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글 = ⅴ
옮긴이의 말 = ⅶ
약호표 = ⅹⅲ
제1장 서언 = 1
1. 의미 해석의 문법적 위치 = 1
2. 논리 형태를 확인하는 두 가지 방법 = 6
3. LF 연구 = 8
제2장 논리 형태의 동기 = 17
1. LF 해석 = 18
2. LF에서 공범주 원리 = 23
3. LF에서 교차 효과 = 40
4. 결속된 대명사 = 42
5. 결론 = 52
부록: 하위 인접 = 52
제3장 LF에 관한 세부 사항 = 65
1. 상대적 양화사 작용역 = 66
1.1 Aoun & Li(1989) = 66
1.2 Aoun & Li(1993a) = 76
2. 의문사와 양화사의 상대적 작용역 = 83
2.1 문제 = 83
2.2 일반화 결속과 변항 형태 = 86
2.3 최소 결속 요건과 WH 의문사/양화사 구조 = 89
3. 선행사-포함삭제 = 99
4. 결론 = 109
제4장 일부 최소주의 배경 = 111
1. 현재의 위치 = 111
2.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최소주의 이론의 개괄 = 117
2.1 유일한 문법 계층으로서의 논리 형태와 음성 형태 = 117
2.2 기본적인 문법 관계는 X'-이론이다 = 125
2.3 형태론적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성분 이동 = 129
3. 결론 = 133
제5장 선행사-포함삭제 = 135
1. 선행사-포함삭제에 관한 Baltin(1987)의 연구 = 139
2. Larson과 May의 대답 = 142
3. 선행사-포함삭제와 최소주의 = 148
4. 선행사-포함삭제에 관한 최소주의 이론 = 150
5. 부가 선행사-포함삭제 = 159
6. 상세한 관련 내용 = 166
7. 션행사-포함삭제와 LF V-상승: 일부 이(異)언어간의 고려 사항 = 177
8. 결론 = 189
부록 1: 주격 목적어 = 190
부록 2: 정확한 논리 형태는 어디인가? = 191
제6장 연결, 결속, 약교차 = 193
1. 서론 = 193
2. 연결 대명사 = 194
3. 약교차 원리의 설명 = 209
4. 약교차 원리와 최소주의 = 216
5. 세부적인 결과: 연결과 양화사/WH 상호 작용 = 220
6. 미결 부분: 전체적 성분 통어 재분석 = 235
7. 결론 = 244
제7장 우위 효과 = 247
1. 서론 = 247
2. 우위와 기능 WH = 252
3. 세부적 사실: 다중 Which 의문문 = 261
4. 일부 비교 우위 자료 = 276
4.1 다중 전치 WH를 가진 언어 = 276
4.2 주어 후치와 우위 = 288
4.3 세 개의 WH를 가진 절에서의 우위 = 292
4.4 일본어에서의 반우위 효과 = 294
4.5 "Why"를 가진 다중 의문문 = 299
4.6 Yes/No 의문문 = 305
4.7 결어 = 308
5. 결론 = 310
제8장 양화사 작용역 = 311
1. 서론: 기본 가정 = 311
2. 주어와 목적어 양화 명사구 = 317
3. 작용역 제약 = 324
4. 중국어 양화사 = 337
5. 약교차, 우위, 극어 = 340
6. QR을 제거하는 일부 또 다른 이점 = 355
7. 나머지 두 가지 문제 = 365
7.1 전치사의 목적어 = 365
7.2 이중 목적어 구문 = 368
8. 결론 = 377
제9장 최소주의 재논의 = 383
1. LF의 지위 = 384
2. 연쇄와 그 특성 = 389
3. 연쇄에 관한 도출 제약 = 399
4. 음성 형태 연쇄 = 406
5. "순수" 주어/목적어 비대칭 = 409
6. 결론 = 418
참고문헌 = 421
찾아보기 =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