권의 동아시아 국제관계 및 구미세력과의 관계
 9 일본 안의 다른 나라, 류큐 = 156
  경하사와 사은사
  류큐사절과 도쇼구
  에도노보리제도의 특징
 10 남하하는 러시아, 북상하는 막부 = 161
  북상하는 막부
  러시아 접근하다
  막부의 에조치 경영과 아이누민족
  막부 붕괴의 서장
  조선에 천주교가 수용되기까지
제4장 근대화와 제국주의
 1 한중일 삼국의 개항과 불평등조약 = 171
  아편전쟁과 남경조약
  교섭조약이었던 일본의 개항
  일본이 강요한 패전조약
 2 근대 일본과 청ㆍ조선ㆍ류큐 = 178
  메이지정부와 청 ㆍ조선 외교
  류큐번의 설치
  일본과 류큐의 관계 변천
 3 근대 일본과 홋카이도 = 184
  홋카이도 개척과 이민
  아이누민족의 근대
 4 갑오농민전쟁과 청일전쟁 = 191
  '무명 동학농민군 위령탑'
  청일전쟁은 과연 '조선 독립'을 위한 전쟁이었는가?
  일본의 목적과 날조된 역사
  교만한 일본의 만행 그 후
 5 러일전쟁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197
  열강에 대한 저항운동의 주춧돌
  아시아의 민중운동에 영향을 미치다
  은폐된 제국 팽창주의
  차단당하고 만 한국의 호소
  러일전쟁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6 한국 병합과 동아시아 = 203
  조선의 정세와 명성황후 시해시건
  제국주의 열강의 승인과 한국의 고립
  한국의 피보호 국화에서 한국 병합까지
  일본 팽창주의의 신단계, 한국 병합
 7 미완의 아시아 인터내셔널 '아주화친회' = 209
  아시아의 기대를 배반한 일본
  아주화친회의 탄생
  아주화친회의 쇠퇴
 8 3ㆍ1운동, 5ㆍ4운동, 민주주의 = 215
  민중운동으로서의 3ㆍ1운동과 5ㆍ4운동
  운동의 배경 - 제1차 세계대전과 동아시아
  3ㆍ1운동의 발발
  중국의 반응과 5ㆍ4운동
 9 무사사건과 일본의 식민지 지배 = 221
  불만의 폭발
  항일 봉기를 부른 일본의 '리번정책'
  무참한 원주민 진압
제5장 파시즘과 동아시아
 1 존재하지 않는 나라 '만주국' = 231
  일본의 꼭두각시 국가
  총무청과 관동군의 실권 장악
  국적법이 없는 나라
  통제정책의 진전 - 중국 침략을 위한 기지
 2 일본인 병사의 반전운동 = 238
  일본인민 반전동맹의 성립
  각성연맹의 활동
  일본군 병사에 대한 선전 공작
 3 황민화 정책과 민족독립운동 = 244
  중일전쟁 발발과 조선
  황민화 정책과 창씨개명
  항일민족운동의 전개
 4 시베리아 출병과 노몽한 - 일본의 북진론 = 251
  시베리아 출병 - 제1차 북진론의 좌절
  '만주국' - 대 소련전쟁의 전진 기지
  노몽한사건 - 북진론의 두 번째 좌절
 5 남경대학살에서 총동원으로 = 257
  남경함락으로 기뻐하는 국민
  일본 국민에겐 은폐된 '남경대학살'
  일본인 총동원령
 6 제2차 세계대전과 동아시아 = 263
  일본의 총력전과 동아시아
  식민지 조선의 희생
  점령지 중국의 희생
 7 도쿄재판과 BC급 전범재판 = 269
  팔 판사와 자라닐라 판사
  BC급 전쟁범죄 재판
  중국의 BC급 전쟁범죄 재판
  조선인ㆍ대만인 BC급 전범
 8 귀신에서 인간으로 부활한 전범 = 276
  전쟁범죄인의 인도
  포로와 국제법
  자백에서 죄의 인정으로
  용서받은 전범들
  반전ㆍ평화운동으로
 9 중국 보물 피난기 = 283
  자금성의 발자취와 보물
  고궁 최대의 위기와 보물상자 포장작업
  보물의 남쪽 운반과 런던전
  전쟁의 불길 속에서
  최후의 여행
제6장 냉전과 동아시아
 1 한국전쟁과 일본의 재군비 = 293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한국전쟁
  전쟁의 결과
  한국전쟁과 일본
 2 전후 세계와 오키나와 = 299
  동아시아의 군사거점, 오키나와
  미국의 세계전략과 오키나와
  베트남 전장에 직결된 오키나와
  오키나와와 베트남의 전투
 3 반둥회의와 중국ㆍ일본 = 306
  반둥회의의 개최
  반둥회의와 중국
  반둥회의와 일본
  평화10원칙
  반둥회의의 의의
 4 중소대립의 시대, 새로운 냉전 = 312
  소련의 평화공존책과 중소의 균열
  중소논쟁의 개시
  중소대립이 일본에 미친 영향
 5 문화대혁명 = 317
  문화대혁명이란 무엇인가
  문화대혁명의 원인
  문화대혁명의 경과
  미중접근과 문화대혁명의 종언
  문화대혁명과 일본
 6 베트남전쟁과 동아시아 = 323
  냉전시대의 국지전
  한국의 경제발전과 베트남전쟁
  일본경제와 베트남전쟁
  일본의 전쟁가담
  동아시아의 경제성장과 베트남전쟁
  사회주의국가와 베트남전쟁
 7 한국의 경제성장과 김대중사건 = 330
  박정희정권과 한국경제
  한일조약과 베트남전쟁
  독재와 민주화운동
  김대중사건
제7장 현대의 동아시아
 1 중국의 개혁ㆍ개방정책 = 339
  경제성장을 위하여
  개혁ㆍ개방정책의 내실
  개혁ㆍ개방정책의 성과
 2 한국ㆍ대만의 민주화와 아시아 통화위기 = 344
  아시아의 '네 마리 작은 용'
  한국과 대만의 통화위기
  한국의 민주화투쟁과 경제개혁
  대만의 민주화와 중국과의 관계
 3 국경을 초월한 가수, 등려군 = 350
  가수를 향한 길
  〈하일군재래〉와 중국
  천안문사건
  등려군의 죽음과 꿈
 4 전후 처리와 재일코리안 = 357
  재일코리안
  국적과 재류권
  취직차별의 철폐
  지방참정권과 민족교육
  부부별성에 관하여
 5 침묵의 역사를 깨고 - '위안부'와 전후보상 = 365
  왜 침묵이 깨진 것일까
  '위안부' 문제의 배경
  '위안부'란 - 중국과 인도네시아의 사례
  일본정부의 태도와 세계의 움직임
  '위안부' 피해의 특징
  '위안부' 문제의 현재
  사할린에 남겨진 한국인
 6 글로벌리제이션 속의 동아시아 = 375
  글로벌리제이션의 파도
  동아시아에서의 글로벌리제이션
  글로벌리제이션이 가져온 것
 7 국교회복을 향하는 일본과 북한 = 379
  북한과의 국교회복 지연
  국교교섭의 시작과 북한의 무법행위
  고이즈미 총리의 방북
  핵문제와 고이즈미 총리의 재방북
맺음말 = 385
주 = 391
한ㆍ중ㆍ일 관계사 연표 = 411
참고문헌 = 41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민귀식 (2022)
임갑수 (2023)
五百旗頭薫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