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문학

법문학 (13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상돈 , 1961- 이소영 , 1979- .
서명 / 저자사항
법문학 / 이상돈, 이소영 저.
발행사항
서울 :   新英社 ,   2005.  
형태사항
365 p. ; 24 cm.
기타표제
법문학의 대상과 방법 그리고 실천
ISBN
8955011482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666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196807
005 20100806063129
007 ta
008 050823s2005 ulk 001c kor
020 ▼a 8955011482 ▼g 93370
035 ▼a KRIC10040872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46 ▼d 211009
082 0 4 ▼a 340.02 ▼a 809.933554 ▼2 22
090 ▼a 340.02 ▼b 2005a1
100 1 ▼a 이상돈 , ▼d 1961- ▼0 AUTH(211009)90507
245 1 0 ▼a 법문학 / ▼d 이상돈, ▼e 이소영 저.
246 0 3 ▼a 법문학의 대상과 방법 그리고 실천
260 ▼a 서울 : ▼b 新英社 , ▼c 2005.
300 ▼a 365 p. ; ▼c 24 cm.
500 ▼a 색인수록
700 1 ▼a 이소영 , ▼d 1979- . ▼0 AUTH(211009)125589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02 2005a1 등록번호 11133363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1-03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02 2005a1 등록번호 1113336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02 2005a1 등록번호 1113367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0.02 2005a1 등록번호 1211137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0.02 2005a1 등록번호 1211137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02 2005a1 등록번호 11133363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1-03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02 2005a1 등록번호 1113336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02 2005a1 등록번호 1113367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0.02 2005a1 등록번호 1211137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0.02 2005a1 등록번호 1211137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상돈(지은이)

서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대학원 졸업(Dr.jur.)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정교수(現) 한국법철학회 회장(역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국선변호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법원행정처 소송규칙 자문특별위원회 위원(역임) 검찰제도개혁위원회 위원(역임) 법무부 인권옹호자문단 위원장(역임)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원장(역임) ≪저서목록≫ ■ 형사법 분야 1.<Wortlautgrenze, Intersubjektivitat und Kontexteinbettung>, Frankfurter Kriminalwissenschaftliche Studien, Bd.35, Ffm., 1992 2.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홍문사, 1994 3.<형사소송법 사안풀이와 법치국가>, 태진사, 1995 4. <형사소송법>(2인 공저), 홍문사, 1996 5. <사례연습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1 6. <형사소송원론>, 법문사, 1998 7. <형법정책>(2인 편역), 세창출판사, 1998 8. <형사소송법연습>, 법문사, 1999 9. <형법학>, 법문사, 1999 10. <정치와 형법>(2인 공역), 세창출판사, 2005 11.<신형사소송법>(4인 공저), 홍문사, 2011 12. <형법강의>, 법문사, 2010 13. <예술형법>, 박영사, 2014 14. <형법강론>, 박영사, 2015 ■ 의료법 분야 15. <의료형법>, 법문사, 1998 16. <의료체계와 법>, 고대출판부, 2000 17. <치료중단과 형사책임>, 법문사, 2002 18. <수가계약제의 이론과 현실>, 세창출판사, 2009 19. <의료법강의>(2인 공저), 법문사, 2009 20.<의약품공급계약과 사적 자치>, 세창출판사, 2014 21. <원내조제분업의 법리>, 세창출판사, 2015 ■ 경영법 분야 22. <윤리경영과 형법>, 신영사, 2005 23. <부실감사판례연구>, 법문사, 2006 24. <부실감사법>, 법문사, 2007 25. <기업윤리와 법>(3인 공저), 법문사, 2008 26. <조세형법론>, 법문사, 2009 27. <공정거래형법>, 법문사, 2010 28. <증권형법>, 법문사, 2011 29. <경영과 형법>, 법문사, 2011 30. <경영판단원칙과 형법>, 박영사, 2015 31. <기업경영형법>, 박영사, 2022 ■ 기초법 분야 32. <법이론>, 박영사, 1996 33. <법학입문>, 박영사, 1997 34. <법률해석의 한계>(5인 공저), 법문사, 2000 35. <법사회학>(2인 공저), 박영사, 2000 36. <대화이론과 법>(편역), 법문사, 2002 37. <법철학>, 법문사, 2003 38. <생명공학과 법>, 아카넷, 2003 39. <욕망은 행복을 낯설게 한다>, 연극과 인간, 2003 40. <헌법재판과 형법정책>, 고려대출판부, 2005 41. <새로 쓴 법이론>, 세창출판사, 2005 42. <법학입문>, 박영사, 1997 43.<법문학>(2인 공저), 신영사, 2005 44.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45. <문헌연구 포스트모더니즘과 법>(4인 공저), 세창출판사, 2006 46. <공익소송론>, 세창출판사, 2006 47. <시민운동론>, 세창출판사, 2007 48. <기초법학>, 법문사, 2008 49. <법미학>, 법문사, 2008 50. <법정신분석학입문>(2인 공저), 법문사, 2010 51. <법의 춤>, 법문사, 2012 52. <미술비평과 법>, 법문사, 2013 53. <법의 깊이>, 법문사, 2018 54. <법의 예술>, 법문사, 2020

이소영(지은이)

제주대 사회교육과 교수. 고려대에서 법을 공부했고 하버드대학 옌칭연구소,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독일 튀빙겐대학 등을 거쳐 현재 제주대 사범대학에서 예비 선생님들에게 법학 과목들을 강의하고 있다. 쉽게 바뀌지 않을 현실에 냉소하거나 무력해지기보다는 미약한 힘으로나마 서로를 돌볼 수 있기를, 상처를 주고받는 대신 공감과 연민을 나눌 수 있기를 소망한다. 2017년부터 경향신문에 연재한 칼럼을 모아 『별것 아닌 선의』를 펴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작품차례 = 18
 [1] 도입글 - 왜 우리는 지금 여기서 법문학을 이야기하나? = 23
  Ⅰ. 법문학의 낯설음 = 23
  Ⅱ. 포스트모던 시대의 법학 = 25
  Ⅲ. 법문학의 과제 = 28
   1. 대상과 영역 = 29
   2. 방법과 이론 = 32
   3. 응용과 실천 = 38
제Ⅰ부 법문학의 대상과 영역
 [2] 문학 속의 법 - 문학의 법 형성 = 43
  Ⅰ. 문학 속의 법 = 43
  Ⅱ. 문학에 반영된 법의식 = 45
  Ⅲ. 법을 형성하는 문학 = 48
 [3] 법의 문학에 대한 통제 - 법의 문학 형성 = 52
  Ⅰ. 검열과 문학 = 52
   1. 권력생산의 기제로서 검열 = 52
   2. 검열의 짧은 역사 = 54
   3. 법과 문학의 상호적 구성 = 55
  Ⅱ. 검열의 문학형성적 기능 = 57
   1. 검열수용적인 작품형성 = 57
    (1) 부르디외의 검열 개념 = 57
    (2) 정치적 권력이 내면화된 자기검열 = 58
    (3) 자본이 동기화된 자기검열 = 59
    (4) 자기검열의 작품형성적 효과 = 60
   2. 작품형성요소로서 검열회피 = 62
    (1) 검열회피의 문학적 기법들 = 65
    (2) 검열회피의 작품향상적 효과 = 68
  Ⅲ. 검열 담론의 다원화와 법문학의 과제 = 69
   1. 검열의 배후담론의 변화 = 70
    (1) 규제 대상과 기준의 정치성 = 70
    (2) 미시적 규율권력의 생산기제로서 검열 = 71
   2. 지배담론의 다원화 = 72
    (1) 듀엣구조에서 다자구조로 = 72
    (2) 다원적인 담론의 시대 = 73
   3. 다원화된 검열 속에서 법문학의 중재 = 73
    (1) 확실성을 잃은 법적 검열 = 74
    (2) 법문학의 비판적 중재 = 77
 [4] 문학으로서의 법 = 78
  Ⅰ. 법학의 '이야기하기' = 78
  Ⅱ. 연작소설로서 판결문 = 80
   1. 드워킨의 연작소설론 = 80
   2. 피쉬의 반론 = 82
  Ⅲ. 문학적 수사로서 법 = 84
   1. 화이트의 문학적 수사론 = 84
   2. 문학적 수사론의 이념적 위치 = 86
    (1) 해체주의보다는 덜 급진적인 문학적 수사론 = 86
    (2) 주류담론보다는 더 진보적인 법이해 = 87
  Ⅳ. 법수사학과 구조사고 = 88
   1. 하프트의 법수사학 = 88
   2. 문학적 수사의 방법으로서 구조사고 = 90
 [5] 법학방법으로서의 문학비평 = 93
  Ⅰ. 문학방법의 법학에의 유입 = 93
  Ⅱ. 의도주의와 신비평이론 = 95
   1. 고전적인 법해석 방법 = 95
   2. 의도주의 논쟁과 신비평이론 = 97
   3. 브룩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법률해석의 창조성 = 99
  Ⅲ. 신실용주의와 문학비평 = 100
   1. 토대주의-반토대주의 논쟁 = 100
   2. 우연성과 아이러니의 문학비평방법 = 101
    (1) 자유주의적 아이러니스트 = 101
    (2) 우연성과 아이러니 = 101
   3. 문학패러다임의 법적 유용성 = 102
  Ⅳ. 형식주의와 해체주의 그리고 법 = 103
   1. '낯설게하기'와 '대화론'의 법적 효용성 = 104
    (1) 낯설게하기와 비판적 법해석 = 104
    (2) 바흐친의 대화론과 법이론 = 106
   2. 해체주의와 법학방법 = 108
    (1) 해체주의 비평방법의 풍미 = 109
    (2) 법학방법으로 전환가능성 소묘 = 109
제Ⅱ부 법문학의 방법과 이론
 [6] 구조주의와 해체주의의 비평방법과 법적 정의 = 115
  Ⅰ. 구조주의에서 포스트구조주의로 = 115
   1. 주관주의로부터의 단절로서 구조주의 = 115
   2. 소쉬르의 구조주의 기호학 = 117
    (1) 구조주의적 요소 = 117
    (2) 포스트구조주의적 요소 = 118
   3. 푸꼬의 지식고고학과 계보학 = 119
    (1) 지식고고학과 구조주의 = 119
    (2) 계보학과 포스트구조주의의 단초 = 120
   4. 데리다의 해체주의 = 121
    (1) 존재(주체)의 인식 부정 = 121
    (2) 차연과 서구적 이원론 해체 = 123
  Ⅱ. 구조주의 비평방법 = 124
   1. 작품 속에 숨은 랑그의 구조 = 124
   2. 대화성과 다성성 - 포스트구조주의의 예견 = 127
  Ⅲ. 해체주의 비평방법 = 129
   1. 문학과 철학의 경계 허물기 = 129
    (1) 문학적 수사법 = 129
    (2) 철학의 탈신비화 = 131
    (3) 해체의 가장 진전된 방식으로서 문학 = 132
   2. 포스트구조주의와 해체론적 비평 = 136
    (1) '읽는 텍스트'에서 '쓰는 텍스트'로 = 136
    (2) 암호풀기와 자리바꿈 = 137
  Ⅳ. 법학방법론으로서 해체주의 비평 = 140
   1. 해체주의의 정의 이해 = 140
    (1) 힘으로서 정의 = 141
    (2) 폭로와 귀기울이기로서 정의 = 143
   2. 법학방법론과 해체적 정의 = 144
    (1) 법텍스트 해석과 해체적 정의 = 145
    (2) 법형성과 해체적 정의 = 147
    (3) 법적 합의와 차이의 내레이션 = 151
 [7] 법해석과 텍스트의 차연 = 154
  Ⅰ. 법해석학의 현황 = 154
   1. 법해석의 딜레마 - 주관주의와 객관주의 사이 = 154
   2. 해석카논의 발전 = 156
   3. 법해석에서 철학적 해석학의 수용 = 160
   4. 법해석에서 기호론 = 162
  Ⅱ. 기존 법해석학의 허구성 드러내기 = 165
   1. '결정된 단일한 의미'의 환상 = 165
   2. 법언어의 전미래성 = 166
  Ⅲ. 해체적 문학비평을 통한 폭로 = 168
   1. 법의 '닫힌 문' = 168
   2. 법적 정의의 유령과 차연 = 170
   3. 모방된 욕망으로서 법인식 = 173
  Ⅳ. 해체적 글읽기의 법해석학적 수용 = 175
   1. 상호텍스트성의 구성으로서 법해석 = 176
    (1) 책과 텍스트의 구별 = 177
    (2) 직물짜기로서 법해석 = 178
    (3) 법률말놀이 = 180
   2. 상호텍스트성의 해체적 보완 = 182
    (1) 이성적 논증의 결함 = 182
    (2) 비논증적 요소들의 드러내보임 = 184
 [8] 법형성과 담론질서 = 188
  Ⅰ. 법문학의 계보학적 기능 = 188
   1. 이성의 역사로서 법형성 = 188
    (1) 변증적 역사이해 = 189
    (2) 역사와 전통의 권위 = 192
   2. 권력의 전술로서 법형성 = 193
    (1) 푸꼬의 역사관: 불연속의 미시권력론 = 193
    (2) 규율권력의 재생산으로서 법형성 = 194
   3. 문학으로서 역사 = 195
  Ⅱ. 법형성의 계보학 = 197
   1. 지식고고학적 역사분석 = 198
    (1) 방법론적 가능성의 타진 = 198
    (2) '돈키호테'와 르네상스적 유사성의 종언 = 199
    (3) 사드와 표상의 종언 = 202
   2. 형벌법의 계보 = 205
    (1) 연쇄적 점층의 형벌 부과 = 205
    (2) '유순해진 형벌' = 208
   3. 한국의 전통 형벌법에서 계보학 = 209
    (1) 휼형이념과 유형제도의 유사성의 에피스테메 = 212
    (2) 구비문학과 유배문학의 유사성 종언 = 214
   4. 법의 정당성 기초로서 담론의 배후 = 219
  Ⅲ. 법문학의 법형성 기능 = 220
 [9] 법적 합의와 차이의 문제 = 224
  Ⅰ. 진리로서 법적 합의와 민주주의 = 224
   1. 터잡힌 민주적 법치국가 = 224
   2. 남겨진 문제로서 차이 = 225
  Ⅱ. 자유민주주의에서 차이의 문제 = 227
   1. 대의제의 배타성 = 227
    (1) 대의제의 이상과 조건 = 228
    (2) 대의제의 현실 = 229
   2. '정치적인 것'에서 자유주의의 한계 = 230
    (1) 정치와 정치적인 것 = 231
    (2) 자유주의의 한계 = 231
   3. 공동체주의에서 공동선의 한계 = 233
   4. 차이의 딜레마 = 234
  Ⅲ. 토론민주주의, 그 힘과 한계 = 237
   1. 특징적 개념표지 = 237
    (1) 공론과 공론조사 = 237
    (2) 인권과 주권의 내적 연관성 = 238
    (3) 절차성과 상호주관성 = 239
   2. 실천성 = 241
    (1) '다른 목소리' 채택의 절차화 = 241
    (2) '합리적' 방식을 통한 갈등 완화 = 243
   3.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 = 244
    (1) 대화에 참여하지 못하는 자 = 244
    (2) 동일성강제의 위험성 = 246
  Ⅳ. 토론민주주의의 보완과 법문학 = 248
   1. 소수문화와 소수문학 = 249
    (1) 민주주의에서 문화의 의의 = 249
    (2) 소수문화에서 소수자'되기' = 250
    (3) 소수문학의 가능성 = 251
   2. 토론민주주의에서 소수문학의 기능 = 253
    (1) 비논증적 요소에 귀기울이기 = 253
    (2)'n-1'의 다양성을 드러내 보이기 = 256
제Ⅲ부 법문학의 응용과 실천
 [10] 성매매특별법과 다층적 내레이션 = 263
  Ⅰ. 성매매여성의 외면된 목소리 = 263
  Ⅱ. 성담론과 법제의 전개 = 264
   1. 서구에서 성담론의 법제화과정 = 264
    (1) 도덕적 성윤리와 법의 통제 = 265
    (2) 성해방과 자유주의적 법제화 = 269
    (3) 급진적 페미니즘의 법제화 = 271
   2. 포스트페미니즘의 새물결 = 272
   3. 우리 법제의 특수성 = 275
    (1) 법과 윤리의 미분화 = 275
    (2) 계몽적 여성주의 = 277
  Ⅲ. 법문학을 통한 법형성 맥락의 해체 = 278
   1. 성매매특별법의 제정배경 = 278
   2. 법적 정당성과 실효성 = 280
   3. 담론의 배제성 = 282
    (1) 소외의 서사학 = 282
    (2) 매춘의 진실 = 283
  Ⅳ. 법문학을 통한 내레이션의 수용 = 285
   1. 다성적 내레이션의 이해 = 285
    (1) 다성적 내레이션 = 286
    (2) 힘의 역학과 양가성 = 287
    (3) 타자의 내레이션 = 288
   2. 성매매 여성의 '이야기하기'와 행동하기 = 289
   3. 탈식민주의 문학비평의 수용 = 290
    (1) 복잡하고 다층적인 소외 = 291
    (2) 하위주체에게 말걸기 = 294
  Ⅴ. 대안 = 296
 [11] 창작으로서의 범죄보도와 현실구성 = 299
  Ⅰ. 범죄보도의 기능 = 299
  Ⅱ. 범죄보도 담론의 맥락 = 300
   1. 범죄의 공론화 = 300
   2. 황색 저널리즘의 출현과 범죄보도 = 302
   3. 우리의 법담론과 범죄보도 경향의 변천 = 303
  Ⅲ. 범죄보도의 현실구성과 선별성 = 305
   1. 범죄보도와 현실구성 = 305
    (1) 해체주의적 전제 = 305
    (2) 현실반영의 불가능성과 현실구성 = 306
   2. 현실을 구성하는 선별 = 308
    (1) 특징적 표지 = 308
    (2) 표현방식 = 310
    (3) 수용형태 = 310
    (4) 구조적 원인 = 311
   3. 선별적 현실구성의 기능 = 313
    (1)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증대 = 313
    (2) 모방범죄의 증대 = 314
    (3) 범죄보도의 정치성 = 315
   4. 범죄보도의 현실구성 - 상호공생관계 = 316
  Ⅳ. 창작물로서 범죄보도와 낯설게하기 = 318
   1. 규제화의 딜레마 = 319
    (1) '알 권리 대 인격권'의 이분법 도그마 = 319
    (2) 형법적 규제화의 딜레마 = 320
    (3) 자기규제의 조종기제로서 법 = 321
   2. 다층적 내레이션의 복원 = 322
   3. 낯설게하기와 비틀어보기 = 324
 [12] 환경오염 규제와 생태문학론 = 326
  Ⅰ. 환경형법과 법문학의 필요성 = 326
  Ⅱ. 환경형법의 성장 = 327
   1. 위험사회와 형법의 확장 = 327
   2. 위험형법으로서 환경형법 = 328
  Ⅲ. 환경형법의 정당화근거에 대한 법문학적 분석 = 329
   1. 윤리적 요청 = 330
    (1) 생태윤리학의 접근방식 = 330
    (2) 생태시학과 생명사상 = 330
    (3) 환경재의 보호법익성 = 332
   2. 도덕적 요청 = 333
    (1) 생태사회주의와 경제적 불평등 = 333
    (2) 사회적 억압 구조의 '상징'으로서 생태위기 = 334
    (3) 환경형법의 사회법화 = 335
  Ⅳ. 환경형법의 효율성 판단 = 335
   1. 집행상의 결핍과 귀속의 어려움 = 335
   2. 법익확장의 위험성: 윤리적 요청의 실패 = 336
   3. 환경형법의 반생산성: 도덕적 요청의 실패 = 338
 [13] 정상가족과 양성쓰기운동 = 340
  Ⅰ. 양성쓰기의 소외성 = 340
  Ⅱ. 정상가족의 이데올로기 = 341
  Ⅲ. 가족의 다양성과 성의 폐지 = 343
 [14] 노동문학과 노동패러다임 변화 = 345
  Ⅰ. 노동패러다임의 변화 = 345
  Ⅱ. 내레이션에 귀기울이기 = 347
  Ⅲ. 상호주관적 노동개념 = 350
   1. 해고제한의 예 = 350
   2. 노동인격 = 351
작품색인 = 353
찾아보기 = 357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진원 (2022)
Montesquieu, Charles de Secondat, baron de (2023)
신동호 (2023)
최유경 (2022)
이준서 (2022)
조태제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2023)
한미법학회 (2022)
Engstrom, David Freeman (2023)
Dreier, Horst (2023)