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교육정책결정체제
제1장 교육행정조직의 구조 및 정책결정과정
1. 서론 = 13
2. 미국 교육행정조직의 구조 및 정책결정과정 = 15
3. 주정부 교육행정조직의 구조 및 정책결정과정 = 22
4. 교육구 교육행정조직의 구조 및 정책결정과정 = 31
5. 학교 교육행정조직의 구조 및 정책결정과정 = 37
6. 결론 = 40
제2장 중앙수준에서의 교육통치
1. 서론 = 45
2. 교육통치의 이념 가치 = 48
3. 영향력 요소 = 54
4. 교육통치의 내용 = 56
5. 결론 = 68
제3장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방안
1. 서론 = 71
2. 교육정책의 결정자와 결정방법 = 72
3. 교육 관련 각종 위원회의 기능 점검 = 75
4. 국가교육위원회의 설치 방안 = 77
제4장 교육정책결정체제와 교육 관련 위원회의 역할
1. 서론 = 81
2. 교육정책결정체제와 문제점 = 83
3. 정책조정기구 및 교육 관련 위원회의 역할과 한계 = 91
4. 교육정책결정기구 개편 시사점 = 102
제5장 노무현 정부의 교육체제 개선 방안
1. 서론 = 107
2. 교육정책의 합리적 결정체제 수립 = 109
3. 조성 및 지원 중심의 교육행정제도 = 111
4. 유연성 있는 학교제도 형성 = 113
5. 효과적인 인적자원개발 = 115
제6장 단위학교에서의 의사결정
1. 서론 = 117
2. 공유의사결정제도의 발달 = 119
3. Cougar Ridge 초등학교의 의사결정 모형 = 124
4. 지역자문위원회의 의사결정 사례 = 130
5. 한국에 대한 시사점 = 139
6. 결론 = 144
제2부 교육정책 사례
제7장 학교평가 및 학업성취도평가의 제도적 발전 방향
1. 서론 = 149
2. 한국 교육 경쟁력의 위상 = 150
3. 학교평가의 제도적 발전 방향 = 154
4. 학업성취도평가의 제도적 발전 방향 = 171
5. 결론 = 182
제8장 학교사고에 대한 판례연구
1. 서론 = 185
2. 불법행위 책임론 = 187
3. 학교사고의 종류 및 판례 = 196
4. 학교사고에 대한 대처 방안 = 204
5. 결론 = 209
제9장 고등학교 입시제도의 개혁
1. 서론 = 213
2. 고등학교 입시제도의 역사 = 215
3. 고등학교 입시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 = 221
4. 고등학교 입시제도의 개혁 방향 = 236
5. 결론 = 240
제10장 초등교사 양성체체의 발전 방향
1. 서론 = 243
2. 초등교사 양성체제 개혁안 = 245
3. 초등교사 양성체제에 관한 논쟁점과 의견들 = 249
4. 초등교사 양성체제의 발전 방향 = 267
5. 결론 = 271
제11장 미국 대학의 개혁 동향
1. 서론 = 273
2. 미국의 대학교육 현황 = 274
3. 미국의 대학개혁 동향 = 283
4. 결론 = 286
제12장 민간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투자 효율화 방안
1. 서론 = 287
2. 민간의 인적자원개발 = 289
3. 인적자원개발 관련법과 재정지원 = 294
4. 민간의 인적자원개발 현황 및 문제점 = 301
5. 민간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투자 효율화 방안 = 311
참고문헌 = 325
찾아보기 =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