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말 = 5
옮긴이의 말 = 7
들어가는 말 = 16
제1장 동아시아세계의 형성
1 농경의 시작과 도구의 역사 = 21
중국 황하문명
농경과 토기
마제석기와 옥기
금속의 시대
2 광개토왕과 장수왕의 100년 = 29
광개토왕비
건국에서 광개토왕까지
최전성기의 고구려
왜와 고구려
3 동아시아의 불교 전래 = 36
왜국으로의 불교 전래
한반도 삼국의 불교
일본 최초의 승려와 씨사
중국의 불교
4 대륙의 격동과 견당사ㆍ견신라사 = 43
남북분열의 통일과 견수사 파견
견당사와 아시아 정세
나라시대와 견당사
견신라사와 견발해사
5 실크로드의 종착역, 정창원 = 49
동아시아의 제전
정창원의 보물
세계 문물의 집결지, 장안
정창원과 신라ㆍ발해
6 밀교의 융성과 쇠퇴 = 55
고보대사 전설
사이초와 구카이의 도항
밀교의 원류
일본의 밀교와 티베트의 밀교
7 발해의 동아시아 교역사 = 62
발해의 건국
발해사의 일본 방문
발해와 일본의 교역
발해사의 역할
문화교류 사절로서의 발해사
제2장 각 지역의 자립과 교류
1 고려와 일본의 무신정권 비교 = 71
무신정권의 성립
헤이시정권과 가마쿠라막부
무신정권과 헤이시정권ㆍ가마쿠라막부 비교
무신정권의 붕괴
2 북송의 번영 = 77
송의 건국과 송전
『동경몽화록』
개봉의 번영
3 선종과 주자학의 수용 = 83
난계도륭과 임제선
엔니와 사국명
송학의 성립
조선의 주자학과 일본
4 거란ㆍ요와 서하 - 북방민족의 자립 = 89
자신들의 문자를 만들다
송의 황제는 형, 요의 황제는 동생
요와 서하가 가져온 활발한 교역활동
5 오호츠크와 아이누문화의 성립 = 95
북쪽 바다를 무대로
오호츠크사람들과 사쓰몬문화
몽고와 싸운 아이누
6 동아시아와 몽고 = 100
아시아 각지를 침공한 몽고
일본 원정의 이유
상업제국 몽고와 원일무역
몽고에 대한 세계의 평가
제3장 동아시아의 번영과 동요
1 조선왕조의 건국 = 107
왜구의 활동과 명의 건국, 고려에서 조선왕조로의 교체
동아시아 해역에서의 통제무역
센고쿠시대의 쟁란과 동아시아 통제무역의 혼란
2 사비에르가 본 동아시아 = 113
가고시마 도착
안지로
왜구의 시대
포르투갈의 아시아 진출
사비에르의 죽음
3 명의 해금정책과 류큐 = 119
해금정책
후기왜구와 류큐
나가사키
4 임진ㆍ정유왜란과 조선인의 연행 = 126
제1차 침략(임진왜란)
제2차 침략(정유재란)
침략전쟁 이후의 조선ㆍ명ㆍ일본
침략전쟁이 초래한 비극
5 명청 교체와 조선ㆍ일본 = 132
양면성을 가진 청조
중화황제로서의 청조 황제
조선의 소중화 사상
일본의 화이사상
막부의 '화이질서'적 편성
6 정성공의 활동과 역사적 평가 = 138
정성공의 생애
구원을 요청하다
정성공의 대만 공략
정경과 정극상
정성공의 역사적 평가
7 마쓰마에번과 아이누민족 = 144
에조치의 생산성
마쓰마에번과 아이누민족
불합리한 교역
장소청부제도와 아이누민족의 생활
8 동아시아 속의 에도 = 150
히데요시의 동아시아 구상과 조선 침략
도쿠가와정권 초기의 동아시아 국제관계
조선왕조와의 국교회복ㆍ조선통신사ㆍ왜관무역
도쿠가와정권의 동아시아 국제관계 및 구미세력과의 관계
9 일본 안의 다른 나라, 류큐 = 156
경하사와 사은사
류큐사절과 도쇼구
에도노보리제도의 특징
10 남하하는 러시아, 북상하는 막부 = 161
북상하는 막부
러시아 접근하다
막부의 에조치 경영과 아이누민족
막부 붕괴의 서장
조선에 천주교가 수용되기까지
제4장 근대화와 제국주의
1 한중일 삼국의 개항과 불평등조약 = 171
아편전쟁과 남경조약
교섭조약이었던 일본의 개항
일본이 강요한 패전조약
2 근대 일본과 청ㆍ조선ㆍ류큐 = 178
메이지정부와 청 ㆍ조선 외교
류큐번의 설치
일본과 류큐의 관계 변천
3 근대 일본과 홋카이도 = 184
홋카이도 개척과 이민
아이누민족의 근대
4 갑오농민전쟁과 청일전쟁 = 191
'무명 동학농민군 위령탑'
청일전쟁은 과연 '조선 독립'을 위한 전쟁이었는가?
일본의 목적과 날조된 역사
교만한 일본의 만행 그 후
5 러일전쟁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197
열강에 대한 저항운동의 주춧돌
아시아의 민중운동에 영향을 미치다
은폐된 제국 팽창주의
차단당하고 만 한국의 호소
러일전쟁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6 한국 병합과 동아시아 = 203
조선의 정세와 명성황후 시해시건
제국주의 열강의 승인과 한국의 고립
한국의 피보호 국화에서 한국 병합까지
일본 팽창주의의 신단계, 한국 병합
7 미완의 아시아 인터내셔널 '아주화친회' = 209
아시아의 기대를 배반한 일본
아주화친회의 탄생
아주화친회의 쇠퇴
8 3ㆍ1운동, 5ㆍ4운동, 민주주의 = 215
민중운동으로서의 3ㆍ1운동과 5ㆍ4운동
운동의 배경 - 제1차 세계대전과 동아시아
3ㆍ1운동의 발발
중국의 반응과 5ㆍ4운동
9 무사사건과 일본의 식민지 지배 = 221
불만의 폭발
항일 봉기를 부른 일본의 '리번정책'
무참한 원주민 진압
제5장 파시즘과 동아시아
1 존재하지 않는 나라 '만주국' = 231
일본의 꼭두각시 국가
총무청과 관동군의 실권 장악
국적법이 없는 나라
통제정책의 진전 - 중국 침략을 위한 기지
2 일본인 병사의 반전운동 = 238
일본인민 반전동맹의 성립
각성연맹의 활동
일본군 병사에 대한 선전 공작
3 황민화 정책과 민족독립운동 = 244
중일전쟁 발발과 조선
황민화 정책과 창씨개명
항일민족운동의 전개
4 시베리아 출병과 노몽한 - 일본의 북진론 = 251
시베리아 출병 - 제1차 북진론의 좌절
'만주국' - 대 소련전쟁의 전진 기지
노몽한사건 - 북진론의 두 번째 좌절
5 남경대학살에서 총동원으로 = 257
남경함락으로 기뻐하는 국민
일본 국민에겐 은폐된 '남경대학살'
일본인 총동원령
6 제2차 세계대전과 동아시아 = 263
일본의 총력전과 동아시아
식민지 조선의 희생
점령지 중국의 희생
7 도쿄재판과 BC급 전범재판 = 269
팔 판사와 자라닐라 판사
BC급 전쟁범죄 재판
중국의 BC급 전쟁범죄 재판
조선인ㆍ대만인 BC급 전범
8 귀신에서 인간으로 부활한 전범 = 276
전쟁범죄인의 인도
포로와 국제법
자백에서 죄의 인정으로
용서받은 전범들
반전ㆍ평화운동으로
9 중국 보물 피난기 = 283
자금성의 발자취와 보물
고궁 최대의 위기와 보물상자 포장작업
보물의 남쪽 운반과 런던전
전쟁의 불길 속에서
최후의 여행
제6장 냉전과 동아시아
1 한국전쟁과 일본의 재군비 = 293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한국전쟁
전쟁의 결과
한국전쟁과 일본
2 전후 세계와 오키나와 = 299
동아시아의 군사거점, 오키나와
미국의 세계전략과 오키나와
베트남 전장에 직결된 오키나와
오키나와와 베트남의 전투
3 반둥회의와 중국ㆍ일본 = 306
반둥회의의 개최
반둥회의와 중국
반둥회의와 일본
평화10원칙
반둥회의의 의의
4 중소대립의 시대, 새로운 냉전 = 312
소련의 평화공존책과 중소의 균열
중소논쟁의 개시
중소대립이 일본에 미친 영향
5 문화대혁명 = 317
문화대혁명이란 무엇인가
문화대혁명의 원인
문화대혁명의 경과
미중접근과 문화대혁명의 종언
문화대혁명과 일본
6 베트남전쟁과 동아시아 = 323
냉전시대의 국지전
한국의 경제발전과 베트남전쟁
일본경제와 베트남전쟁
일본의 전쟁가담
동아시아의 경제성장과 베트남전쟁
사회주의국가와 베트남전쟁
7 한국의 경제성장과 김대중사건 = 330
박정희정권과 한국경제
한일조약과 베트남전쟁
독재와 민주화운동
김대중사건
제7장 현대의 동아시아
1 중국의 개혁ㆍ개방정책 = 339
경제성장을 위하여
개혁ㆍ개방정책의 내실
개혁ㆍ개방정책의 성과
2 한국ㆍ대만의 민주화와 아시아 통화위기 = 344
아시아의 '네 마리 작은 용'
한국과 대만의 통화위기
한국의 민주화투쟁과 경제개혁
대만의 민주화와 중국과의 관계
3 국경을 초월한 가수, 등려군 = 350
가수를 향한 길
〈하일군재래〉와 중국
천안문사건
등려군의 죽음과 꿈
4 전후 처리와 재일코리안 = 357
재일코리안
국적과 재류권
취직차별의 철폐
지방참정권과 민족교육
부부별성에 관하여
5 침묵의 역사를 깨고 - '위안부'와 전후보상 = 365
왜 침묵이 깨진 것일까
'위안부' 문제의 배경
'위안부'란 - 중국과 인도네시아의 사례
일본정부의 태도와 세계의 움직임
'위안부' 피해의 특징
'위안부' 문제의 현재
사할린에 남겨진 한국인
6 글로벌리제이션 속의 동아시아 = 375
글로벌리제이션의 파도
동아시아에서의 글로벌리제이션
글로벌리제이션이 가져온 것
7 국교회복을 향하는 일본과 북한 = 379
북한과의 국교회복 지연
국교교섭의 시작과 북한의 무법행위
고이즈미 총리의 방북
핵문제와 고이즈미 총리의 재방북
맺음말 = 385
주 = 391
한ㆍ중ㆍ일 관계사 연표 = 411
참고문헌 =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