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서울대 이태진 교수의)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 메이지 일본의 한국침략사 (8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태진 李泰鎭, 1943-
서명 / 저자사항
(서울대 이태진 교수의)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 메이지 일본의 한국침략사 / 이태진
발행사항
파주 :   태학사,   2005   (2008)  
형태사항
277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연표 ; 21 cm
총서사항
문화의 창 ;5
ISBN
8976269993 9788976269997 8976265459 (세트) 9788976265456 (세트)
일반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868namcc2200277 c 4500
001 000045197575
005 20140512175053
007 ta
008 050927s2005 ggkadj b 001c kor
020 ▼a 8976269993 ▼g 04910
020 ▼a 9788976269997 ▼g 04910
020 1 ▼a 8976265459 (세트)
020 1 ▼a 9788976265456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951.902 ▼2 23
085 ▼a 953.059 ▼2 DDCK
090 ▼a 953.059 ▼b 2005k
100 1 ▼a 이태진 ▼g 李泰鎭, ▼d 1943- ▼0 AUTH(211009)18771
245 2 0 ▼a (서울대 이태진 교수의)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 ▼b 메이지 일본의 한국침략사 / ▼d 이태진
246 3 0 ▼a 한국사
260 ▼a 파주 : ▼b 태학사, ▼c 2005 ▼g (2008)
300 ▼a 277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연표 ; ▼c 21 cm
440 0 0 ▼a 문화의 창 ; ▼v 5
500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9 2005k 등록번호 1113347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9 2005k 등록번호 5110188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953.059 2005k 등록번호 1113347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59 2005k 등록번호 1512037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59 2005k 등록번호 1512037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9 2005k 등록번호 1113347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9 2005k 등록번호 5110188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953.059 2005k 등록번호 1113347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59 2005k 등록번호 1512037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59 2005k 등록번호 1512037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서울대 이태진 교수가 동경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메이지 일본의 한국 침략사' 에 대해 강의한 내용을 책으로 엮었다. 일본 식민사관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반박하며, 조선이 메이지 일본의 침략에 시달리면서도 자수자강을 위해 줄기차게 노력을 했었음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당파싸움은 유교적 이상을 실현한 붕당정치였으며, 고종은 무능한 군주가 아니라 개혁군주였다는 점, 강화도 조약을 낳은 운요호 사건이 일본의 교묘한 공작으로 발생했으며, 국권 침탈이 일본의 강압에 의해 이루어진 만큼 국제법상 무효라는 주장 등이 책의 대표적인 내용이다.

지은이의 말에 따르면 학생들의 반응은 한 마디로 처음 들어보는 소리라는 것이었다고 한다. 어떤 학생은 메이지 시대를 비판하는 강의는 이번에 처음 들어봤다면서 존경했던 인물들이 한국에 대해 한 짓을 알게 되면서 역사상이 흔들린다고 했다. 어느 교수는 그런 짓을 해 놓고 어떻게 근대화를 했다고 할 수 있느냐고 부끄러워했다. 지은이는 이 강의가 일본 학생들만이 들어야 할 내용은 결코 아니며, 오히려 한국인들이 먼저 알아야 할 내용이라고 말한다.

* 책은 동경대학 철학센터의 초청으로 서울대 이태진 교수가 2004년도 6월 24일부터 7월 15일까지 일본 동경대학 고마바 캠퍼스 총합문화학과 대학원생들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강의한 내용을 엮은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태진(지은이)

서울대학교 학부 및 대학원 사학과에서 한국사를 전공하고, 경북대학교 교양학부 및 사학과를 거쳐 1977년에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 부임하여 2009년까지 재임하였다. 조선시대의 사회사, 정치사를 연구하다가 1992년부터 근대 한일관계사, 특히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의 불법성에 관한 연구에 종사하였다. 근대사와 한일관계에 관한 저서로 『고종시대의 재조명』,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 연구: 조약 강제와 저항의 역사』, 『끝나지 않은 역사: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 등이 있다. 한편, 『조선왕조실록』에서 자연 이상 현상 기록 2만 5,300여 건을 뽑아 이를 분석하여 1490년부터 1760년까지 270년간이 이른바 소빙기(little ice age)의 재난 현상기란 것을 국제 천문학 저널에 보고하고, 『새 한국사』에서 조선 중기의 역사를 천재지변 극복의 역사로 조명하였다. 진단학회 회장, 역사학회 회장, 학술단체연합회 회장, 한일역사가회의 한국 측 운영위원장, 국사편찬위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06년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4
제1차 강의 _ 일본의 한국사 왜곡 출발점으로서의 고종시대
 역사의 진실을 찾아 = 16
 일본 침략주의의 한국사 왜곡 = 20
 한국강제병합은 곧 정한론의 실현 = 21
 고종시대가 왜곡의 출발점 = 22
 왜곡된 유교의 '악정' = 24
 일본의 경험과는 다른 역사 = 27
 14세기 후반 백성의 탄생과 조선왕조 = 28
 민생 향상에 전력투구한 유교 왕정 = 29
 조선 중기의 공론(公論)을 앞세운 유교 = 31
 16~17세기 장기 자연재해로 인한 왕정의 난맥 = 32
 외계충격(Extra-Terrestrial Impact)으로 인한 대재난 = 33
 신의 등장을 가져온 외계충격 = 39
 역사기록으로 확인되는 외계충격 = 41
 천재지변에 대한 인류사회의 대응 = 49
 18세기 유교의 근대지향성과 조선중화주의 = 51
 탕평군주와 '민국(民國)' = 53
 19세기 수구세력의 반동에 대한 민중의 저항 = 56
제2차 강의 _ 한국의 개국에 가해진 일본의 폭력과 왜곡
 19세기 동아시아의 위기 = 62
 고종의 개화 정치 지향성 = 63
 근대화 성과에 대한 일본의 견제 = 67
 고종시대의 진실 찾기 = 69
 운양호사건의 조작 = 70
 조선이 스스로 나선 강화도조약 = 75
제3차 강의 _ 청일전쟁 전후에 자행된 일본의 폭력
 국제법과 조약에 관한 정보 수집 = 92
 대한제국의 국제법 인식 = 94
 국제법 준수의 목표는 영세중립국 = 96
 청군 출병 요청은 위안스카이가 강요한 것 = 98
 내정간섭 거부에 경복궁 무력 진입 = 101
 왕이 작성한 왕비의 일대기 = 102
 경복궁 뒤편에 세운 양관(洋館) = 103
 1년 앞서 시도된 왕비시해작전 = 106
 청일전쟁의 결말과 왕비시해 = 108
제4-1차 강의 _ 한국의 자주적 근대화에 대한 중국ㆍ일본의 방해 (1) : 근대화사업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근대한국의 자력 근대화 가능성 = 116
 무기 구입과 신식 화폐제도 준비 = 117
 경복궁 안에 설치된 최초의 전기시설 = 120
 광무개혁의 시작 = 121
 신식 금융제도의 도입 = 123
 황국협회와 독립협회 = 125
 대한천일은행의 발족과 중앙은행 설립 준비 = 127
 '이권침탈'의 실상 = 130
제4-2차 강의 _ 한국의 자주적 근대화에 대한 중국ㆍ일본의 방해 (2) : 서울도시개조사업을 중심으로
 대한제국의 국토개발계획과 전국철도망 = 140
 서울의 측량기점 = 142
 서울의 도시개조사업 = 144
 방사상 도로와 기념물의 설치 = 147
 독립문과 원구단 = 154
 도심의 시민공원 = 158
 방사상 도로 체계의 중심에 경운궁을 짓고 = 160
 근대화사업의 성과와 좌절 = 169
제5차 강의 _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 주권 탈취 공작
 도시개조사업이 부정하는 식민지 근대화론 = 176
 근대적 국가예산제도의 발달 = 179
 순종황제의 서명 위조 = 181
 서명위조자는 누구인가 = 186
 주권탈취 조약들의 결격ㆍ결함 = 190
 약식조약을 정식조약으로 가장 = 192
 명칭이 빠진 「을사보호조약」 = 196
 대역(代役)으로 치른 고종황제 강제퇴위식 = 200
제6차 강의 _ 한국병합의 강제와 불법성
 일본의 한국병합조약 준비 = 210
 황제가 서명하지 않은 병합조약 = 213
특별 강연 _ 동아시아의 미래 - 역사분쟁을 넘어서
 서론 = 242
 서양세력이 오기 전의 동아시아의 각국(各國) 중화주의(中華主義) = 244
 국제법 수용 후에 전개된 각국 중화주의의 변형적 상황 = 247
 일본의 아시아 맹주 제창과 20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비극 = 251
 21세기 거대 중국의 중화의식과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위협 = 255
 결론: 동아시아의 국제관과 국제관계 재확립의 길 = 258
근대한일관계사 연표 = 262
찾아보기 = 268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갑동 (2022)
정만조 (2022)
서울역사박물관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